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국역 고려사 : 세가

공민왕 17년(1368) 무신년

• 봄 정월

초하루 임신일. 신년하례행사를 거행하지 않았다.
병술일. 왕이 도보로 신돈의 집을 찾아갔다.
무자일. 일본국에서 승려 범탕(梵盪)1)과 범류(梵謬)를 김일(金逸)에게 딸려 보내 답방하게 했다.
○ 요양성의 평장(平章) 홍보보(洪寶寶)와 카라부카[哈刺不花]2) 등이 객성대사(客省大使)3) 바얀테무르[卜顔帖木兒]를 보내, 명나라의 군세가 매우 강성하니 방비에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고 알려왔다.

• 2월

정미일. 왕이 법왕사(法王寺)와 왕륜사(王倫寺)에 행차했다가 영전에 들렀다.
기미일. 길이가 한 길[丈]이 넘는 혜성4)이 서쪽 하늘에 나타났다.
을축일. 왕이 걸어서 신돈의 집으로 행차했다.

• 3월

초하루 신미일. 왕이 현릉(顯陵 : 태조릉)·의릉(毅陵 : 충숙왕릉)·선릉(善陵)5)을 참배한 후 정릉(正陵 : 노국대장공주릉)으로 행차했다.6)
갑신일. 혜성이 서쪽 하늘에 나타났다.
경인일. 혜성이 대릉성좌(大陵星座)7)와 적시성좌(積屍星座)8) 사이에 나타났다.
신묘일. 혜성이 대릉성좌와 권설성좌(券舌星座)9) 사이에 나타났다.
갑오일. 충숙왕(忠肅王)의 기일을 맞아 왕이 묘련사(妙蓮寺)에 가서 분향했다.
을미일. 왕이 도보로 신돈의 집을 찾아갔다.
병신일. 혜성이 권설성좌의 위에 나타났다.
기해일. 혜성이 대릉성좌의 위에 나타났다.

• 여름 4월

초하루 신축일. 혜성이 나타났다.
경술일. 왕이 신돈의 집에 가서 연등화산(燃燈火山)을 구경했다.
임자일. 왕이 9재(九齋)에 행차해 이첨(李詹) 등을 급제시켰다.
무오일. 왕이 연복사(演福寺)에 행차해 아흐레 동안 문수회(文殊會)를 열었다.
경신일. 밀직제학 이강(李岡)이 죽었다.

• 5월

을해일. 왕의 생일을 맞아 왕륜사(王輪寺)에서 승려 3천 명에게 음식을 대접했다.
신사일. 왕이 신돈의 집을 찾아갔다.
임진일. 왕이 왕륜사의 영전(影殿)과 불당(佛堂)이 좁아 승려 3천 명을 수용할 수 없다고 하며 고쳐 지으려고 복원궁(福源宮)10)에 행차해 적당한 터를 살펴보았다.
갑오일. 왕이 마암(馬岩 : 지금의 개성직할시 부산동)에 행차해 영전을 신축할 터를 살펴보았다.
을미일. 왕륜사의 영전을 철거하고 마암에 신축 공사11)를 시작하자 백성들의 원성이 드높았다.

• 6월

신축일. 개경 각 방(坊)·리(里)12)의 장정과 42도부(都府)13)의 인원을 모조리 징발해 마암에 배수로를 굴착하게 했다.
갑신일. 왕이 평복차림으로 몰래 대궐을 나와 마암으로 갔다.
을사일. 왕이 정비궁(定妃宮)에 갔더니 유모가, 지금이 농번기고 가뭄이 심하므로 영전 신축공사를 중지하라고 건의했는데 그 말을 들은 왕이 노하여 그를 내쫓았다.
기미일. 왕이 정비궁에 가서 이운목(李云牧)과 내기 바둑을 두면서 진 사람이 잔치를 열어주기로 했다.
경신일. 가뭄이 혹심하자 소의 도살을 금하고 억울한 죄수가 없는가 재심사한 다음 참수형과 교수형 이하의 죄수를 석방했다.

• 가을 7월

을해일. 일본에서 사자를 보내 왕을 예방하게 했다.
기묘일. 대마도(對馬島) 만호가 사자를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무자일. 요양성의 에산테무르[於山帖木兒]가 사자를 보내 왕을 예방하게 했다.
갑오일. 왕이 왕륜사의 영전에 행차했다가 마암에 들렀다.

• 윤 7월

○ 가뭄이 계속되자 영전 공사에 동원된 일꾼들을 귀가 조치했다.
○ 강구사(講究使) 이하생(李夏生)14)을 대마도(對馬島)에 파견하였다.
임인일. 비가 내렸는데 나라 사람들이,
“영전 공사를 약간 연기하자 하늘이 이슬비를 내려주었으니 만약 공사를 아예 걷어치우면 반드시 큰 비를 내려줄 것이다.”
라고들 속살거렸다.
을사일. 왕이 봉선사(奉先寺)에 행차해 소재도량(消災道場)15)을 열었다.
임술일. 서리가 일찍 내리는 바람에 콩 농사를 망쳐버렸다.

• 8월

경오일.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유탁(柳濯)과 첨서밀직(簽書密直) 정사도(鄭思道)를 순군에 하옥시키고16) 대신 이춘부(李春富)를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으로 임명했다.
을미일. 명나라 군대의 포위를 당해 원나라 수도가 함락될 위기에 빠졌다는 소식을 들은 왕이 좌상시(左常侍) 조민수(曹敏修)를 의주(義州)와 정주(靜州) 등지의 안위사(安慰使)로, 전 전리판서(典理判書) 임견미(林堅味)를 안주순무사(安州巡撫使)로 임명했다.

• 9월

○ 요양성(遼陽省)의 평장(平章) 홍보보(洪寶寶)가 사자를 보내 왕을 예방하게 했다.
신축일. 이성림(李成林)을 양광도 도순문사(都巡問使)로, 이금강(李金剛)을 전라도 도순문사(都巡問使)로 각각 임명했다.
무신일. 왕이 마암(馬岩)의 영전에 행차했다.
갑인일. 왕이 정릉(正陵)의 광암사(光岩寺)17)에 매달 미곡 30석을 내려주기 시작했으며 또 궁궐 수백개소에 비둘기를 키우면서 둥지를 만드느라 베 1천 석을 지불하고 사료로 매달 12곡(斛)을 사용했다.
을묘일. 우리나라 사람 김지수(金之秀)가 원나라로부터 돌아와서,
“명나라 수군 함선 1만여 척이 통주(通州)에 닻을 내리고 원나라 수도를 공격하니 황제와 황후는 상도(上都)18)로 도망가고 황태자도 싸우다가 패하자 역시 상도로 도망갔습니다.”
라고 보고했다.
병진일. 유숙(柳淑)과 김달상(金達祥)을 장형에 처한 후 홍주(洪州)와 청주(淸州)로 유배 보냈다가 얼마 후 신돈이 사람을 보내 그들을 살해했다.
정사일. 백관들에게 명나라와 서로 사신을 주고 받을 방법을 의논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 신돈의 첩 반야(般若)19)에게 매달 미곡 30석을 주기 시작했다.

• 겨울 10월

계유일.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 문천식(文天式)20)을 원나라에 보내 천추절(千秋節)을 축하하게 했는데, 그가 요양(遼陽)까지 갔다가 길이 막히는 바람에 되돌아오자 장형에 처한 후 다시 보냈다.
갑술일. 김란(金蘭)을 서북면 도체찰사(都體察使)로 임명했다.

• 11월

병오일. 대마도만호(對馬島萬戶) 숭종경(崇宗慶)이 사자를 보내 입조해 왔으므로 그에게 쌀 1천 석을 주었다.
정미일. 예의판서(禮儀判書) 장자온(張子溫)을 시켜 오왕(吳王)21)을 예방하게 하니 오왕이 예법에 따라 매우 후대하면서 6부(六部)와 어사대(御史臺)를 시켜 위로 잔치를 열어주게 했다. 어사대의 잔칫날에 풍악을 잡히고는 대부(大夫)가 장자온(張子溫)더러,
“어사대가 주최하는 잔치에는 한 번도 풍악을 쓴 일이 없는데 오늘 이렇게 하는 것은 고려 사신을 위한 배려올시다.”
라고 생색을 내었다. 이에 장자온은,
“음악은 소리의 조화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러분들께서 이미 화기애애하게 대접해 주니 무엇하러 꼭 풍악을 잡힐 필요가 있겠소? 공자께서도 ‘음악이니 음악이니 하는데 종과 북을 말함인가? 법이니 예법이니 하는데 옥과 비단을 말함인가?’라고 말씀하시지 않으셨소?”
하고 대꾸했다. 감탄한 대부가,
“상서께서 예법과 음악의 근본을 잘 알고 있는 터에 꼭 음악을 쓸 필요가 없겠습니다.”
하며 풍악을 중지시켰다. 이 말을 들은 오왕은 더욱 후하게 대접해 보냈다.
기유일. 왕이 강안전(康安殿)에 행차해 풍악을 구경했다.
병진일. 원나라에서 이용감태경(利用監太卿) 만자한(巒子罕)을 보내,
“장수들로 하여금 명나라에 점거당한 영토를 회복할 전략을 세우도록 하라.”
는 내용의 조서를 전달하게 하자 왕이 행성(行省)에서 맞이했다.
기미일. 왕이 원나라 사신을 위해 시어궁(時御宮)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갑자일. 찬성사(贊成事) 이성서(李成瑞)를 원나라에 보내 신년을 하례하게 했다.

• 12월

갑신일. 이춘부(李春富)를 도첨의우시중(都僉議右侍中)으로 이인임(李仁任)을 좌시중(左侍中)으로 임명했다.

十七年 春正月 壬申朔 放朝賀. 丙戌 王步幸辛旽家. 戊子 日本國遣僧梵盪·梵鏐, 偕金逸來報聘. 遼陽省平章洪寶寶·哈刺不花等, 遣客省大使卜顔帖木兒來諭, “大明兵勢甚盛, 請悉心備禦.”

二月 丁未 幸法王·王輪二寺, 遂幸影殿. 己未 彗見于西方, 長丈餘, 乙丑 王步幸辛旽家.

三月 辛未朔 王謁顯陵·毅陵·善陵, 遂幸正陵. 甲申 彗見西方. 庚寅 彗出大陵·積屍閒. 辛卯 彗出大陵·卷舌閒. 甲午 王以忠肅王忌辰, 如妙蓮寺行香. 乙未 王步幸辛旽家. 丙申 彗出卷舌上. 己亥 彗出大陵上.

夏四月 辛丑朔 彗見. 庚戌 幸辛旽家, 觀燃燈火山. 壬子 幸九齋, 賜李詹等及第. 戊午 幸演福寺, 設文殊會, 凡九日. 庚申 密直提學李岡卒.

五月 乙亥 以誕日, 飯僧三千於王輪寺. 辛巳 幸辛旽家. 壬辰 王以王輪影殿, 佛宇俠小, 不能容僧三千, 欲改營, 幸福源宮相之. 甲午 幸馬岩, 相影殿基. 乙未 撤王輪影殿, 改營于馬岩, 怨咨大興.

六月 辛丑 盡發坊里丁, 及四十二都府, 鑿溝于馬岩. 甲辰 王微行, 幸馬岩. 乙巳 幸定妃宮, 乳媼白王曰, 今方農月旱甚, 願停影殿之役, 王怒黜之. 己未 幸定妃宮, 與李云牧圍碁, 賭宴. 庚申 以旱甚, 禁宰牛, 理寃獄, 放二罪以下囚.

秋七月 乙亥 日本遣使來聘. 己卯 對馬島萬戶遣使來, 獻土物. 戊子 遼陽省於山帖木兒, 遣使來聘. 甲午 幸王輪寺影殿, 遂幸馬岩.

閏月 以旱, 放影殿役徒. 遣講究使李夏生于對馬島. 壬寅 雨, 國人相謂曰, “影殿小弛, 而天小雨, 若罷則天必大雨.” 乙巳 幸奉先寺, 設消災道場. 壬戌 隕霜殺菽.

八月 庚午 下都僉議侍中柳濯, 簽書密直鄭思道于巡軍, 以李春富爲都僉議侍中. 乙未 王聞大明兵, 圍皇城甚急, 以左常侍曹敏修爲義靜州等處安慰使, 前典理判書林堅味爲安州巡撫使.

九月 遼陽省平章洪寶寶遣使, 來聘. 辛丑 以李成林爲楊廣道都巡問使, 李金剛爲全羅道都巡問使. 戊申 幸馬岩影殿. 甲寅 始賜正陵光岩寺米, 月三十石, 又養鳩宮中數百, 作籠費布一千匹, 飼穀月十二斛. 乙卯 本國人金之秀, 自元來言, “大明舟師萬餘艘, 泊通州, 入京城, 元帝與皇后, 奔上都, 太子戰敗, 又奔上都.” 丙辰 杖流柳淑于洪州, 金達祥于淸州, 辛旽尋遣人殺之. 丁巳 令百官, 議通使大明. 始賜辛旽妾般若, 米月三十石.

冬十月 癸酉 遣判宗簿寺事文天式如元, 賀千秋節, 天式至遼陽, 道梗而還, 杖復遣之. 甲戌 以金蘭爲西北面都體察使.

十一月 丙午 對馬島萬戶崇宗慶遣使, 來朝, 賜宗慶米一千石. 丁未 遣禮儀判書張子溫, 聘于吳王, 吳王禮待甚厚, 使六部·御史臺宴慰. 至臺宴日張樂, 大夫謂子溫曰, “臺宴未嘗用樂, 今日之樂, 爲使臣也.” 子溫曰, “樂以和爲主, 諸公旣以和氣相接, 何必樂爲? 夫子曰, ‘樂云樂云, 鍾鼓云乎哉?’ 禮云禮云, 玉帛云乎哉?” 大夫曰, “尙書旣知禮樂之本, 不必用樂.” 乃止. 吳王聞之, 加厚禮以送. 己酉 幸康安殿, 觀樂. 丙辰 元遣利用監太卿巒子罕來詔, “分命諸將, 以圖恢復.” 王迎于行省. 己未 王宴元使于時御宮. 甲子 遣贊成事李成瑞如元, 賀正.

十二月 甲申 以李春富爲都僉議右侍中, 李仁任爲左侍中.

관련이미지 5

고려사 - 공민왕 17년(1368) 무신년

고려사 - 공민왕 17년(1368) 무신년

이미지 갤러리

출처: 국역 고려사: 세가

1/5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국역 고려사 세가를 세트로 엮은 『국역 고려사 세가』세트. 전1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