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두산백과

가야고분

[ 伽倻古墳 ]

요약 낙동강 유역과 남해안 일대에 분포되어 있는 가야시대의 무덤.
함안 말이산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가야의 옛 영역이었던 낙동강 유역과 남해안 일대에 산재해 있는데, 특히 낙동강의 주변지역이 중심이 되며, 지리산 너머의 남원·임실 등지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이들 고분은 구릉의 정상 또는 비탈을 입지로 선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당시의 산성(山城)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보이는 점이다. 즉 대구 달성고분군의 남서쪽에 달성이 있고, 고령 지산동(池山洞)고분군 부근에 이산산성(耳山山城)이, 함안(咸安)의 말이산(末伊山)고분군 부근에 성산산성(城山山城)이 있다. 하나의 구릉 위에 연주형(連珠形)으로 축조한 고분군의 양상은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고분은 기본적으로 원삼국시대의 여러 무덤형식을 계승하고 있으나 각 지역마다 특색있게 변천하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의 가야고분군에 대한 연구는 사료(史料)가 적은 가야사의 복원에도 중요한 몫을 하고 있다. 세부적인 무덤의 형식으로는 대표적인 돌덧널무덤[石槨墓] 외에 돌널무덤[石棺墓]·덧널무덤[木槨墓]·독무덤[甕棺墓]·돌방무덤[石室墳] 등이 있다. 신라·가야 지역에서 큰 봉토분, 즉 고총(高塚)의 발생은 실질적인 왕국의 출현과 때를 같이 하고 있을 것이며, 그것은 3세기 말~4세기 초 경이라고 생각된다. 이전까지는 아직 신라·가야 지역의 특색이 크게 구분되지 않고, 모두 덧널무덤·돌널무덤 등을 쓰고 있었다. 이러한 무덤들은 대체로 지하에 구덩이를 파고 매장주체부를 마련하는 움무덤[土壙墓]의 형식을 띠었으며, 김해·창원·합천·부산 등지를 비롯한 가야 영역 안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돌널무덤

돌널무덤은 판석을 네모지게 조립해 만들고 그 안에 주검을 넣는 방법으로, 널의 한쪽에 칸을 지어 껴묻기용[副葬用] 공간을 마련하기도 하며 머리쪽이 발치쪽보다 넓게 만들어져 있어 청동기시대 돌널무덤의 전통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무덤은 구덩이 안에 돌널을 넣어 만드는 것이 기본적인 방식이지만 부산 괴정동(槐亭洞)에서처럼 돌덧널[石槨] 안에 독널을 넣은 특이한 모습도 보인다. 덧널무덤은 일반적으로 구덩이 안에 덧널 시설이 마련되고 그 안에 널을 안치한 형식의 무덤이다. 한편 독무덤은 나무로 짠 널 대신 독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두 개를 이어 붙여 사용한 것으로 널무덤과 같이 주로 낙동강 하류의 김해·부산·창원 등의 지역과 대구·안동 등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이전 단계의 무덤에서 4세기경에 이르면 경주에서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 성행하고, 그외 영남지역 일대에서는 구덩식[竪穴式]의 돌덧널무덤이 널리 쓰이게 된다. 어떤 사람은 이 돌덧널무덤만을 가야고분이라고도 한다.

돌덧널무덤

돌덧널무덤은 지면에 구덩이를 파고 강돌이나 깬돌[割石]을 쌓아 네 벽의 돌덧널을 만들어 위로부터 주검을 넣은 구덩식과 세 벽과 천장을 먼저 쌓은 뒤 터진 한쪽 벽으로 주검을 넣고 그 벽을 막는 앞트기식[橫口式]으로 구분된다. 두 형식 중에는 구덩식이 먼저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돌덧널의 내부에는 주검을 넣은 나무널[木棺]이나 돌널[石棺]을 배치한다. 이 묘제는 돌널무덤에서 변화 발전한 고인돌 이래의 전통이며, 영남 지방에서 널리 확인되는 일반적인 묘제이다. 이것은 김해 예안리(禮安里)·부산 복천동(福泉洞) 고분군의 사례와 같이 덧널무덤에서 돌덧널무덤으로의 전환 양상이 확인되기도 하지만,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와 같이 덧널을 고수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 돌은 매장주체부의 벽체를 마련하는 데 쓰이지 않고, 덧널을 감싸는 보호막의 역할을 한다.

돌덧널무덤은 가야의 대표적인 무덤형식으로 지역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가 보인다. 창녕·고령·경산 등지에서는 봉분의 기슭 주위에 둘레돌[護石]을 돌려주는 형식이 많고, 칠곡 구암동(九岩洞)과 창녕에서는 돌덧널의 윗면 전체를 강돌로 덮은 것도 발견되고 있어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과의 관련도 엿볼 수 있다. 또 구덩식이 앞트기식으로 발전하면서 주로 많은 돌덧널을 가진 무덤으로 변해가는데, 고령 지산동에서는 돌덧널무덤과 봉분 둘레의 둘레돌 사이에 규모가 작은 돌널무덤이 여러 개 발견되었고, 이 돌널무덤들은 딸려묻기[殉葬]한 것들로 밝혀졌다.

돌방무덤

이 밖에 돌방무덤은 가야 말기에 고구려·백제 무덤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무덤형식으로 부부합장을 위해 추가장을 고려한 무덤이다. 앞트기식 돌덧널과 대체로 동일한 구조이나 널방[玄室]을 만들고 그것을 막은 한쪽 짧은 벽에 널길[羨道]이 달려 있는 것이 특색이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의 절상천정총(折上天井塚)이 대표적이며, 고령 고아리(古衙里)에서는 돌방에 벽화가 그려진 무덤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벽화고분의 사례는 당시 백제 문화의 영향으로 파악되고 있다. 가야의 돌방무덤은 산청·진주 등지에서도 발견되고 있으나 그 수는 많지 않다.

이렇게 다양한 묘제를 가진 가야고분은 대체로 돌널무덤 → 돌덧널무덤 → 돌방무덤 순으로 변천하는데, 각 고분에서는 토기를 비롯해 널과 널장식·장신구·무기·말갖춤새 등 각종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조영시기를 대표하는 각종 유물들은 가야의 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관련이미지 2

김해 수로왕릉

김해 수로왕릉 경남 김해시 서상동. 김수로는 김해김씨의 시조이며 가락국의 시조.

이미지 갤러리

출처: doopedia.co.kr

1/2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두산백과의 저작권은 doopedia(두산백과)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 이용허락 문의하기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