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국역 고려사 : 세가

현종 21년(1030) 경오년

• 21년 봄 정월

정사일. 동여진 사람 오을라(烏乙那) 등 50명이 와서 말을 바쳤다.
병인일. 흥요국(興遼國)에서 다시 수부원외랑(水部員外郞) 고길덕(高吉德)을 보내 원군을 간청하는 표문을 올렸다.

• 2월

병술일. 채충순(蔡忠順)을 판서경유수사(判西京留守事)로, 이작인(李作仁)을 참지정사(叅知政事)로, 유소(柳韶)를 중추원사(中樞院使)로 각각 임명했다.
갑오일. 교주(交州 : 지금의 강원도 회양)·익령현(翼嶺縣 : 지금의 강원도 양양군)·동산현(洞山縣)에 지진이 발생하였다.
을미일. 동여진 사람 모일라(毛逸羅)가 와서 토종말을 바쳤다.
신축일. 적경궁주(積慶宮主)1)가 죽자 시호를 효혜(孝惠)라 하고 평릉(平陵)에 장사지냈다.

• 3월

계유일. 곽신(郭伸)2)을 우승선(右承宣)으로, 최연수(崔延壽)를 고공낭중(考功郞中) 겸 어사잡단(御史雜端)으로, 유운(柳雲)3)을 시어사(侍御史)로 각각 임명했다.

• 여름 4월

을유일. 왕이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지난해 12월이 송나라의 책력에는 30일로 나와 있는데 우리나라 태사(太史)가 올린 책력에는 29일로 되어 있다. 또 금년 정월 15일에는 월식이 있을 것이라 했지만 결국 그런 일이 없었다. 이는 필시 술가(術家)가 정밀하게 계산하지 못한 것이니, 어사대(御史臺)는 추궁해 보고하도록 하라.”
무자일. 동여진 사람인 만투(曼鬪) 등 60여 명이 와서 과선(戈船)4) 네 척과 싸리나무로 만든 화살 117,600개를 바쳤다.
갑오일. 왕이 문덕전(文德殿)에서 복시를 보이고 최유선(崔惟善) 등을 급제시켰다.
기해일. 철리국(鐵利國)5) 임금 나사(那沙)가 여진 사람 계타한(計陁漢) 등을 보내 담비 가죽을 바치고 책력을 요청하므로 주도록 허락했다.

• 5월

갑인일. 김맹(金猛)을 태자소부(太子少傅)로, 유징필(劉徵弼)을 태자빈객(太子賓客)으로, 황주량(黃周亮)을 태자우서자(太子右庶子)로, 최충(崔冲)을 태자우유덕(太子右諭德)으로 각각 임명했다.
을묘일. 동여진의 봉국대장군(奉國大將軍) 소물개(蘇勿蓋) 등이 와서 말 아홉 필과 과선(戈船) 세 척, 싸리나무로 만든 화살 58,600개와 병장기를 바쳤다.
을축일. 거란의 수군지휘사(水軍指揮使)·호기위(虎騎尉) 대도(大道)와 이경(李卿)6) 등 여섯 사람이 투항해왔다.
이 사건 이후 많은 거란 사람들과 발해 사람들이 투항해왔다.
신미일. 강감찬(姜邯贊)을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승진시켰다.

• 6월

신묘일. 참형(斬刑)과 교수형 판결을 받은 죄인을 특별히 감형해 먼 곳으로 유배보내고, 그 나머지는 모두 형벌을 면제시켰다.
○ 나성(羅城)과 중광사(重光寺)의 축성과 건축에 참여한 원리(員吏)·승려·속인·장인(匠人)을 모두 승진시키고, 부역자에게는 올해 바칠 조포(調布)를 감면해 주었으며, 주·군·현들의 미납된 조세 가운데 무진년까지의 조세를 면제시켜 주었다.
○ 인주(麟州 : 지금의 평안북도 의주 소속 지역)·위원진(威遠鎭 : 지금의 평안북도 의주군 위원면)·정융진(定戎鎭 : 지금의 평안북도 의주 소속 지역)의 성을 쌓는 일에 참여한 사람과 왕의 서쪽지방 순시에 호종해 공을 세운 사람을 차상급직으로 올려주고, 벼슬이 없는 사람[白身7)]에게는 차등을 두어 물품을 내려주었다.

• 가을 7월

갑자일. 적경공주(積慶公主)8)가 죽었다.
을축일. 흥요국(興遼國)의 행영도부서(行營都府署) 유충정(劉忠正)9)이 영주자사(寧州刺史) 대경한(大慶翰)편에 도움을 간청하는 표문을 보내왔다.
기사일. 송나라의 천주(泉州) 사람 노준(盧遵) 등이 와서 특산물을 바쳤다.
무인일. 내사시랑(內史侍郞) 진함조(晋含祚)10)가 죽었다. 그는 음양오행술을 연구해 나라에 일이 있을 때마다 도참설(圖讖說)로 대처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뒤에 중용되었으나 당시 사람들은 그를 경멸했다.

• 8월

무신일. 왕가도(王可道)를 내사시랑(內史侍郞)·판삼사사(判三司事)로, 이주좌(李周佐)를 어사중승(御史中丞)으로 각각 임명했다.

• 9월

초하루 신해일. 탐라(耽羅)에서 특산물을 바쳤다.
병진일. 흥요국(興遼國)의 영주자사(郢州刺史) 이광록(李匡祿)이 위기를 알리러 왔다가 나라가 멸망했다는 소식을 듣자 돌아가지 않고 눌러 앉았다.
갑술일. 김가(金哿)를 거란에 보내 동경(東京)을 수복한 것을 축하했다.
을해일. 거란이 천우장군(千牛將軍) 나한노(羅漢奴)편에,

“근자에 사신이 오가지 못한 것은 길이 막혔기 때문이다. 이제 발해 국왕을 자칭했던 자들이 모두 포위되었다가 항복해 왔으니, 그대 나라의 신하를 우리에게로 바로 보내어도 아무 염려가 없을 것이다.”

라는 조서를 보내왔다.

• 겨울 10월

초하루 신사일. 한조(韓祚)11)를 지서경유수사(知西京留守事)로 임명했다.
○ 이 달에 거란사람 해가(奚哥)12)와 발해 사람 5백여 명이 투항해오자, 강남(江南)의 각 고을에 거주하게 했다.

• 11월

을축일. 서여진 사람 만투(曼闘) 등 27가호가 귀부해 오자 동계(東界)에 거주하게 했다.
계유일. 어사잡단(御史雜端) 최연수(崔延壽)가, 참지정사(叅知政事) 이작인(李作仁)이 태조를 도와 개국한 공신의 후예라 사칭하고 그 아들에게 음직(蔭職)을 내리게 했으니 파면시켜야 한다고 탄핵했다.

• 12월

신묘일. 서눌(徐訥)을 문하시랑 동 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판상서이부사(判尙書吏部事)로 임명했다.
정유일. 중추원사(中樞院使) 김맹(金猛)이 죽었다.
계묘일. 최제안(崔齊顔)을 중추원사로, 황주량(黃周亮)을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 각각 임명했다.
○ 이 달에 동여진(東女眞)의 영새장군(寧塞將軍) 목사아골(睦史阿骨)과 유원장군(柔遠將軍) 알라(閼那) 및 귀덕장군(歸德將軍) 아개주(阿箇朱)가 와서 말과 철갑옷 및 싸리나무로 만든 화살을 바쳤다.
○ 개경에 전염병이 돌아 사람이 많이 죽었다.

二十一年 春正月 丁巳 東女眞烏乙那等五十人來, 獻馬. 丙寅 興遼國又遣水部員外郞高吉德, 上表乞師.

二月 丙戌 以蔡忠順判西京留守事, 李作仁叅知政事, 柳韶爲中樞使. 甲午 交州·翼嶺·洞山縣地震. 乙未 東女眞毛逸羅來, 獻土馬. 辛丑 積慶宮主卒, 謚孝惠, 葬平陵.

三月 癸酉 以郭伸爲右承宣, 崔延壽爲考功郞中兼御史雜端, 柳雲爲侍御史.

夏四月 乙酉 敎曰, “上年十二月, 宋曆以爲大盡, 而我國太史所進曆以爲小盡. 又今正月十五日, 奏太陰食, 而卒不食. 此必術家未精也, 御史臺推鞫以聞.” 戊子 東女眞曼鬪等六十餘人來, 獻戈船四艘, 楛矢十一萬七千六百. 甲午 御文德殿, 覆試, 賜崔惟善等及第. 己亥 鐵利國主那沙遣女眞計陁漢等來, 獻貂鼠皮, 請曆日, 許之.

五月 甲寅 以金猛爲太子少傅, 劉徵弼爲太子賓客, 黃周亮爲太子右庶子, 崔冲爲太子右諭德. 乙卯 東女眞奉國大將軍蘇勿蓋等來, 獻馬九匹, 戈船三艘, 楛矢五萬八千六百及器仗. 乙丑 契丹水軍指麾使·虎騎尉大道李卿等六人來投. 自是, 契丹·渤海人來附甚衆. 辛未 加姜邯贊門下侍中.

六月 辛卯 特赦殊死二罪, 流遠地, 餘皆原之. 築羅城, 營重光寺員吏·僧·俗·工匠, 並加階職, 赴役者, 減今年調布, 諸州郡縣逋欠, 限戊辰年蠲免. 城麟州·威遠·定戎鎭及西巡扈從有功勞者, 加次第職, 白身賜物有差.

秋七月 甲子 積慶公主卒. 乙丑 興遼國行營都部署劉忠正遣寧州刺史大慶翰, 賫表來乞援. 己巳 宋泉州人盧遵等來, 獻方物. 戊寅 內史侍郞晋含祚卒. 含祚治術數, 每遇國家有事, 輒質以圖讖, 遂至大用, 時議輕之.

八月 戊申 以王可道爲內史侍郞判三司事, 李周佐爲御史中丞.

九月 辛亥朔 耽羅獻方物. 丙辰 興遼國郢州刺史李匡祿來, 告急, 尋聞國亡, 遂留不歸. 甲戌 遣金哿如契丹, 賀收復東京. 乙亥 契丹遣千牛將軍羅漢奴來, 詔曰, “近不差人往還, 應爲路梗. 今渤海偸主, 俱遭圍閉, 並已歸降, 宜遣陪臣, 速來赴國, 必無虞慮.”

冬十月 辛巳朔 以韓祚知西京留守事. 是月, 契丹奚哥, 渤海民五百餘人來投, 處之江南州郡.

十一月 乙丑 西女眞曼闘等二十七戶來附, 處之東界. 癸酉13) 御史雜端崔延壽劾奏, “叅知政事李作仁詐稱太祖功臣後, 蔭其子, 免官.”

十二月 辛卯 以徐訥爲門下侍郞同平章事判尙書吏部事. 丁酉 中樞使金猛卒. 癸卯 以崔齊顔爲中樞使, 黃周亮爲中樞副使. 是月, 東女眞寧塞將軍睦史阿骨, 柔遠將軍閼那, 歸德將軍阿箇朱來, 獻馬及鐵甲·楛矢. 京城疫, 人多死.

관련이미지 4

고려사 - 현종 21년(1030) 경오년

고려사 - 현종 21년(1030) 경오년

이미지 갤러리

출처: 국역 고려사: 세가

1/4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국역 고려사 세가를 세트로 엮은 『국역 고려사 세가』세트. 전1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