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地圖. 三 (지도삼) – 함경북도

뒤로가기
地圖. 三 (지도삼)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地圖. 三
– 함경북도
지도삼, Jido 3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고종21(1884)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린단(加麟端)
002. 가마덕(加馬德)
003. 가이봉(加伊峯)
004. 감토봉(甘土峯)
005. 강부소현(姜夫所峴)
006. 건원(乾原)
007. 경개령(慶開嶺)
008. 경성(鏡城)
009. 경원(慶源)
010. 경흥(慶興)
011. 고건원(古乾原)
012. 고령(高嶺)
013. 고참(古站)
014. 국사현(國士峴)
015. 굴산(窟山)
016. 귀문관(鬼門關)
017. 금장사(金莊寺)
018. 기운봉(起雲峯)
019. 길주(吉州)
020. 나단산(羅端山)
021. 남노지(南老知)
022. 남증산(南增山)
023. 녹둔도(鹿屯島)
024. 녹야현(鹿野峴)
025. 대각봉(大角峯)
026. 대지(大池)
027. 대홍단(大紅丹)
028. 덕만동(德萬洞)
029. 덕명(德明)
030. 도산(刀山)
031. 독덕(獨德)
032. 동건산(童巾山)
033. 동관(潼關)
034. 동랑산(冬郞山)
035. 동령(東嶺)
036. 동석포(東石浦)
037. 두리산(豆里山)
038. 두만강(豆滿江)
039. 마유산(馬乳山)
040. 마전(麻田)
041. 마천령(摩天嶺)
042. 명간사(明澗社)
043. 명천(明川)
044. 모덕(牟德)
045. 무산(茂山)
046. 무산령(茂山嶺)
047. 무이(撫夷)
048. 미전(美錢)
049. 밀무현(密無峴)
050. 박하천(朴下川)
051. 반교(半橋)
052. 방산창(防山倉)
053. 방원(防垣)
054. 백두산(白頭山)
055. 백악(白岳)
056. 보다산(寶多山)
057. 보화(寶化)
058. 볼하(乶下)
059. 부계촌(涪溪村)
060. 부령(富寧)
061. 부유세현(夫有世峴)
062. 부포(夫浦)
063. 북병(北兵)
064. 북행궁(北行宮)
065. 분수령(分水嶺)
066. 사정동(斜丁洞)
067. 사하북(斜下北)
068. 삼산(三山)
069. 삼지(三池)
070. 서북(西北)
071. 서북천(西北川)
072. 서수라(西修羅)
073. 설령(雪嶺)
074. 성진(城津)
075. 세곡(細谷)
076. 소백산(小白山)
077. 소백산(小白山)
078. 소홍단(小紅丹)
079. 송진산(松眞山)
080. 수성(輸城)
081. 아산(阿山)
082. 아오지(阿吾池)
083. 안원(安原)
084. 암문(巖門)
085. 야록창(野鹿倉)
086. 양영(梁永)
087. 어랑(於郞)
088. 어유간(魚游澗)
089. 역산(櫟山)
090. 연지봉(臙脂峯)
091. 영강(永康)
092. 영달(永達)
093. 오롱초산(五弄草山)
094. 오촌(吾村)
095. 온성(穩城)
096. 온천(溫泉)
097. 완항령(緩項嶺)
098. 운두성(雲頭城)
099. 원산(圓山)
100. 원수대(元帥臺)
101. 원평(院坪)
102. 유동(柳洞)
103. 유성동(柳城洞)
104. 유원(柔遠)
105. 윤성도(輪城道)
106. 응봉(鷹峯)
107. 이도(珥島)
108. 이현(利峴)
109. 임명(臨溟)
110. 입모봉(笠帽峯)
111. 입비(立碑)
112. 장고개(場古介)
113. 장군파(將軍坡)
114. 장덕산(長德山)
115. 장백산(長白山)
116. 장판(長板)
117. 재덕(在德)
118. 적도(赤島)
119. 적지(赤池)
120. 조산(造山)
121. 종성(鐘城)
122. 주을온(朱乙溫)
123. 주촌(朱村)
124. 중덕(中德)
125. 차유령(車踰嶺)
126. 참두령(斬頭嶺)
127. 천평(天坪)
128. 청계산(淸溪山)
129. 최세동(崔世洞)
130. 칠보산(七寶山)
131. 칠영동(七榮洞)
132. 칠칠파(漆漆波)
133. 탑평(塔坪)
134. 토문강원(土門江源)
135. 판막령(板幕嶺)
136. 평광(平廣)
137. 폐무산(廢茂山)
138. 풍산(豊山)
139. 풍파(豊坡)
140. 해진(海津)
141. 해창(海倉)
142. 허통동(虛通洞)
143. 허항령(虛項嶺)
144. 형제암(兄弟巖)
145. 호수(湖水)
146. 황척파(黃拓波)
147. 회령(會寧)
148. 회완역(懷緩驛)
149. 훈융(訓戎)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地圖. 三 (지도삼) – 함경북도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고종21(1884)
설명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지도삼 목차60
지도삼 – 함경북도지도삼 – 함경북도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地圖. 三
(지도삼)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