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덕흥리(德興里) 벽화무덤은 평안남도 남포시 강서 구역 덕흥동 무학산 옥녀봉 남단 구릉에 자리잡은 고구려의 흙무지돌방무덤[石室封土墳]이다. 1976년 관개공사 중 발견된 이 무덤은 구릉 위를 조금 파낸 반지하식 묘광(墓壙) 안에 잘 다듬고 갈아낸 석재로 축조하였으며, 남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무덤의 형태는 널길[羨道], 전실, 이음길, 널방[玄室]으로 이루어진 두칸무덤[二室墓]이며, 널방에는 북쪽으로 치우쳐 널받침이 놓여 있다. 천장은 네 벽을 오므려 쌓아 올라가서 큰 판석으로 덮은 궁륭평행고임식 구조이다.

무덤 내부 짜임새

무덤 내부 짜임새

널방 안의 벽면에는 회를 바르고 그 위에 벽화를 그렸는데, 벽화의 내용은 주로 생활 풍속을 주제로 하였다. 널길에는 인물, 수문장, 연꽃 등을 묘사하였으며, 아울러 이 무덤을 폐쇄한 때가 409년[己酉年] 2월임을 명시한 기록이 남아 있다. 전실과 널방의 네 벽 모서리와 천장에는 기둥과 들보, 도리 등을 그려 목조가옥처럼 묘사하였다.

무덤 주인공과 13군 태수

무덤 주인공과 13군 태수

그리고 전실 벽면에는 주인공이 화려하게 장식된 방에 앉아 13군 태수의 배례(拜禮)를 받는 모습과 함께 여러 신하와 개마무사의 호위를 받으면서 소가 이끄는 수레를 타고 가는 주인공의 장엄한 행렬도가 그려졌다. 천장에는 해와 달, 하늘 별자리와 기린[瑞獸], 천인(天人) 등이 다채롭게 묘사되어 있다. 이음길 양 벽에는 남녀 주인공의 나들이 장면이 그려져 있는데, 특히 주름치마를 입은 여인들의 우아한 모습이 옛 고구려 여인들의 풍취를 자아낸다.

남녀 주인공의 나들이 장면

남녀 주인공의 나들이 장면

널방 안쪽 벽에는 서쪽으로 치우친 벽면에 긴 자루부채[長扇]를 든 시종 네 사람이 무덤 주인공 곁에서 호위하는 모습을, 동벽에는 연못과 칠보행사(七寶行事)가, 서벽에는 말 위에서 활쏘는 장면을 묘사한 마상유희도(馬上遊戲圖)와 고상 창고가, 남벽에는 마구간과 외양간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천장에는 연꽃무늬 등을 그려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동벽의 연꽃과 칠보행사

동벽의 연꽃과 칠보행사

서벽의 마상유희와 고상 창고

서벽의 마상유희와 고상 창고

무덤의 전실 안쪽 벽 상단에서는 총 14행 154자의 무덤 주인 진(鎭)의 묵서(墨書) 묘지명이 발견되었다. 이 묘지명에 따르면, 무덤 주인공은 군 신도[현] 도향 감리(郡信都[縣] 都鄕 甘里) 출신의 진(鎭)이라는 사람으로, 유주자사(幽州刺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77세로 생을 마감하여 영락(永樂) 18년(408) 12월에 무덤 완성 후 영구(靈柩)를 옮겼다고 한다.

묘지명

묘지명

이 기록은 국내외 학계로부터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는데, 특히 무덤 주인공 진의 출신국 문제에 집중되었다. 대체로 북한 학자들은 진을 고구려인으로 보는 데 반해, 남한과 중국, 일본 학계에서는 중국인 망명객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이는 아직 통일된 견해가 도출되지 못한 채 여전히 뜨거운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덕흥리 벽화무덤은 풍부한 벽화 내용과 더불어 무덤의 주인공과 축조 연대를 알 수 있는 몇 안 되는 고구려 고분으로, 그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하겠다. 또한 묘지명과 더불어 벽화의 각 장면마다 거의 빠짐없이 붙여놓은 비교적 자세한 설명들은 덕흥리 고분벽화 자체의 내용을 넘어 다른 벽화고분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기준 자료가 되고 있다.

관련이미지 5

강서 덕흥리 벽화무덤 벽화

강서 덕흥리 벽화무덤 벽화 북한 강서군 덕흥동에 위치한 덕흥리 벽화무덤의 벽화 모습이다. 2012년 이전 촬영.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5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문화 유산 시리즈 <한국 미의 재발견> 제7권. 선사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오천 년 역사의 숨결이 살아 숨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역사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문화유산을 분야별로 나누고, 전문적인 지식을 대중적인 시각으로 풀어내어 누구나 쉽게 우리 미술에 담긴 철학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풍부한 컬러 사진과 자료, 도표 등을 통해 생생한 볼거리와 감상의 묘미를 전해준다. <고분미술Ⅰ> 편에서는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미술 양식을 소개하였다. 삶의 모습과 그들이 꿈꾸었던 내세를 생생히 엿볼 수 있는 고구려의 고분벽화를 통해 힘과 기백이 넘치면서도 섬세하고 우아한 고구려인들의 화법을 만나볼 수 있다. 독특한 무덤 양식과 장인의 숨결이 서려 있는 백제의 고분과 유물들은 웅진시대와 사비시대로 나누어 살펴본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