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국역 고려사 : 세가

원종 15년(1274) 갑술년

• 15년 봄 정월

○ 원나라에서 총관(摠管) 차쿠[察忽]1)를 보내 전함 3백 척의 건조를 감독하게 하는 한편, 기술자와 일꾼 및 일체 물품의 공급을 죄다 우리에게 부담 지었다. 이에 왕은 문하시중(門下侍中) 김방경(金方慶)을 동남도 도독사(東南道都督使)로 임명했다.
○ 원나라에서는 또 소용대장군(昭勇大將軍) 홍다구(洪茶丘)를 감독조선관 군민총관(監督造船官軍民摠管)으로 임명했는데, 홍다구는 정월 보름에 건조를 시작하자고 통보하고는 혹독하게 공정을 재우쳤다. 이에 왕은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허공(許珙)을 전주도 도지휘사(全州道都指揮使)로, 우복야(右僕射) 홍녹주(洪祿遒)2)를 전라도 지휘사(全羅道指揮使)로 임명하였으며, 또 대장군 나유(羅裕)를 전라도에, 김백균(金伯鈞)을 경상도에, 박보(朴保)를 동계(東界)에, 국자사업(國子司業) 반부(潘阜)를 서해도(西海道)에, 장군 임개(任愷)3)를 교주도(交州道)에 보내 각 지역의 부부사(部夫使)로 임명한 다음 기술자와 일꾼 3만 5백여 명을 징집(徵集)해 조선소(造船所)로 보내게 했다. 이 때문에 역마가 끊이지 않고 각종 업무가 지극히 번거로웠으며 마치 번개나 우레처럼 기한을 재촉하므로 백성들이 크게 고통을 겪었다.

• 2월

갑자일. 별장(別將) 이인(李仁)4)을 원나라에 보내 중서성(中書省)에 다음과 같은 글을 전하게 했다.

“금년 정월 초이튿날 나의 신하인 문하시중(門下侍中) 김방경(金方慶)이 황제께서 보낸 글을 지니고 귀국했는데, 대형 선박 3백 척(隻)을 전라(全羅)와 탐라(耽羅)에서 건조하라는 지시였습니다. 또 정월 초 6일에 도임한 홍다구(洪茶丘)가 보낸 차자(箚子)에서는 ‘필요한 기술자와 일꾼 및 재목 등의 물품은 고려 신하 허공(許珙)과 홍녹주(洪祿遒)에게 맡겨 각 도에 가서 조달하게 하며 이어 김방경을 보내 감독하게 하라.’고 지시하였는데, 일은 크고 힘은 미약한지라 제대로 조달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섭니다.
저희나라는 원래 군인과 민간인을 구별하지 않는 터라 그들을 몇 달 동안이나 부역을 시킨다면 농사일은 어떻게 될지 우려됩니다. 그러나 힘이 미칠 수 있는 한 어찌 노력을 다하지 않겠습니까? 정월 보름날부터 조선을 시작했는데 기술자와 일꾼이 모두 30,500명이니 1인당 1일 3식으로 계산하면 34,312석 5두를 지급해야 합니다.
또 정월 19일에 받은 중서성의 공문에는, ‘힌두[忻都] 관인(官人) 휘하의 군사 4천 5백명이 금주(金州 :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까지 행군하는데 필요한 군량 1,570석(碩)과 주둔지에서 필요한 군량과 사료 및 조선감독(造船監督) 홍총관(洪摠管)의 군사 500명의 행군에 필요한 군량 85석도 부담하라.’고 했습니다. 또 제주(濟州)에 남아 있는 상국의 군사와 우리나라의 사졸 1천 4백명의 7개월 분 군량과 사료는 이미 지급을 완료했는데 모두 2,904석이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나주(羅州)에 뒤처져있는 월로활단적(粤魯闊端赤)5)의 군량 8천석과 말 사료 1,325석도 모두 저희나라에서 지급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또 지원(至元) 10년(1273) 12월에 접수한 중서성의 공문에는, 제주 백성 10,223명에게 식량을 모두 공급하라고 했으니 최근에는 군량과 사료를 도저히 조달할 길이 없어 관청과 일반 백성들로부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분량을 거둬들였습니다. 또 지난해에는 전함을 건조했고 4월에는 대군이 탐라에 들어가 적을 토벌하고 5월 그믐에야 돌아오는 통에 백성들이 농사철을 맞추지 못해 가을에 수확할 곡식이 없었기 때문에 다시 관청과 백성들로부터 거둬들여 배를 건조하는 인부와 기술자, 주둔군, 행군하는 부대, 제주 백성들에게 무려 4만 석이 넘는 군량과 사료를 공급하는 부담을 졌습니다. 이어서 금주(金州)·전주(全州)·나주(羅州)의 주둔군 및 제주의 군민(軍民)의 군량과 사료를 공급하기는 정말 어려운 형편입니다.
그런데 다시 중서성에서는 우리에게 봉주(鳳州) 둔전군(屯田軍)에게 매달 부족한 군량 2,047석과 소사료 1,001석 7두를 부담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러나 이 지역의 종전군(種田軍)에게는 그 농우·농기구·종자와 첫 해 가을까지의 식량을 지급했으며 또한 지원(至元) 9년의 부족한 식량까지도 이미 넉넉히 지급한 바 있습니다. 또 작년에는 곡물들이 전혀 수재나 충해를 입지 않았는데도 그것을 구실로 저희들이 공급하게끔 중서성으로부터 지시를 내리게 만드니, 그 지시를 감히 어길 수는 없으나 이처럼 없는 말을 꾸며 보고함으로써 해마다 빠짐없이 공급하게 하고 기한도 정하지 않는다면 앞으로는 저희들도 어찌해 볼 도리가 없습니다. 저희들의 사정을 딱하게 여기사 이 부담들을 모두 면제해 주심으로써 멀리 있는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주시기 바랍니다.”

• 3월

병술일. 원나라에서 경략사(經略司) 왕총관(王摠管)을 보내 군사 5천 명을 동원해 일본 정벌6)을 돕도록 했다. 당시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전함을 만드는 일꾼 30,500명과 홍다구(洪茶丘) 휘하의 감조군(監造軍)에 대한 식량 공급이 부족하여 동경(東京 :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진주도(晋州道)지역의 계유년분의 녹전을 주었다. 왕이 번거로운 요역과 운반상의 폐단으로 농사일을 그르칠까 우려해 상장군(上將軍) 이분희(李汾禧)를 홍다구에게 보내 전체 인원의 절반씩을 귀농시킬 것을 설득하게 했다. 홍다구가 수긍하고서 배 한척 당 쌍정(雙丁)7) 50명을 머물게 하고 그 나머지 단정(單丁)은 다 귀농시켰다.
임인일. 원나라에서 만자(蠻子)8) 매빙사(媒聘使)9) 초욱(梢郁)을 보내면서 그 편에 다음과 같은 중서성(中書省)의 공문을 전달하게 했다.

“남송(南宋) 양양부(襄陽府)에 새로 편성된 군인(軍人)10)들이 처를 구하기에 선사(宣使) 초욱으로 하여금 관청 소유 견직(絹織) 1,640단을 가지고 고려국으로 가게 조치했으니 해당 관청을 시켜 관원을 파견해 함께 처가 될 여자들을 물색하도록 하기 바랍니다.”

초욱이 남편 없는 부녀자 140명을 뽑아내라고 심하게 독촉하자 결혼도감(結昏都監)11)을 설치하고 그때부터 가을까지 민간의 홀어미, 역적의 처, 승려의 딸을 샅샅이 찾아내어 겨우 그 수를 채우니 원성이 크게 일어났다. 한 여자마다 혼례비용으로 비단 12필씩을 지급한 후 만자(蠻子)들에게 각각 보내주자 만자들이 즉시 데리고 원나라로 돌아갔다. 이때 통곡소리가 하늘을 진동하니 보는 사람마다 슬피 흐느꼈다.
병오일. 왕이 왕륜사(王輪寺)에 행차했다.

• 여름 4월

무신일. 왕이 보제사(普濟寺)12)에 행차했다.
기유일. 원나라에서 완안아해(完顔阿海)를 시켜 쌀 2만 석을 수송해 와서 군량(軍糧) 공급을 보조하게 했다. 지난해에 백성들이 굶주리자 원나라에 곡식을 팔라고 요청했는데 원나라 황제가 동경(東京(遼陽))의 쌀을 날라다가 구휼하라고 지시했으나 뱃길이 험하고 멀어 이제야 도착한 것이다.
병진일. 왕이 현성사(賢聖寺)에 행차했다.
○ 원나라에서 여룡우사(汝龍于思)를 보내 견직 33,154필로 군량을 사들이게 했다. 왕이 곧 관견도감(官絹都監)13)을 설치하고 그 견직을 전국의 모든 백성들에게 할당했는데 개경에 4,054필, 충청도에 4천 필, 경상도에 2만 필, 전라도에 5천 필이었으며 견직 1필에 쌀 12두로 값을 쳤다.
갑자일. 간의대부(諫議大夫) 곽여필(郭汝弼)을 원나라에 보내 다음과 같은 표문을 전달하게 했다.
“저희나라는 국토가 좁고 인구가 적은 관계로 군인과 농민의 구분이 없으며 그 위에 생활마저 매우 피폐한 실정입니다. 그러므로 지난 번 탐라정벌에 동원되었던 병졸과 뱃사공들이 이제 다시 배 만드는 일에 동원되었으며, 이번 일본원정에 나설 병졸과 초공(梢工)들도 전번 부역에 나왔던 일꾼들 가운데 뽑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도, 홍다구(洪茶丘)는 김방경(金方慶)에게 공문을 보내, 배 3백 척과 초공(梢工)·선원 1만 5천 명을 미리 준비해 놓으라고 지시했습니다. 그 수가 너무 많으니 어찌 저희나라의 사람만으로 숫자를 맞출 수 있겠습니까? 원래 우리가 관할하던 제주(濟州)·동녕부(東寧府)·북계(北界)의 여러 성의 사람과 서해도(西海道)에서 요역을 피해 동녕부로 도피해 가 있는 사람들은 모두 물에 익숙하고 또 배를 잘 부리니, 그들을 모두 데려다가 보충하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 경오년(庚午年) 이후14) 지금까지 5년이 지났으므로 군대에 공급하는 군량도 진작 소진되었습니다. 이제 조선에 동원된 기술자·인부 및 감독관 등 3만 5천 명과 종전군(種田軍), 홍총관(洪摠管)의 군사들, 제주에 남은 군사들에게 공급할 식량은 양반의 녹봉과 각종 부세를 모조리 전용해도 오히려 충분하지 못하며, 또 전국의 관청과 백성들로부터 거두고자 하나 다 고갈되고 남은 것이 없는 실정입니다. 특별히 폐하께서 은덕을 베푸사 2만 석의 쌀을 수송해 군량을 보태어 주시니 온 나라가 감격하고 있는데다가 또 다시 성은을 베푸시어 양곡 값으로 비단을 넉넉히 하사하시니 그 은혜에 보답할 길이 없습니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정벌로 인해 전국의 공사(公私) 재정이 고갈되고 또 조선(造船) 때문에 농사철을 놓쳤으니 견직으로 양곡을 모으는 일도 뜻대로 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 5월

경진일. 주정(朱錠)15) 등을 급제시켰다.
병술일. 세자 왕심(王諶)과 황제의 딸인 쿠두루칼리미쉬[忽都魯揭里迷失]16) 공주가 혼인했다.
기축일. 원나라에서 일본정벌군 1만 5천 명이 왔다.
임진일. 왕이 본궐에 행차해 십일요(十一曜)에 초제(醮祭)를 지내며 비를 내려달라고 빌었다.
병신일.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송송례(宋松禮),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기온(奇蘊),17) 응양군(鷹揚軍) 상장군(上將軍) 김광원(金光遠)18)에게 명하여 일본정벌에 동원할 군사를 더 뽑게 했다.
경자일. 원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농상(農桑)을 장려해 군량(軍粮)을 비축하라는 내용의 조서를 전달했다. 그리고 홍다구(洪茶丘)를 시켜 농사를 감독하게 했다.

• 6월

기유일. 왕이 병들자 전국에 걸쳐 대사면령을 내리면서 불충과 불효죄만 빼놓고 사형죄까지도 다 용서했다.
신유일. 대장군(大將軍) 나유(羅裕)를 원나라에 보내 중서성(中書省)에 다음과 같은 공문을 전달하게 했다.

“금년 정월 3일에 대형 선박 3백 척을 건조하라는 상국 조정의 지시를 받고는 그 즉시 다음과 같이 조치했습니다.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허공(許珙)을 전주도(全州道)의 변산(邊山)에, 좌복야(左僕射) 홍녹주(洪祿遒)를 나주도(羅州道)의 천관산(天冠山)에 각각 보내 건조용 재목을 마련하도록 하고 또 시중(侍中) 김방경(金方慶)을 도독(都督)으로 임명해 휘하의 원장(員將)을 다 정예들로 뽑았으며, 전국 각지에 사람을 보내 필요한 기술자와 일꾼 및 물품을 각자 조달하도록 재촉했습니다. 정월 15일에 이르러 전 인원이 집결해 16일 조선을 시작했고 5월 그믐에 완전히 끝내니 배는 크기에 따라 9백 척을 건조했으며, 사용할 모든 물품도 다 완벽하게 구비했습니다. 유능한 3품관들로 하여금 항해의 업무를 나누어 맡겨 금주(金州)로 향발시켰으니 여러 재상들께서는 황제께 잘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계해일. 왕이 제상궁(堤上宮)에서 죽으니 15년간 왕위에 있었고 향년은 56세였다. 유언은 다음과 같았다.

“짐이 박덕한 몸으로 종묘사직을 15년 동안 외람되게 지켜왔으나, 그 부담이 너무 무거운지라 마침내 병에 걸려 오랫동안 낫지 않으니 더 이상 직분을 지킬 수 없게 되었다. 국왕의 중대한 자리는 잠시도 비울 수 없는 법인 바, 나의 맏아들은 지극한 인덕으로 인망을 모았고 현철한 성품은 하늘에서 타고 났다. 아직 상국으로부터 직접 책봉을 받지는 못했으나 너희 신민들은 내 뒤를 잇는 왕의 명령을 준수해 선왕들의 위업을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상복은 사흘만 입을 것이며 장례의식은 검소하게 치르도록 하라. 각 진(鎭)·번(藩)·주(州)·목(牧)의 관리들은 관할 구역을 아탈하지 말고 조정에서 정한 장례 절차를 지킬 것이며, 과거와 혼인은 모두 예전대로 시행하도록 하라. 아아! 그대들 재상과 대신 및 모든 관리들은 나의 죽음을 너무 슬퍼해 몸을 상하지 말 것이며 모든 심력을 기울여 나라를 보호하고 안정시키도록 애쓸지어다.”

또 유언을 적은 표문을 원나라에 올리면서 세자 왕심이 효성스럽고 근실하여 왕위를 잇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적었다.

갑자일. 백관(百官)이 순효(順孝)라는 시호를 올리고 묘호(廟號)를 원종(元宗)이라 하였다.

• 9월

을유일. 왕을 소릉(昭陵)에 장사지냈다.
○ 충선왕(忠宣王) 2년 7월 을미일에 원나라에서 죽은 왕에게 충경(忠敬)이라는 시호를 추증했다.

十五年 春正月 元遣總管察忽, 監造戰艦三百艘, 其工匠·役徒, 一切物件, 全委本國應副. 於是, 以門下侍中金方慶爲東南道都督使. 元又以昭勇大將軍洪茶丘爲監督造船官軍民總管, 茶丘約以正月十五日興役, 催督甚嚴, 王以樞密院副使許珙爲全州道都指揮使, 右僕射洪祿遒爲羅州道指揮使, 又遣大將軍羅裕於全羅道, 金伯鈞於慶尙道, 朴保於東界, 國子司業潘阜於西海道, 將軍任愷於交州道, 各爲部夫使, 徵集工匠·役徒三萬五百餘名, 起赴造船所, 是時, 驛騎絡繹, 庶務煩劇, 期限急迫, 疾如雷電, 民甚苦之.

二月 甲子 遣別將李仁如元, 上書中書省曰, “今年正月初二日, 陪臣門下侍中金方慶賫到省旨云, ‘大船三百隻, 令就全羅·耽羅兩處打造.’ 又正月初六日到洪茶丘箚子, ‘其所須工匠·人巭及材木等物件, 分委陪臣許珙·洪祿遒, 往各道備辦, 續遣金方慶督之.’ 但以事巨力微, 恐不能辦. 竊念小邦, 軍民元來無別, 並令赴役, 儻延旬月, 其如農何? 然力所可及, 敢不殫竭? 自正月十五日始役, 其工匠人巭三萬五百名, 計人一日三時糧, 比及三朔, 合支三萬四千三百一十二碩五斗. 又正月十九日, 奉省旨云, ‘忻都官人所管軍四千五百人, 至金州行糧一千五百七十碩, 又屯住處糧料及造船監督洪總管軍五百人, 行糧八十五碩, 亦令應副.’ 又濟州留守官軍, 幷小邦卒一千四百人, 七箇月糧料已支訖, 計二千九百四碩. 及羅州落後粤魯闊端赤軍粮八千碩, 馬料一千三百二十五碩, 悉令小邦支給. 又於至元十年十二月, 奉省旨, 濟州百姓一萬二百二十三人, 悉行供給, 又比來軍馬糧料, 無可營辦, 凡歛官民者無算. 又年前, 營造戰艦, 至四月, 大軍入耽羅討賊, 至五月晦還, 故百姓未得趂時耕作, 秋無收穫, 又歛官民, 始應副造船巭匠及屯住經行軍馬, 與濟州百姓等糧料, 計四萬餘碩. 續有以後金州·全州·羅州屯住軍, 幷濟州軍民糧料, 供給實難. 又奉省旨, 令小邦應副鳳州屯田軍, 各月不敷糧二千四十七碩, 牛糧一千一碩七斗. 然此種田軍, 其農牛·農器·種子, 至乃初年接秋糧, 及至元九年不敷糧, 已曾支足. 又前年禾稼, 未曾水損虫傷, 而妄托此言, 冒受省旨, 又令供給, 不敢違忤, 如此飾辭申達, 歲令供給, 罔有期限, 將無柰何? 玆實憫焉, 乞皆蠲免以惠遠人.”

三月 丙戌 元遣經略司王總管來, 命發軍五千, 助征日本, 時全羅州道, 造船役徒三萬五百餘名, 洪茶丘所領監造軍, 供給不足, 輸東京·晋州道內癸酉年祿轉與之. 王患徭役之煩, 轉輸之弊, 有防農務, 遣上將軍李汾禧, 往說茶丘, 請令分半歸農, 茶丘頗然之, 每一19)船, 留雙丁五十人, 其餘單丁, 悉放歸農. 壬寅 元遣蠻子媒聘使肖郁來, 中書省牒云, “南宋襄陽府生卷軍人, 求娶妻室, 故差委宣使肖郁, 押官絹一千六百四十段, 前去下高麗國, 令有司差官, 一同求娶施行.” 肖郁令選無夫婦女一百四十名, 督之甚急, 於是, 置結昏都監, 自是至秋, 窮搜閭井獨女·逆賊之妻·僧人之女, 僅盈其數, 怨咨大興. 例給一女資粧絹十二匹, 分與蠻子, 蠻子卽率北還. 哭聲震天, 觀者莫不悽唏. 丙午 幸王輪寺.

夏四月 戊申 幸普濟寺. 己酉 元遣完顔阿海, 漕運米二萬碩, 來助軍糧, 去年以民飢, 糶于元, 帝命運東京米以賑之, 水路阻遠, 至是乃來. 丙辰 幸賢聖寺. 元遣汝龍于思, 賫絹三萬三千一百五十四匹, 來貿軍粮. 卽置官絹都監, 分給京外大小人民, 王京四千五十四匹, 忠淸道四千匹, 慶尙道二萬匹, 全羅道五千匹, 以市之, 每絹一匹, 直米十二斗. 甲子 遣諫議大夫郭汝弼如元, 上表曰, “小邦地褊人稀, 兵農無別, 加以凋殘已甚. 故往者, 耽羅赴征兵卒·蒿師, 今又悉赴造船之役, 今東征兵卒·梢工, 亦當就向件役巭而調出耳, 洪茶丘移書金方慶云, ‘船三百隻, 梢工水手一萬五千人, 預先備之.’ 其數甚多, 豈可止用小邦人而足矣? 元來所管濟州·東寧府·北界諸城人, 與夫西海道避役亡在東寧府者, 皆能習水, 又工把船, 乞令幷刷補之. 又自庚午年以來, 至今五年, 供軍糧餉, 早曾乏絶. 今此造船巭匠, 及監造官等三萬五百人, 種田軍·洪總管軍·濟州留守軍等糧米, 專取兩班祿俸及諸賦稅, 尙未充給, 又歛中外官民, 而罄竭無餘. 特蒙聖慈, 漕運二萬碩米, 以補軍食, 擧國感戴, 又蒙聖恩, 優賜粮價絹匹, 報謝無階. 然以累次征役, 中外公私旣竭, 又因造船, 農務失時, 貨絹峙糧, 恐不如意.”

五月 庚辰 賜朱錠等及第. 丙戌 世子諶尙帝女忽都魯揭里迷失公主. 己丑 元征東兵萬五千人來. 壬辰 幸本闕, 醮十一曜, 禱雨. 丙申 命知樞密院事宋松禮·樞密院副使奇蘊·鷹揚軍上將軍金光遠, 加僉征東軍. 庚子 元遣使, 詔勸課農桑, 儲峙軍糧, 仍命洪茶丘, 提點農事.

六月 己酉 王不豫, 大赦境內, 除不忠不孝外, 死罪皆宥之. 辛酉 遣大將軍羅裕如元, 上中書省書曰, “今年正月三日, 伏蒙朝旨, 打造大船三百艘, 卽行措置, 遣樞密院副使許珙於全州道邊山, 左僕射洪祿遒於羅州道天冠山, 備材, 又以侍中金方慶爲都督使, 管下員將亦皆精揀, 所須巭匠·物件, 並於中外差委, 催督應副. 越正月十五日聚齊, 十六日起役, 至五月晦告畢, 船大小幷九百隻造訖, 合用物件亦皆圓備. 令三品官能幹者, 分管廻泊, 已向金州, 伏望諸相國, 善爲敷奏.” 癸亥 王薨于堤上宮, 在位十五年, 壽五十六, 遺詔曰, “朕以凉德, 叨守宗祧, 十有五年, 迺緣負重, 遘疾彌留, 未堪持守. 曰惟大寶, 不可暫虛, 惟予元子, 元良之德, 蔚於人望, 睿哲之性, 禀自天成. 今在上朝, 未獲親命, 凡爾臣民, 聽受嗣王之命, 無墜前寧之烈. 易月之服, 三日而除, 山陵制度, 務從儉約. 藩鎭州牧, 毋得越疆, 遵奉朝廷哀制, 至於科擧·婚姻, 一切如舊. 咨! 爾輔相大臣, 越厥庶士, 無以死傷生, 一乃心力, 保定邦家.” 又上遺表于元, 且言世子諶, 孝謹可付後事. 甲子 百官上謚曰順孝, 廟號元宗.

九月 乙酉 葬韶陵. 忠宣王二年七月乙未, 元贈謚忠敬.

관련이미지 7

고려사 - 원종 15년(1274) 갑술년

고려사 - 원종 15년(1274) 갑술년

이미지 갤러리

출처: 국역 고려사: 세가

1/7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국역 고려사 세가를 세트로 엮은 『국역 고려사 세가』세트. 전1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