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국역 고려사 : 세가

예종 15년(1120) 경자년

• 15년 봄 2월

병신일. 왕이 남경에 행차했다.

• 여름 4월

계유일. 왕이 남경에서 돌아왔다.

• 5월

신해일. 왕이 건덕전(乾德殿)에 행차해 복시(覆試)를 보였다.
정사일. 이지저(李之氐) 등을 급제1)시켰다.
갑자일. 산천과 사직에 비를 빌었다.
을축일. 왕사(王師) 덕연(德緣)을 불러 『금강경(金剛經)』2)을 강론하게 하고, 승려들에게 음식을 대접했다.
무진일. 불골(佛骨)을 대궐로 들여왔다. 애초 왕자지(王字之)가 사신 갔다가 귀국하는 편에 송나라 황제가 금함(金函)에 부처의 치아와 두골(頭骨)을 담아서 보내주었는데, 이를 외제석원(外帝釋院)에 두었다가 이 날 산호정(山呼亭)3)에 안치한 것이다.

• 6월

초하루 경오일.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신미일. 기우제를 지냈다.
갑술일. 왕이 청연각(淸讌閣)에서, 박승중(朴昇中)을 시켜 『서경(書經)』의 「홍범편(洪範篇)」을 강론하게 했다.
병자일. 김준(金晙)을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이궤(李軌)를 수사공(守司空)·좌복야(左僕射)·참지정사(叅知政事), 임유문(林有文)을 우복야(右僕射)·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로, 박경인(朴景仁)을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한안인(韓安仁)을 예부상서(禮部尙書)로, 최홍재(崔弘宰)를 형부상서(刑部尙書), 윤유지(尹惟贄)를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로, 송수(宋秀)를 병부상서(兵部尙書)로 각각 임명했다.
기묘일. 왕이 청연각에서 국자좨주(國子祭酒) 정극영(鄭克永)을 시켜 『예기(禮記)』의 「월령(月令)」4)을 강론하게 했다.
갑신일. 왕이 건덕전에서 보살계를 받았다.
병술일. 억울하게 수감된 죄수들이 없는지 재심사했다.
정해일. 왕이 친히 복원궁(福源宮)5)에서 초제(醮祭)를 지낸 후 안화사의 순덕왕후 진당(眞堂)에 들러 술잔을 올리면서 눈물을 흘렸다.
신묘일. 송나라의 상인 임청(林淸) 등이 꽃나무를 바쳤다.
정유일. 왕이 청연각에서 김연을 시켜 『서경(書經)』의 「태갑(太甲)」을 강론하게 했다.

• 가을 7월

갑진일. 요나라에서 악원부사(樂院副使) 소준례(蕭遵禮) 편에 다음과 같은 조서를 보냈다.

“올린 표문을 살펴보고 모든 것을 잘 알았다. 경은 동쪽 변방에 나라를 세우고 우리 조정의 번방(藩邦)이 되었다. 그런데 두 비천한 무리6)들이 병란을 일으킨 후로 그 쪽으로 통하는 길이 막히는 바람에, 지난번 세자를 책봉해 달라는 경의 소원도 아직 이루어주지 못했다. 그러나 근래에도 경은 짐을 도우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적도들과 전투를 벌이기도 했으니,7) 그 일만 생각하면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 없다. 다시 적당한 기회를 타서 도적을 소탕할 계획으로, 얼마 전에 비밀 조서를 보내 이 뜻을 알리려 했는데, 마침 가는 길에 장애가 많아 많은 사람들이 가기가 곤란했다. 더러는 길을 에둘러 배편을 이용하기도 했지만 책봉의 조서는 전달하지 못하고 약간의 예물만을 보내 간신히 짐의 성의만 표했던 것인데 뜻밖에 사례하는 글을 올렸으니, 경의 정성을 더욱 잘 깨닫게 되었다. 더욱이 그 말은 진심에서 나왔으며 짐의 은혜에 보답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음을 알았다. 이렇듯 강개한 마음을 더하였으니 반드시 적을 소탕하기에 노력해야 할 것이며, 공동의 원수를 앞에 둔 처지에 이렇게 하는 것은 당연한 순리일 것이다. 실제로 성과가 나타나는가 살피면서 다음 표문을 기다렸다가 다시 회답을 보낼 터이니 그대로 준수해 주기를 바란다.”

경술일. 원구단(圓丘壇)과 종묘·사직 및 산천의 신령을 모신 사당에서 비를 내려달라고 기도했다.
을묘일. 왕이 천화사(天和寺)8)에 행차했다. 지녹연(智祿延)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로, 이란(李鸞)을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각각 임명했다.
임술일. 송나라에서 승신랑(承信郞) 허립(許立)과 진무교위(進武校尉) 임대용(林大容) 등을 보내왔다.9)
을축일. 중서시랑평장사로 은퇴한 강증(康拯)이 죽었다.

• 8월

여름부터 시작된 가뭄이 이달까지 계속되니, 모든 곡식이 여물지 않았고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
신미일. 왕이 외제석원(外帝釋院)에 행차해서 5부로 하여금 사흘 간 『반야경(般若經)』10)을 독송해 전염병을 물리치도록 지시했다.
갑술일. 억울하게 수감된 죄수가 없는지 재심사했다. 문덕전(文德殿)에서 이레동안 불정도량(佛頂道場)을 열었다.
무인일. 왕이 선정전(宣政殿)에서 중죄수들의 형량을 결정했다.
경진일. 왕이 안화사의 순덕왕후 진당(眞堂)을 찾아가 한참이나 슬퍼하니 곁에 있던 신하들 중에 눈물을 흘리는 사람도 있었다.
신사일. 좌정언(左正言) 홍약이(洪若伊)11)가 현 정치의 잘잘못을 따지는 소를 올리자 왕이 기꺼이 용납했다.
을유일. 왕이 서경(西京 : 지금의 평양특별시)에 행차했다.
무자일. 수성(壽星)12)이 보였다.
정유일. 흥복사(興福寺)와 영명사(永明寺)에 가서 밀물이 들어오는 광경을 구경[觀潮13)]했다.
무술일. 왕이 대동강에서 배를 타고 고기잡는 광경을 구경[觀魚14)]했다.

• 9월

초하루 기해일. 왕이 영명사에 가서 밀물이 들어오는 광경을 구경했다.
계묘일. 순덕왕후(順德王后)의 대상(大祥)날을 맞아, 상안전(常安殿)에서 승려들에게 음식을 대접했다.
을사일. 장락전(長樂殿)에 소재도량(消灾道場)을 열었다.
무신일. 왕이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짐이 즉위한 이래로 두 차례 배경(陪京)15)을 순수(巡狩)했는데 첫 번째는 잠시 왔다가 곧 돌아갔으나 지금은 오래 머물러도 아무 걱정이 없다. 그래서 짐이 작은 은혜나마 베풀어 여러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싶다. 8월 을유일 이후 본의 아니게 죄를 저질러 해당 관청으로부터 탄핵을 당한 자와 동(銅)을 바쳐 대속(代贖)했거나 기와를 징수 당한16) 범죄자들은 모두 면제해 주도록 하라.”
계축일. 왕이 장락전에서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면서, 친히 「수성명사(壽星明詞)」를 짓고, 악공을 시켜 노래로 부르게 했다.
을묘일. 억울하게 수감된 죄수가 없는지 재심사했다.
계해일. 추밀원사(樞密院使)로 은퇴한 김한충(金漢忠)이 죽었다.

• 겨울 10월

초하루 무진일. 일식이 있었다.
신사일. 팔관회를 열고 왕이 잡희(雜戱)를 관람했다. 국초(國初)의 공신인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의 모습을 본 뜬 우상을 본 왕이 감탄하여 시를 지었다.17)

• 11월

임인일. 왕이 서경으로부터 돌아와 죄수들을 사면했다.
갑진일. 억울하게 수감된 죄수가 없는지 재심사했다.
계해일. 왕이 청연각에서 김부일(金富佾)을 시켜 『시경(詩經)』의 「반수(泮水)」를 강론하게 했다.

• 12월

초하루 정묘일. 순덕왕후의 상(喪)이 끝났으므로 왕이 태자(太子)와 평장사(平章事) 이자겸(李資謙), 지주사(知奏事) 이자량(李資諒) 등을 불러 술자리를 마련해 놓고 한껏 즐겼으며 후한 선물도 주었다.
갑신일. 왕이 친히 복원궁(福源宮)에서 초제를 지낸 후, 안화사에 행차했다.
신묘일. 왕연(王演)을 검교사도(檢校司徒)·수사공(守司空)·진강백(晋康伯)으로, 왕시(王禔)를 검교사도(檢校司徒)·수사공(守司空)으로, 박경인(朴景仁)을 수사공(守司空)·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참지정사(叅知政事)로 각각 임명한 후 은퇴하게 했다.

十五年 春二月 丙申 幸南京.

夏四月 癸酉 至自南京. 五月 辛亥 御乾德殿, 覆試. 丁巳 賜李之氐等及第. 甲子 禱雨于山川·社稷. 乙丑 召王師德緣, 講金剛經, 飯僧. 戊辰 迎入佛骨于禁中. 初王字之使還, 宋帝以金函, 盛佛牙頭骨以賜, 置外帝釋院, 至是, 置于山呼亭.

六月 庚午朔 王如奉恩寺. 辛未 雩. 甲戌 御淸讌閣, 命朴昇中講書洪範. 丙子 以金晙爲中書侍郞平章事, 李軌守司空左僕射叅知政事, 林有文爲右僕射知門下省事, 朴景仁知樞密院事, 韓安仁爲禮部尙書, 崔弘宰爲刑部尙書, 尹惟贄爲尙書右僕射, 宋秀爲兵部尙書. 己卯 御淸讌閣, 命國子祭酒鄭克永, 講禮月令. 甲申 王受菩薩戒于乾德殿. 丙戌 慮囚. 丁亥 親醮于福源宮, 遂幸安和寺順德王后眞堂, 薦酌流涕. 辛卯 宋商林淸等獻花木. 丁酉 御淸讌閣, 命金緣, 講書大甲.

秋七月 甲辰 遼遣樂院副使蕭遵禮來. 詔曰, “省所上表, 具悉. 卿東陲立社, 北闕稱藩. 自二孽之戎生, 致一方之路阻, 嚮祈立嗣, 未始行封. 近稔勤王, 又嘗敵愾, 每念至此, 已多憮然. 更待乘宜, 輒圖蕩寇, 頃頒密詔, 俾諭玆懷, 道會多艱, 人難偕往. 或旋泝楫, 莫達封函, 賜幣微通, 僅能將意. 謝章遽拜, 益驗輸誠. 而又言出由衷, 心期報上. 旣增慷慨, 須事澄淸, 固在同仇, 是爲大順. 佇觀實效, 續俟來音, 更示頒宣, 第思遵領.” 庚戌 禱雨于圓丘·廟社·群望. 乙卯 幸天和寺. 以智祿延爲西北面兵馬使, 李鸞爲東北面兵馬使. 壬戌 宋遣承信郞許立·進武校尉林大容等來. 乙丑 中書侍郞平章事致仕康拯卒.

八月 自夏不雨, 至于是月, 五穀不登, 疫癘大興. 辛未 幸外帝釋院, 命五部, 讀般若經三日, 以禳疫癘. 甲戌 慮囚. 設佛頂道場於文德殿七日. 戊寅 御宣政殿, 決重刑. 庚辰 幸安和寺順德王后眞堂, 感傷久之, 左右有流涕者. 辛巳 左正言洪若伊上imagefont, 論時政得失, 嘉納之. 乙酉 幸西京. 戊子 壽星見. 丁酉 幸興福·永明寺, 觀潮. 戊戌 幸大同18)江, 登舟觀魚.

九月 己亥朔 幸永明寺, 觀潮. 癸卯 以順德王后大祥, 飯僧于常安殿. 乙巳 設消灾道場于長樂殿. 戊申 制曰, “朕卽位以來, 再巡陪京, 昔旋至而卽歸, 今久安而無患. 庶推小惠, 以慰輿情. 八月乙酉以後, 誤有所犯, 爲所司論劾, 及贖銅徵瓦, 咸除之.” 癸丑 宴群臣於長樂殿, 親製壽星明詞, 使樂工歌之. 乙卯 慮囚. 癸亥 樞密院使致仕金漢忠卒.

冬十月 戊辰朔 日食. 辛巳 設八關會, 王觀雜戱. 有國初功臣金樂·申崇謙偶像, 王感歎賦詩.

十一月 壬寅 王至自西京, 赦. 甲辰 慮囚. 癸亥 御淸讌閣, 命金富佾, 講詩泮水.

十二月 丁卯朔 王以順德王后喪畢, 召太子及平章事李資謙, 知奏事李資諒等, 置酒極歡, 恩甚渥. 甲申 親醮于福源宮, 遂幸安和寺. 辛卯 以演檢校司徒守司空晉康伯, 禔檢校司徒守司空, 朴景仁守司空尙書左僕射叅知政事, 仍令致仕.

관련이미지 5

고려사 - 예종 15년(1120) 경자년

고려사 - 예종 15년(1120) 경자년

이미지 갤러리

출처: 국역 고려사: 세가

1/5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국역 고려사 세가를 세트로 엮은 『국역 고려사 세가』세트. 전1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