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sources > 考古學 > 무덤

○ 낙랑 지역에 전래된 한나라의 귀틀 무덤은 한나라의 변화에 따라 굴식 벽돌방 무덤으로 바뀌었다가 맥고려에 병합될 무렵에는 굴식 돌방 무덤으로 바뀌었다. 이 굴식 돌방 무덤은 한성 시기에 백제로 전래되어 점차 남쪽으로 퍼져갔다.
 
Name Dictionary
Names are also vocabulary.
 
-0100~0000 낙랑 귀틀무덤
한나라의 무덤 양식이다.
2407#8303 SIBLINGS CHILDREN COMMENT OPEN
 
0000~0200 낙랑 벽돌널방
한나라의 무덤 양식이다.
2407#8302 SIBLINGS CHILDREN COMMENT OPEN
 
0250~0450 독널
한국에서는 청동기시대에 독널 무덤이 많았지만 3세기부터 영산 지역에서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큰독널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 지역의 큰독널은 5세기에 복강식 돌방으로 교체되었다.
2407#7917 SIBLINGS CHILDREN COMMENT 7917
 
0250~0650 前方後円墳
일본의 고분시대는 고분, 특히 전방후원분이 축조되던 시기를 말한다. 3세기에서 7세기까지다. 전방후원분은 대화 왕조가 열도를 통일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방의 호족들이 통합의 의미로 채택한 무덤이다. 외형을 중시하여 열쇠 구멍 모양의 통일된 모양을 갖추었지만 널방의 구조는 다양했다.
2407#7919 SIBLINGS CHILDREN COMMENT 7919
 
0300~0350 굴식 돌방 무덤
대동강 유역에 있던 낙랑군이 맥고려에 병합될 무렵, 이 지역의 굴식 벽돌방은 굴식 돌방으로 교체되었다.
2407#7916 SIBLINGS CHILDREN COMMENT 7916
 
0350~0500 百濟 굴식 돌방
낙랑의 벽돌 무덤에서 재료만 벽돌에서 깬돌로 바꾼 듯한 느낌을 준다. 이는 낙랑 지역에서 굴식 벽돌방이 굴식 돌방으로 교체된 영향이 이곳까지 미친 것으로 보인다.
2407#7924 SIBLINGS CHILDREN COMMENT OPEN
 
0450~0550 전방후원분
한국에서는 영산 지역에서만 전방후원분이 발견되는데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걸쳐 축조되었다.
2407#7918 SIBLINGS CHILDREN COMMENT 7918
 
0475~0538 百濟 벽돌널방
한나라의 벽돌무덤은 낙랑으로 전해졌다가 낙랑이 망하면서 돌방무덤으로 바뀌어 백제로 전해졌고 훗날 만들어진 백제의 벽돌무덤은 남조에서 전래된 것이다.
2407#8304 SIBLINGS CHILDREN COMMENT OPEN
 
0550~0650 나주 굴식 돌방
복암리 3호분복암리 3호분 96돌방
 
0550± 앞트기식 돌방
영암 옥야리
2407#7921 SIBLINGS CHILDREN COMMENT 7921
 
2. 돌널
고고학사전 - 돌널무덤
 
4. 나무널
고고학사전 - 널무덤과 덧널무덤
 
@대선릉
2407#11547 SIBLINGS CHILDREN 11547
 
@황남대총
2407#11546 SIBLINGS CHILDREN 11546
 
葺石 ふきいし
2407#2957 SIBLINGS CHILDREN COMMENT 2957
 
고고학사전 - 벽돌무덤
벽돌무덤은 한(漢)나라 초기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으로 낙랑과 대방 지역으로도 전파되었다. 백제의 송산리 벽돌무덤 2기는 양(梁)나라로부터 들여온 것이다.
2407#41631 SIBLINGS CHILDREN COMMENT 41631
 
고고학사전 - 움무덤
움무덤은 특별한 시설 없이 땅을 파서 시신을 묻는 무덤이다. 한국에서는 철기시대에 들어오며 출현하여 삼한시대 중기까지 유행한 무덤양식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대동강 유역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407#41629 SIBLINGS CHILDREN COMMENT 41629
 
고고학사전 - 청동기시대 무덤
청동기시대가 되면 일정한 구조물로서 내부 매장시설과 외관이 갖추어진 무덤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돌무지무덤, 고인돌, 돌널무덤, 독널무덤, 움무덤 등 여러 가지 무덤이 청동기시대에 등장하여 철기시대까지 이어진다.
2407#41628 SIBLINGS CHILDREN COMMENT 41628
 
고분별
고령지산동고분군광주 명화동광주 월계동김해대성동고분군나주 가흥리 신흥고분나주 복암리나주 복암리 정촌고분나주 신촌리 9호분나주 아파트형 고분의 미스터리나주 영동리대구불로동고분군선산낙산리고분군성주성산동고분군영암 옥야리 방대형 고분함평 금산리 방대형 고분합천옥전고분군화순 천덕리
 
고인돌
弥生時代(やよいじだい)고고학사전 - 고인돌고인돌 분포고창 고인돌고창 고인돌 위성지도화순 고인돌화순 고인돌 위성지도
 
독널 무덤
2. 九州 大形甕棺分布図3. 九州 大形甕棺分布図4. 九州 大形甕棺分布図5. 九州 大形甕棺分布図6. 九州 大形甕棺分布図九州の甕棺甕棺族の分布고고학사전 - 독널무덤독무덤 - 두산백과이도국청동거울
 
복강식 돌방
거제장목유적굴식무덤 1 - 한국학중앙연구원
 
순장
가라와 신라 지역에서 3세기 말부터 6세기 전엽까지의 고분에서 순장이 확인된다. 출현은 대형 목곽묘가 만들어지던 시기와 일치하며 소멸은 가라가 망할 때 즈음이었다. 순장 고분은 초원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초원에서 이들 지역으로 주민이 이동해 온 흔적이 없다. 또 기록상으로는 부여, 고려 그리고 왜에도 순장이 있었다. 따라서 가라와 신라의 순장은 문화의 전파나 자연발생적인 것으로 2~3백여년 유행하다 사라진 것으로 판단된다.
2407#993 SIBLINGS CHILDREN COMMENT OPEN
 
적석목곽분
돌무지덧널무덤은 구덩이나 땅 위에 나무로 덧널을 만들고, 그 안에 피장자와 껴묻거리 그리고 순장자를 안치한 다음, 그 위에 돌무지를 쌓고, 또 그 위에 봉토를 덮어 만든 무덤이다. 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경주에서 많이 만들어졌다. 초원의 Kurgan과 구조가 비슷하나 축조 연대가 800여년 차이가 나므로 연결짓기가 어렵다. 덧널, 돌무지, 봉토 등의 요소가 결합하여 신라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져 유행하다 사라진 것으로 판단된다.
2407#9554 SIBLINGS CHILDREN OPEN
 
전방후원분
前方後円墳(ぜんぽうこうえんふん)古墳時代(こふんじだい)岩戸山古墳石室 1石室 2영산 지역
 
즙석(葺石 ふきいし)
즙석(葺石 ふきいし)
2407#2964 SIBLINGS CHILDREN COMMENT 29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