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고고학사전

돌널무덤

부여 송국리 유적 돌널무덤

부여 송국리 유적 돌널무덤

돌널무덤〔石棺墓〕은 고인돌〔支石墓〕, 돌뚜껑움무덤〔石蓋土壙墓〕, 독널무덤〔甕棺墓〕과 함께 한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중의 하나로서 시베리아, 중국 동북지방, 한반도, 일본 등 폭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돌널무덤은 지하에 무덤구덩〔墓壙〕을 파고 판돌〔板石〕이나 깬돌〔割石〕, 강돌〔川石〕 등으로 장방형의 매장주체부(埋葬主體部)를 만들고 그 위에 1매 이상의 뚜껑돌〔蓋石〕을 덮은 무덤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덤은 네 벽과 바닥 그리고 뚜껑돌을 각각 1∼2매의 판돌을 사용하여 상자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해서 돌상자무덤〔石箱墓〕이라고도 부른다.

돌널무덤은 돌널에 사용된 돌의 형태에 따라 판돌이나 판돌형의 깬돌인 경우와 괴석〔塊石〕이나 강돌인 경우로 분류하여 이들 모두를 돌널무덤의 범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에 비해 일부 연구자는 후자를 돌곽무덤〔石槨墓〕라고 하여 고인돌이나 돌널무덤과는 그 성격을 달리하는 독립적인 묘제의 한 형태로 간주하기도 한다.

진주 대평면 옥방8지구 돌널무덤

진주 대평면 옥방8지구 돌널무덤

전자의 돌널무덤도 벽석을 이루는 석재의 수에 따라 단판석식(單板石式)과 여러 매로 이루어진 복판석식(複板石式)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무덤구덩의 축조방식과 깊이에 따라 일단(一段)돌널무덤과 이단(二段)돌널무덤으로 나누기도 한다. 후자의 이단돌널무덤도 두 종류의 구조가 있다.

먼저 상하 이단으로 굴광(掘壙)을 하고 돌널의 상부에는 뚜껑돌을 올리지만 상단 움〔上段 壙〕은 단순히 흙으로 채운 형태가 있다. 두번째는 첫번째의 것과 모든 형태가 유사하지만 상단 움의 상부도 판돌로 덮여있는 형태이다. 또한 돌널의 조립방법에 따라 돌널무덤을 ‘ㅍ’, ‘ II ’, ‘ㅁ’, ‘ III ’자형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ㅍ’자형으로 조립되고 나머지 형태의 돌널은 뚜렷한 시간성이나 공간성을 보이지는 않는다.

돌널무덤의 바닥은 생토면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와 바닥에 돌을 깐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금강유역권에서는 송국리식토기(松菊里式土器)를 바닥 전면에 까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바닥에는 요갱시설(凹坑施設)을 한 것도 발견되는데 이러한 요갱시설도 대부분 금강유역권에서 발견된다. 고인돌과 마찬가지로 돌널무덤의 규모도 매우 다양하게 발견되는데, 이것은 대체로 성인이나 유아용의 무덤이거나 매장법의 차이, 즉 펴묻기〔伸展葬〕와 굽혀묻기〔屈葬〕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돌널무덤은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보이고 출토유물도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중국 리야오닝(遼寧) 지역의 까앙싸앙(崗上)과 러우싸앙(樓上) 유적에서는 장방형의 적석묘역(積石墓域) 내에서 다양한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중심에서 발견되는 무덤은 판돌로 축조한 전형적인 돌널무덤이다. 이들 돌널무덤에서는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을 비롯한 다양한 청동기와 함께 각종 무기, 말갖춤〔馬具〕류가 발견되었다.

압록강유역의 강계 풍룡리 돌널무덤은 피장자의 머리쪽이 넓고 발쪽이 좁아지는 두광족협식(頭廣足狹式)이고 청동단추〔銅泡〕와 검은긴목항아리〔黑陶長頸壺〕가 발견되었다. 강계 공귀리 유적에서는 수 매의 판돌을 사용하여 규모가 큰 중심널 옆에 작은 널을 잇대어 축조한 형식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부모와 자식이 합장된 경우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배천 대아리 유적에서 발견된 돌널무덤은 각 벽을 1매의 판돌로 짠 형식인데 무덤 내부에서 후기의 비파형단검과 청동화살촉〔銅鏃〕, 대롱옥〔管玉〕, 돌화살촉〔石鏃〕이 일괄로 발견되어 주목된다.

돌널무덤은 한반도 남부지방 전역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지만 가장 밀집되어 발견되는 지역은 금강중하류이다. 금강중하류의 돌널무덤은 대부분 낮은 구릉의 정상부나 사면부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무덤은 1기 혹은 소수가 발견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서천 오석리, 보령 관산리, 공주 분강리, 공주 산의리, 부여 송국리, 논산 마전리 등의 유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 십 기가 한 지점에서 군집으로 발견되고 있다. 군집으로 발견되는 돌널무덤은 무덤 간에 중복을 거의 보이지 않으면서 거의 대부분의 유적에서 3기 내외의 무덤이 소군집(小群集)을 이루어 분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금강중하류에서는 돌널무덤, 돌뚜껑움무덤, 독널무덤이 함께 발견되어 세 묘제 간에 긴밀한 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송국리형집자리와 밀접한 공반관계를 보여주기 때문에 송국리형묘제로 주장되기도 한다. 금강유역 돌널무덤의 껴묻거리〔副葬品〕는 대부분 민무늬토기〔無文土器〕편, 돌검〔石劍〕, 돌화살촉, 붉은간토기〔丹塗磨硏土器〕, 옥 등이 발견되지만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는 이들 유물 외에 비파형동검이 껴묻기되어 있어 피장자의 지위가 상당히 높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금강중하류에서는 돌널무덤이 돌뚜껑움무덤, 독널무덤과 공반되어 발견되지만 고인돌과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러나 서해안 일대와 금강상류 지역, 전남, 경상도 일대에서는 많은 수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대규모의 군집을 보이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 돌널무덤은 고인돌과 혼재되어 발견되지만 금강중하류에 비해 발견 빈도와 밀도가 떨어진다. 진주 귀곡동 유적에서는 고인돌을 중심으로 돌널무덤이 주위에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돌널무덤의 대부분은 널의 네 벽과 뚜껑돌 주변에 별 다른 시설이 없지만 일부에서는 널 주위로 강돌을 넓게 펴서 시설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일반적인 돌널무덤과는 상이한 형태가 발견되어 주목된다. 즉 춘천 천전리, 천안 운전리, 보령 관창리, 남강유역의 진주 대평리 옥방 8지구, 어은 1지구, 사천 이금동 유적에서는 무덤 주위로 도랑〔溝〕 시설을 갖춘 돌널무덤이 발견되고 있다. 도랑시설은 말발굽형, 방형, 세장방형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돌널무덤에서는 민무늬토기편, 가지무늬토기〔彩文土器〕, 붉은간토기, 돌화살촉과 돌검 등 전형적인 돌널무덤에서 발견되는 유물도 있지만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 삼각만입돌화살촉〔三角灣入鏃〕, 홈자루간돌검〔二段柄式磨製石劍〕, 굽달린작은항아리〔臺付小壺〕, 단면 원형의 덧띠토기〔圓形粘土帶土器〕, 검은긴목항아리, 청동거울〔銅鏡〕 등 청동기시대의 이른 시기와 늦은 시기의 유물도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돌널무덤의 시공간적 위치와 전형적인 돌널무덤과의 상호관련성에 대해서는 향후 자료의 증가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승옥)

참고문헌

  • 금강유역 송국리형 묘제의 연구-석관묘·돌뚜껑움무덤·옹관묘를 중심으로-(김승옥, 한국고고학보 45, 2001년)
  • 한국 석관묘의 연구(이종선, 한국고고학보 1, 1976년)

관련이미지 2

부여 백제 석관묘

부여 백제 석관묘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2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동의어

석관묘(石棺墓), 돌상자무덤, 석상묘

출처

제공처 정보

한국 고고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면서도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한 용어에 대한 정의와 함께 그간 우리나라에서 발굴조사된 중요 유적들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수록한 『한국고고학사전』. 우리나라 고고학을 총괄하는 고고학일반편과 주요 시대를 망라한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고구려 및 발해 시대, 백제시대, 신라시대 등 7개편의 총 8개 분야로 구분하여 1,650여 항목의 원고를 작성하고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도면과 도판을 수록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