Silla > sources > 史書 > 0414 廣開土王陵碑
 
summary
①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 ② 而倭以辛卯年 來渡□破百殘□□新羅以爲臣民 ③ 六年 王躬率□軍討伐殘國 ④ 九年 百殘違誓與倭和通 ⑤ 新羅遣使白王云 倭人滿其國境潰破城池以奴客爲民歸王請命 ⑥ 十年 敎遣步騎五萬往救新羅從男居城至新羅城倭滿其中 官軍方至倭賊退□□背急追至任那加羅從拔城城卽歸服 ⑦ 昔新羅寐錦未有身來論事 □國□上廣開土境好太王□□□□寐錦□□僕勾□□□□朝貢 ⑧ 十四年 而倭不軌侵入帶方界□□□□□石城□連船□□□ 王躬率□□從平穰 □□□鋒相遇 王幢要截盪刺 倭寇潰敗斬煞無數
24655 SHARED
 
0391.07 三國史記(1145) 高句麗
남쪽으로 백제를 정벌하여 10성을 함락시켰다.
1737 SHARED COMMENT
 
0391.10 三國史記(1145) 高句麗
백제 관미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1738 SHARED COMMENT
 
0392 ↶ 廣開土王陵碑 ①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 백잔과 신라는 옛부터 고려 속민으로 조공을 바쳐왔다. ▐ 백제가 고려의 속민이었을 리는 없다. 백제는 371년에 평양을 침공하여 고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기도 했었다. 고대의 기록을 보면 전쟁을 일으키는 명분으로 상대가 과거 자기 나라의 땅이었다거나 자기 나라의 속국이었다는 이유를 대는 경우가 많다. ①은 ②와 함께 ③의 명분을 강화시켜준다.
1558 SHARED COMMENT
 
Pet Dictionary
What breed is this pet?
 
0392 辰斯→阿花
❶ 日本書紀(720) 0272 辰斯王이 왕위에 있으면서 왜의 천황에게 예의를 잃었으므로 紀角宿禰·우전시대숙니·석천숙니·도목숙니를 파견하여 그 무례함을 책망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백제국에서는 辰斯王을 죽여 사죄하였다. 紀角宿禰 등은 阿花를 왕으로 세우고 돌아갔다. 紀角宿禰는 백제의 강역을 나누고 그 땅에서 나는 산물을 모두 기록하였다. ❷ 三國史記(1145) 0392 辰斯王이 구원의 행궁에서 죽었다. 阿莘王이 왕위를 이었다.
1491 SHARED
 
0392 辰斯→阿花
▐ 385년에 침류왕이 죽자 왕자 아신이 어려 숙부인 진사가 왕이 되었는데, 392년에 그 진사왕도 갑자기 죽자 아신이 왕이 된다는 이야기는 일본서기와 삼국사기의 기록이 일치한다. 다만, 삼국사기에는 진사왕이 행궁에서 죽었다고만 되어 있지만 일본서기에는 왜가 사신을 보내 왕을 교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왜가 바다를 건너와 백제를 격파하였다고 할 수 있다. 來渡□破百殘
1764 SHARED COMMENT
 
0392 三國史記(1145)
九年春遣使新羅修好新羅王遣姪實聖為質 9년 봄에 사신을 신라에 보내 사이좋게 지내니 신라 왕이 조카 실성을 보내서 인질로 삼았다.┆三十七年春正月髙句麗遣使王以髙句麗強盛送伊湌大西知子實聖爲質 봄 정월에 고구려에서 사신을 보내왔다. 나물 이사금은 고구려가 강성하였으므로 이찬 대서지의 아들 실성을 보내 볼모로 삼았다. ▐ 신라가 왜의 신민 상태가 되어 있었다면 고려에 기대어 볼 계산으로 볼모를 보냈을 것이다. 新羅以爲臣民
1758 SHARED
 
0392 廣開土王陵碑 ②
而倭以辛卯年 來渡□破百殘□□新羅以爲臣民 그런데 왜가 391년에 □을 건너와 백잔을 격파하자 □□ 신라는 신민이 되었다. ▐ 永樂1년에 있었다는 이 이야기는 永樂5년과 永樂6년의 기록 사이에 들어와 永樂6년에 있었던 백제 정벌의 배경이 되고 있다. 아래 ④의 경우처럼 이 사건은 단지 396년 이전에 있었지만 광개토왕을 돋보이게 하려고 그의 즉위년인 辛卯年의 일로 왜곡했을 가능성이 있다.
1415 SHARED COMMENT
 
0393.05 三國史記(1145) 新羅
왜인이 와서 금성을 포위하고 5일 동안 풀지 않았다. 적이 아무 성과없이 물러가자 나물 이사금이 용맹한 기병 2백 명을 먼저 보내 그 돌아가는 길을 막고, 또한 보병 1천 명을 보내 독산까지 추격하여 합동으로 공격하니 그들을 크게 물리쳐서 죽이거나 사로잡은 사람이 매우 많았다.
1651 SHARED COMMENT
 
0394~0399 三國史記(1145) 百濟
0394-07 고구려와 수곡성 밑에서 싸워 패배하였다.┆0394-08 좌장 진무 등에게 명하여 고구려를 치게 하니 고구려 왕 담덕이 직접 군사 7천 명을 거느리고 패수에 진을 치고 대항하였다. 우리 군사가 크게 패하였으니 사망자가 8천 명이었다.┆0395-11 패수 전투의 패배를 보복하기 위하여, 직접 군사 7천 명을 거느리고 한수를 건너 청목령 아래에 진을 쳤다. 그때 마침 큰 눈이 내려 병졸들 가운데 동사한 자가 많이 발생하자 왕은 회군하였다.
196#1736 SHARED
 
0394~0399 三國史記(1145) 百濟
▐ 아신왕이 쫓기듯이 고려를 공격하고 있다. 이는 왜가 진사왕을 죽게 하고 세운 왕이라는 일본서기의 기록을 뒷받침하는 정황이다. 그러나 아신왕의 이러한 공격은 모두 실패하고 오히려 396년에 고려의 침공을 불러와 크게 패하고 만다.
1740 SHARED
 
0396 廣開土王陵碑 ③
以六年丙申王躬率□軍討伐殘國軍□□ ... 而殘主困逼獻出男女生口一千人細布千匹跪王自誓從今以後永爲奴客太王恩赦□ 迷之愆錄其後順之誠於是得五十八城村七百將殘主弟幷大臣十人旋師還都
1476 SHARED COMMENT
 
0396 廣開土王陵碑 ③
396년 왕이 친히 군을 이끌고 백잔국을 토벌하였다. 백잔주가 곤핍해져, 남녀 생구 1천 명과 세포 천 필을 바치면서 왕에게 항복하고, 이제부터 영구히 고려왕의 노객이 되겠다고 맹세하였다. 태왕은 앞의 잘못을 은혜로서 용서하고 뒤에 순종해 온 그 정성을 기특히 여겼다. 이에 58성 700촌을 획득하고 백잔주의 아우와 대신 10인을 데리고 수도로 개선하였다.
1419 SHARED COMMENT
 
0397 廣開土王陵碑 ④
九年 百殘違誓與倭和通 백잔이 맹서를 어기고 왜와 화통하였다. ▐ 397년에 백제가 왜에 왕자를 볼모로 보낸 사실은 일본서기와 삼국사기의 기록이 일치하므로 이것을 역사적 사실로 고정한다. 광개토왕릉비에 백제와 왜가 399년에 화통하였다는 부분은 잘못 알고 있거나 광개토왕이 399년에 평양으로 행차한 배경으로 397년의 사건이 끼워진 것이다.
1652 SHARED
 
0397 볼모 直支(腆支) ④
❶ 일본서기(720) 277 아화왕이 왕위에 있으면서 왜에 예의를 갖추지 않았으므로 백제의 침미다례 및 峴南·支侵·谷那·東韓의 땅을 빼앗았다. 이에 왕자 직지를 왜에 보내어 선왕의 우호를 닦게 하였다. ❷ 삼국사기(1145) 397 아신왕이 왜국과 우호를 맺고 태자 전지를 볼모로 보냈다.
1739 SHARED
 
0399 廣開土王陵碑 ⑤
王巡下平穰 而新羅遣使白王云倭人滿其國境潰破城池以奴客爲民歸 王請命太王恩慈矜其忠誠□遣使還告以□計 왕이 평양에 행차하여 내려갔다. 그때 신라왕이 사신을 보내어 아뢰기를, ‘왜인이 그 국경에 가득 차 성지를 부수고 노객으로 하여금 왜의 민으로 삼으려 하니 이에 왕께 귀의하여 구원을 요청합니다’라고 하였다. 태왕이 은혜롭고 자애로워 신라왕의 충성을 갸륵히 여겨, 신라 사신을 보내면서 계책을 돌아가서 고하게 하였다.
1478 SHARED COMMENT
 
0400 廣開土王陵碑 ⑥
十年 敎遣步騎五萬往救新羅從男居城至新羅城倭滿其中 官軍方至倭賊退□□背急追至任那加羅從拔城城卽歸服 왕이 보병과 기병 도합 5만 명을 보내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남거성을 거쳐 신라성에 이르니, 그곳에 왜군이 가득하였다. 관군이 막 도착하니 왜적이 퇴각하였다. 그 뒤를 급히 추격하여 임나가라의 종발성에 이르니 성이 곧 항복하였다. ▐ 신라와 남가라를 잇는 육로는 양산단층이다.
1430 SHARED
 
0400 廣開土王陵碑 ⑦
昔新羅寐錦未有身來論事 □國□上廣開土境好太王□□□□寐錦□□僕勾□□□□朝貢 옛적에는 신라 매금이 몸소 고려에 와서 보고를 하며 청명을 한 일이 없었는데, 광개토왕대에 이르러 신라 매금이 조공하였다.
1439 SHARED COMMENT
 
0401.07 三國史記(1145) 新羅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실성이 돌아왔다.
1788 SHARED COMMENT
 
0402.03 三國史記(1145) 新羅
왜와 우호를 통하고 나물왕의 아들 미사흔을 볼모로 삼았다. ▐ 볼모를 보낸다는 것은 종속을 의미한다. 게다가 고려에 갔던 볼모가 돌아온 이듬해에 왜에 볼모를 보냈다는 것은 고려가 왜로부터 신라를 안정적으로 보호해주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1789 SHARED COMMENT
 
0404 廣開土王陵碑 ⑧
十四年 而倭不軌侵入帶方界□□□□□石城□連船□□□ 王躬率□□從平穰 □□□鋒相遇 王幢要截盪刺 倭寇潰敗斬煞無數 왜가 법도를 지키지 않고 대방 지역에 침입하였다. 왕의 군대가 적의 길을 끊고 막아 좌우로 공격하니, 왜구가 궤멸하였다. 참살한 것이 무수히 많았다. ▐ 連船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왜군은 바닷길로 온 듯하다.
1452 SHARED COMMENT
 
0404 廣開土王陵碑 ⑧
▐ 광개토왕릉비는 396년에 백제를 대파하여 복종을 받아냈다고 하나 백제는 이내 왜와 화통하였다. 광개토왕릉비는 또 400년에 5만의 군대를 보내어 신라와 가라에 들어온 왜군을 무찔렀다고 하나 404년에 왜군은 고려의 대방을 직접 공격하였다. 삼국사기에는 401년에 고려에 가 있던 신라의 볼모가 돌아오고 이듬해에 신라는 왜에 볼모를 보냈다고 되어 있다. 광개토왕의 공적에는 허세가 있는 듯하다.
1790 SHARED COMMENT
 
0404 이덕일의 영산 왜
0404 이덕일의 영산 왜
가운데 그림은 영산강 유역에 왜가 있었다는 이덕일의 가설이다. 이는 광개토왕릉비의 기록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광개토왕릉비에는 왜가 391년에 바다를 건너왔고 399년에는 신라를 점령한 상태였으며 400년에는 그 신라 점령군이 고려에 쫓겨 임나가라로 퇴각하였고 404년에는 대방을 침공하였다고 되어 있다. 이 모든 것은 한반도에 왜군이 주둔하고 있었다고 설정해야 자연스러우며 그 주둔지로는 영산강 유역이 가장 자연스럽다.
11603 SHARED
 
2019.04.16 최연식의 주장
반파란 국명을 넣어 해석을 시도하였다. 而倭以辛卯年來渡伴破百殘合攻新羅以爲臣民 왜가 신묘년에 반파로 건너오자 백제가 그들과 함께 신라를 침공해 신민으로 삼았다. ▐ 문제점, (1) 반파(伴跛,叛波)는 513년 이후 기록에 잠깐 등장했다 사라지는 국명이다. (2) 반파는 가라와 함께 사용된 예가 없다. (3) 渡의 목적어로 국명이 오는 게 자연스런 문장인가? (4) '그들과 함께 침공하다'란 뜻이 두 글자에 담길 수 있나?
1762 SHARED COMMENT
 
2023.05.09 谷井 濟一 기록
1913년 일본인 학자들이 고구려 유적을 조사할 때, 현지의 중국인 초붕도가 1900년대부터 석회를 발라 마모된 글자를 재현했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때 찍은 사진에는 倭以辛卯年來渡□破百殘가 나오는 것이 없다. 그래서 일본이 초붕도처럼 석회를 발라 倭以辛卯年來渡□破百殘을 날조했다는 주장이 또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 일본이 조작했다면, 왜 369년으로 해서 일본서기와 일치시키지 않고 391년으로 해서 일본서기와 어긋나게 했을까?
20163 SHARED
 
⟐地理
22582 SHARED
 
廣開土王陵碑
10949 SHARED
 
광개토왕릉비 분석
먼저 일본서기와 삼국사기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392년과 397년의 사건을 역사적 사실로 고정한다. 각각 '왜가 백제의 왕을 교체했다'는 이야기와 '백제가 왜에 볼모를 보냈다'는 이야기다. 이어서 광개토왕릉비에 나오는 396년의 사건도 역사적 사실로 인정한다. '고려가 백제를 침공하여 58성을 빼앗아갔다'는 이야기다. 광개토왕릉비의 나머지 기록은 이 사실들에 맞추어 해석한다.
13914 SHA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