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국역 고려사 : 세가

현종 2년(1011) 신해년

• 2년 봄 정월

초하루 을해일. 거란 임금이 이끄는 군대가 개경으로 진입해 태묘(太廟)와 궁궐 및 민가를 모조리 불태워 버렸다. 이 날 왕은 광주(廣州 :지금의 경기도 광주시)에 머물고 있었다.
정축일. 호종했던 신하들이 하공진(河拱辰) 등이 포로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자 모두 놀라고 두려운 나머지 흩어져 달아나고, 시랑(侍郞) 충숙(忠肅)·장연우(張延祐)·채충순(蔡忠順)·주저(周佇)·유종(柳宗)·김응인(金應仁)1)만이 남아 있었다.
무인일. 왕의 행차가 광주(廣州)를 떠나 비뇌역(鼻腦驛 : 지금의 경기도 광주시와 양성 사이)에 묵었다.
임오일. 왕의 행차가 장곡역(長谷驛 : 지금의 전라북도 전주시 부근)에 묵었다.
을유일. 거란군이 퇴각했다.
병술일. 왕의 행차가 인의현(仁義縣 : 지금의 전라북도 태인군)을 지나 수다역(水多驛 :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부근)에 묵었다.
정해일. 왕의 행차가 노령(蘆嶺)2)을 넘어서 나주(羅州 :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에 들어갔다.
을미일. 왕이 개경으로 돌아가는 길에 복룡역(伏龍驛 : 지금의 광주광역시 복룡동)에서 묵었다.
무술일. 고부군(古阜郡 : 지금의 전라북도 고부군)에 묵었다.
기해일. 금구현(金溝縣 :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묵었다.
경자일. 전주(全州 : 지금의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이레 동안 유숙했다.
임인일. 양규(楊規)와 김숙흥(金叔興)3)이 거란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계묘일. 거란 임금의 군대가 압록강을 건너 퇴각했다.
○ 채충순을 비서감(秘書監)으로, 박섬(朴暹)을 사재경(司宰卿)으로, 주저(周佇)를 예부시랑(禮部侍郞)·중추원직학사(中樞院直學士)로, 한창필(韓昌弼)을 합문통사사인(閤門通事舍人)으로 각각 임명했다. 박섬은 안북(安北)에서 개경으로 도망쳐 왔다가 가족을 이끌고 고향인 무안현(務安縣 : 지금의 전라남도 무안군)으로 가던 길에 왕 일행을 만나 나주까지 따라갔으나 얼마 후 귀향해 버렸다. 그가 거란군의 퇴각 소식을 듣고 왕을 찾아뵙자 관직을 주었는데, 당시 여론이 그의 이러한 태도를 비난했다.

• 2월

정미일. 왕 일행이 전주(全州)를 떠나 여양현(礪陽縣 : 지금의 전라북도 여산)에서 묵었다.
무신일. 공주(公州 :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엿새 동안 유숙하면서 김은부(金殷傅)의 맏딸을 왕비4)로 맞아들였다.
경술일. 김계부(金繼夫)5)를 병부시랑으로, 이단(李端)6)을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郞)으로 각각 임명했다.
정사일. 청주(淸州 :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묵었다.
기미일. 연등회를 행궁(行宮)에서 열고 그 후 2월 15일에 여는 것을 상례로 했다.
경신일. 청주를 떠났다.
정묘일. 개경으로 돌아와 수창궁(壽昌宮)7)에 들었다.
기사일. 형부(刑部)에서, 유언경(劉彦卿)이 대대로 나라의 은혜를 받은 몸이면서도 보답하려하지 않고 먼저 적에게 항복하였으니 그 처자를 유배보내라고 요청하자, 그 건의에 따랐다.

• 3월

무자일. 탁사정(卓思政)8)을 어사중승(御史中丞)으로 임명했다.
신축일. 유진(劉瑨)을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로, 조지린(趙之遴)·최사위(崔士威)를 참지정사(叅知政事)로 각각 임명했다.

• 여름 4월

정미일. 탁사정(卓思政)을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로 삼았다.
○가뭄이 오래 계속되자 종묘에서 비를 빌었다. 시장을 옮기고 도살을 금지했으며 우산과 부채를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 또 억울하게 투옥된 자가 없는지 조사하고 살림이 궁핍한 자를 구휼했다.
기유일. 황보유의(皇甫兪義)와 최창(崔昌)9)을 시어사(侍御史)로, 유소(柳韶)를 전중시어사로, 김종현(金宗鉉)10)과 박종검(朴從儉)11)을 감찰어사(監察御史)로 임명했다.
임자일. 전사한 어사중승(御史中丞) 노정(盧頲)에게 예빈경(禮賓卿)을 추증하였다.
병진일. 전사한 대장군 채온겸(蔡溫謙)12)·신녕한(申寧漢)과 낭장(郞將) 원태(元泰), 별장(別將) 최원(崔元), 습유(拾遺) 승리인(乘里仁), 태사승(太史丞) 유인택(柳仁澤)의 집에 쌀과 베를 차등있게 내려주었다.
정사일. 해당 관청에 지시해 각 지역에서 전사한 사람들의 유골을 수습해 매장하고 제사를 지내주게 했다.
○재상(宰相)13)들에게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논어(論語)』에는 ‘위태한데도 지탱해 주지 않고 엎어지는데도 붙들어 주지 않는다면 그러한 재상을 장차 어디에 쓸 것인가?’라는 말이 나오고, 『서경(書經)』에는 ‘나무를 먹줄을 따라 자르면 바른 재목이 되고 임금이 간언을 좇으면 성군이 된다.’는 말이 있다. 임금이 과오를 저지른다면 의리상 신하가 어찌 바로잡지 않을 수 있겠는가? 짐이 외람되게 왕위에 오른 후 온갖 어렵고 위태한 일들을 겪으면서 밤낮으로 근신하면서 허물을 면할 길을 생각하고 있으니 경들도 나의 부족함을 힘껏 보필하고 또 겉으로만 순종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이정(李靖)14)과 최보성(崔輔成)15)을 상서좌·우승(尙書左右丞)으로 각각 임명했다.
신유일. 송악(松嶽 : 지금의 개성직할시 송악산)에서 기우제를 지내자 비가 크게 내렸다.
을축일. 공부낭중(工部郞中) 왕첨(王瞻)을 거란에 보내 철군해 준 것에 대해 사례했다. 앞서 왕이 거란에 사신을 보내려고 태사(太史)를 시켜 점을 치게 했더니 ‘건지고(乾之蠱)’16)라는 점괘를 얻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건(乾)은 임금과 아비를 상징하는 괘로, 건이 튼튼하면 만사가 형통하는 법이니, 건괘의 구오(九五)에는 ‘용이 하늘로 날아오르니 마땅히 대인을 만날 것이다(利見大人).’17)라고 했습니다. 또한 고괘(蠱卦)는 존귀한 자가 위에 있고 비천한 자가 아래에 있음을 상징하니, 이것 또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섬기는 괘입니다. 따라서 이번 사행(使行)은 길할 것입니다.”
정묘일. 영빈관(迎賓館)·회선관(會仙館)을 설치해 각국의 사신을 접대하게 하였다.

• 5월

을해일. 동북여진(東北女眞)18)의 추장 서을두(鉏乙豆)가 그 족속 70명을 거느리고 와서 특산물을 바치므로, 각기 의복과 은그릇을 내려주었다.
무인일. 유방(庾方)19)을 병부상서(兵部尙書) 겸 상장군으로, 최현민(崔賢敏)을 공부상서(工部尙書)로, 김심언(金審言)을 예부상서(禮部尙書)로, 최충(崔冲)을 우습유(右拾遺)로 각각 임명했다.
정해일. 평양(平壤)의 목멱(木覓)20)·교연(橋淵)21)·도지암(道知巖)22)·동명왕(東明王)23) 등의 신령들에게 훈호를 덧붙여 주었다.
정유일. 박승(朴昇)24)을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 임명했다.

• 6월

초하루 계묘일. 강감찬(姜邯贊)을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로 임명했다.
정묘일. 이정(李靖)을 전중감(殿中監)으로, 손몽주(孫夢周)25)를 상서좌승(尙書左丞)으로 각각 임명했다.

• 가을 7월

계유일. 최사위(崔士威)를 서북면26)행영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로, 장연우(張延祐)와 채충순(蔡忠順)을 함께 중추사(中樞使)로 각각 임명했다.
갑신일. 형부(刑部)에서,
“낭중(郞中) 백행린(白行隣)은 주상께서 남쪽으로 피난가실 때 개경에 그대로 머문 채 자칭 어사중승(御史中丞)이라 하면서 이인례(李因禮)·거정(巨貞)27) 등과 더불어 노비들을 불러 모아 군대를 조직했으나, 적을 보고는 싸우지도 않고 궤멸되어 버렸으니 사판(仕版)에서 이름을 삭제해야 합니다.”
라고 건의하자 왕이 허락했다.
임진일. 왕이,
“지난해 거란이 서경(西京)을 포위하였을 때, 승려 법언(法言)28)은 의롭게 용맹을 떨치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으니 수좌(首座)29)로 추증하라.”
고 지시했다.

• 8월

계묘일. 형부(刑部)에서,
“조용겸(趙容謙)30)·유승건(柳僧虔)·이재(李載)·최집(崔檝)·최성의(崔成義)·임탁(林卓)은 주상께서 남쪽으로 피난 가 계실 때 그 곳에서 조정을 놀라게 만들었으니, 관리의 자격을 박탈하고 유배보내십시오.”
라고 건의하자 이를 받아들였다.
갑진일. 양진(梁稹)31)을 어사중승으로 임명했다.
을사일. 문인위(文仁渭)를 상서우복야로, 박충숙(朴忠淑)을 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로 각각 임명했다.
경술일. 장연우(張延祐)를 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로 임명했다.
병진일. 강조(康兆) 일당을 논죄해 탁사정(卓思政)·박승(朴昇)·최창(崔昌)·위종정(魏從政)32)·강은(康隱)을 바닷섬으로 각각 유배보냈다.
정사일. 황보유의(皇甫兪義)를 이부낭중으로, 유소(柳韶)를 시어사로, 조자기(曹子奇)33)·이택성(李擇成)을 전중시어사로, 이인택(李仁澤)34)을 감찰어사로 각각 임명했다.
을축일. 호부시랑 최원신(崔元信)35)을 거란으로 보냈다.
병인일. 왕이 관인전(寬仁殿)의 문으로 가 노인과 고아 및 자식 없는 늙은이와 중환자들에게 음식을 나누어주고 차등있게 물품을 내려주었다.
기사일. 참지정사 최사위(崔士威)를 서경유수로 임명했다.
○ 이 달에 송악성(松嶽城)36)을 증축하고 서경(西京)에 황성(皇城)37)을 수축했다.
○ 동여진(東女眞)이 1백여 척의 배로 경주(慶州 :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를 침구했다.

• 9월

병자일.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참지정사(叅知政事) 조지린(趙之遴)이 죽었다.
○ 최사위(崔士威)를 이부상서(吏部尙書)로, 박섬(朴暹)을 장작감(將作監)으로, 강의(康義)를 상서우승(尙書右丞)으로, 박종검(朴從儉)을 시어사(侍御史)로 각각 임명했다.
을유일. 탐라(耽羅 : 지금의 제주도)에서 나라 안의 다른 주군(州郡)의 예에 따라 주기(朱記)38)를 내려줄 것을 간청하므로, 이를 허락하였다.
임진일. 이방(李昉)을 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로 임명했다.

• 겨울 10월

초하루 경자일. 병부상서(兵部尙書) 유방(庾方)을 참지정사(叅知政事)·서경유수 겸 서북면행영도병마사(西北面行營都兵馬使)로 임명했다.
을축일. 도관낭중(都官郞中) 김숭의(金崇義)를 거란으로 보내어 동지를 하례하게 했다.
○ 상서(尙書) 장연제(張延穄)에게 분부해 궁궐을 수리하게 하였다.

• 11월

임오일. 형부시랑(刑部侍郞) 김은부(金殷傅)를 거란으로 보내 거란 임금의 생일을 축하하게 했다.

• 12월

기유일. 문인위(文仁渭)를 참지정사(叅知政事)로 임명했다.
○ 이 달에 거란이 하공진(河拱辰)을 죽였다.

二年 春正月 乙亥朔 契丹主入京城, 焚燒太廟·宮闕·民屋皆盡. 是日, 王次廣州. 丁丑 扈從諸臣, 聞拱辰等被執, 皆驚懼散走, 惟侍郞忠肅·張延祐·蔡忠順·周佇·柳宗·金應仁不去. 戊寅 王發廣州, 次鼻腦驛. 壬午 次長谷驛. 乙酉 丹兵退. 丙戌 王過仁義縣, 次水多驛. 丁亥 踰蘆嶺, 入羅州. 乙未 王回駕, 次伏龍驛. 戊戌 次古阜郡, 己亥 次金溝縣, 庚子 次全州, 留七日. 壬寅 楊規·金叔興與契丹戰死. 癸卯 契丹主渡鴨綠江引去. 以蔡忠順爲秘書監, 朴暹爲司宰卿, 周佇爲禮部侍郞中樞院直學士, 韓昌弼爲閤門通事舍人. 暹自安北遁還京都, 挈家往其鄕務安縣, 道逢車駕, 隨至羅州, 已而辭歸. 又聞兵退來謁, 乃有是命, 時議譏之.

二月 丁未 發全州, 次礪陽縣. 戊申 次公州, 留六日, 納金殷傅長女爲妃. 庚戌 以金繼夫爲兵部侍郞, 李端爲吏部員外郞. 丁巳 次淸州. 己未 設燃燈會于行宮, 是後, 例以二月望, 行之. 庚申 發淸州. 丁卯 還京都, 入御壽昌宮. 己巳 刑部奏, “劉彦卿世受國恩, 不思報效, 率先降敵, 請流配妻子.” 從之.

三月 戊子 以卓思政爲御史中丞. 辛丑 以劉瑨爲內史侍郞平章事, 趙之遴·崔士威叅知政事.

夏四月 丁未 以卓思政爲右諫議大夫. 以久早, 禱雨于宗廟. 移市肆, 禁屠宰, 斷繖扇, 審寃獄, 恤窮匱. 己酉 以皇甫兪義·崔昌並爲侍御史, 柳韶爲殿中侍御史, 金宗鉉·朴從儉並爲監察御史. 壬子 贈戰沒中丞盧頲, 禮賓卿. 丙辰 賜戰沒大將軍蔡溫謙·申寧漢, 郞將元泰, 別將崔元, 拾遺乘里仁, 太史丞柳仁澤家, 米布有差. 丁巳 命有司, 收瘞中外戰死骸骨, 祭之. 敎宰相曰, “語云, ‘危而不持, 顚而不扶, 將焉用彼相.’ 書曰, ‘惟木從繩則正, 后從諫則聖.’ 君臣之義, 得不悉心以匡救乎? 朕自叨纘服, 備歷艱危, 夙夜兢愧, 思免厥愆, 卿等勉輔不逮, 且無面從.” 以李靖·崔輔成爲尙書左·右丞. 辛酉 禱雨于松嶽, 大雨. 乙丑 遣工部郞中王瞻如契丹, 謝班師. 先是, 王欲遣使契丹, 命太史筮之, 得乾之蠱, 奏曰, “乾, 爲君爲父, 乾健則無所不通, 九五曰, ‘飛龍在天, 利見大人.’ 蠱之爲卦, 尊者在上, 卑者在下, 此亦以下事上之象, 吉.” 丁卯 置迎賓·會仙二館, 以待諸國使.

五月 乙亥 東北女眞酋長鉏乙豆率其屬七十人來, 獻方物, 各賜衣服·銀皿. 戊寅 以庾方爲兵部尙書兼上將軍, 崔賢敏爲工部尙書, 金審言爲禮部尙書, 崔冲爲右拾遺. 丁亥 加平壤木覓·橋淵·道知巖·東明王等神勳號. 丁酉 以朴昇爲殿中侍御史.

六月 癸卯朔 以姜邯贊爲翰林學士承旨. 丁卯 以李靖爲殿中監, 孫夢周爲尙書左丞.

秋七月 癸酉 以崔士威爲西北面行營都統使, 張延祐·蔡忠順並爲中樞使. 甲申 刑部奏, “郞中白行隣, 當南幸之際, 留在京城, 自稱御史中丞, 與李因禮·巨貞等, 召募徒奴爲軍, 見敵不戰而潰, 請除名.” 從之. 壬辰 敎曰, “去年, 契丹圍西京, 沙門法言, 見義奮勇, 忘生徇國, 可贈首座.”

八月 癸卯 刑部奏, “趙容謙·柳僧虔·李載·崔檝·崔成義·林卓, 當南幸之時, 驚動行宮, 請除名支配.” 從之. 甲辰 以梁稹爲御史中丞. 乙巳 以文仁渭爲右僕射, 朴忠淑爲西京副留守. 庚戌 以張延祐判御史臺事. 丙辰 論康兆黨, 流卓思政·朴昇·崔昌·魏從政·康隱于海島. 丁巳 以皇甫兪義爲吏部郞中, 柳韶爲侍御史, 曹子奇·李擇成並爲殿中侍御史, 李仁澤爲監察御史. 乙丑 遣戶部侍郞崔元信如契丹. 丙寅 御寬仁殿門, 饗耆老·孤獨·篤疾者, 賜物有差. 己巳 以叅知政事崔士威爲西京留守. 是月, 增修松嶽城, 築西京皇城. 東女眞百餘艘, 寇慶州.

九月 丙子 左僕射叅知政事趙之遴卒. 以崔士威爲吏部尙書, 朴暹爲將作監, 康義爲尙書右丞, 朴從儉爲侍御史. 乙酉 耽羅乞依州郡例, 賜朱記, 許之. 壬辰 以李昉爲西京副留守.

冬十月 庚子朔 以兵部尙書庾方叅知政事西京留守兼西北面行營都兵馬使. 乙丑 遣都官郞中金崇義如契丹, 賀冬至. 命尙書張延穄, 修營宮闕.

十一月 壬午 遣刑部侍郞金殷傅如契丹, 賀生辰.

十二月 己酉 以文仁渭叅知政事. 是月, 契丹殺河拱辰.

관련이미지 6

고려사 - 현종 2년(1011) 신해년

고려사 - 현종 2년(1011) 신해년

이미지 갤러리

출처: 국역 고려사: 세가

1/6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국역 고려사 세가를 세트로 엮은 『국역 고려사 세가』세트. 전1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