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국역 고려사 : 세가

성종 13년(994) 갑오년

• 13년 봄 2월

○ 소손녕(蕭遜寧)이 다음과 같은 글을 보내왔다.

“근래에 우리 황제께서 보낸 조칙은 이러합니다. ‘고려와는 일찍부터 우호관계를 맺어왔고 국경이 서로 접해 있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길 경우 합당한 규범과 의례가 있어야 하지만 여러 정황1)을 잘 판단해 보면 우호관계를 항구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만약 미리 대비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사신의 왕래가 막히는 일이 있을까 우려되니 고려와 상의해서 통로의 요충지에 성곽과 해자를 설치하도록 하라.’
이 조칙에 의거해 제가 상황을 살펴본즉 압록강 서쪽에 5개의 성을 쌓는 것이 좋을 듯하여 3월 초에 축성할 곳으로 가서 공사를 시작하려 합니다. 삼가 청하옵건대, 대왕께서는 미리 신하들에게 분부하셔 안북부(安北府)에서 압록강 동쪽에 이르는 180리 사이에 적당한 지역을 답사하고 성들 사이의 거리를 측량하게 하십시오. 아울러 일꾼들을 동원해 우리 측과 함께 축성을 시작할 수 있도록 분부해주시고 축성할 성의 수가 도합 몇 개인지를 빨리 회신해 주십시오. 편리한 교통로를 확보해 항구적으로 조공할 수 있는 길을 트는 것과, 대대로 우리 조정을 받들어 스스로 태평성대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 생각하는 바입니다.”

○ 거란의 통화(統和 : 遼나라 聖宗의 연호, 983~1012) 연호를 쓰기 시작했다.

• 여름 4월

갑진일. 태묘(太廟)에 제례를 지내고 대종(戴宗)의 신위를 제5실에 안치했다. 공신 배현경(裴玄慶)·홍유(洪儒)·복지겸(卜智謙)·신숭겸(申崇謙)·유금필(庾黔弼)을 태조의, 박술희(朴述熙)·김견술(金堅術)2)을 혜종의, 왕식렴(王式廉)을 정종의, 유신성(劉新城)3)·서필(徐弼)을 광종의, 최지몽(崔知夢)을 경종의 묘정에 각각 배향하게 했다.
○ 대사면령을 내린 후, 문무 관리에게는 관작을 1급씩 올려 주고 집사(執事)에게는 2급씩을 올려 주었으며 백성들에게는 사흘 동안 큰 잔치를 베풀어 주었다.
○ 이 달에 시중(侍中) 박양유(朴良柔)로 하여금 표문을 가지고 거란에 가서 거란의 역법을 시행하겠다고 알린 후, 포로의 송환을 요청하게 했다.

• 6월

○ 작년 거란의 침략 행위를 보복하기 위해 원욱(元郁)을 송나라로 보내 원군을 요청하도록 했다. 그러나 송나라는 북방 국경이 가까스로 평안해진 마당에 경솔한 군사행동은 적절치 않다는 이유로 거절한 후 사신을 후하게 대접만 하고 돌려보냈다. 이 일 이후 송나라와 외교관계를 단절했다.

• 가을 8월

계사일. 왕이 친림한 가운데 복시를 보이고 최원신(崔元信)4) 등을 급제시켰다.

○ 이 해 거란(契丹)이 숭록경(崇祿卿) 소술관(蕭述管)과 어사대부(御史大夫) 이완(李涴) 편에 조서를 보내와 회유에 나섰다.
○ 이승건(李承乾)을 압강도구당사(鴨江渡勾當使)에 임명했다가 곧 하공진(河拱辰)으로 하여금 대신하게 했다.
○ 사신을 거란에 보내 무기(舞妓)를 바쳤으나 거란이 물리쳤다.

十三年 春二月 蕭孫寧致書曰, “近奉宣命, ‘但以彼國信好早通, 境土相接. 雖以小事大, 固有規儀, 而原始要終, 須5)存悠久. 若不設於預備, 慮中阻於使人. 遂與彼國相議, 便於要衝路陌, 創築城池者.’ 尋准宣命, 自便斟酌, 擬於鴨江西里, 創築五城, 取三月初, 擬到築城處, 下手修築. 伏請, 大王預先指揮, 從安北府, 至鴨江東, 計二百八十里, 踏行穩便田地, 酌量地里遠近, 幷令築城, 發遣役夫, 同時下手, 其合築城數, 早與回報. 所貴, 交通車馬, 長開貢覲之途, 永奉朝廷, 自協安康之計.” 始行契丹統和年號.

夏四月 甲辰 禘于太廟, 躋戴宗于第五室. 以功臣裴玄慶·洪儒·卜智謙·申崇謙·庾黔弼配太祖, 朴術熙·金堅術配惠宗. 王式廉配定宗, 劉新城·徐弼配光宗, 崔知夢配景宗. 大赦, 賜文武爵一級, 執事者二級, 百姓大酺三日. 是月, 遣侍中朴良柔, 奉表如契丹, 告行正朔, 乞還俘口.

六月 遣元郁如宋, 乞師以報前年之役. 宋以北鄙甫寧, 不宜輕動, 但優禮遣還. 自是, 與宋絶.

秋八月 癸巳 臨軒覆試, 賜崔元信等及第. 是歲, 契丹遣崇祿卿蕭述管, 御史大夫李涴等, 齎詔, 來撫諭. 以李承乾爲鴨江渡勾當使, 尋遣河拱辰代之. 遣使契丹, 進妓樂, 却之.

관련이미지 3

고려사 - 성종 13년(994) 갑오년

고려사 - 성종 13년(994) 갑오년

이미지 갤러리

출처: 국역 고려사: 세가

1/3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국역 고려사 세가를 세트로 엮은 『국역 고려사 세가』세트. 전1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