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고고학사전

널무덤과 덧널무덤

[ 木棺墓·木槨墓 ]

널무덤

널무덤

땅을 파고 통나무나 판재로 만든 목관을 안치한 철기시대의 무덤으로, 움무덤(土壙墓)으로 지칭되어 왔으나 점차 유구에서 나무널(木棺)과 나무덧널(木槨)이 발견됨에 따라 자세히 분류되고 있다. 김기웅은 움무덤을 직장토광묘(直葬土壙墓), 목관토광묘(木棺土壙墓), 목곽토광묘(木槨土壙墓) 등 3종류로 분류하였으나 현재는 토광직장묘(土壙直葬墓), 토광목관묘(土壙木棺墓), 토광목곽묘(土壙木槨墓) 등으로 불려지거나 순움무덤(土葬墓), 널무덤(木棺墓), 덧널무덤(木槨墓)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순움무덤(土葬墓)이란 장방형의 무덤구덩이(墓壙)를 파고 바로 시신을 안치하거나 나무판을 깔고 그 위에 시신을 안치하는 가장 간단한 구조로 서울 석촌동, 서산 명지리·소소리, 청주 신봉동 등 백제 전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널무덤(木棺墓)이란 장방형의 무덤구덩이를 파고 따로 나무널을 만들어 시신을 안치한 다음 그 널을 무덤구덩이 안에 묻은 것으로서 통나무의 널이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발견되었고, 판재를 결구한 널이 천안 화성리 유적과 김해 대성동 유적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덧널무덤(木槨墓)이란 나무덧널(木槨)의 시설을 마련하고 매장한 것을 말하는데 백제지역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주로 낙동강유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덧널무덤은 B.C. 2500년경 중국 은대(殷代)부터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는 야요이시대(彌生時代) 유적에서 다수 발굴되고 있다. 널의 크기는 덧널무덤과 비교해 보면 훨씬 작은 규모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태성리(台城里) 12호와 운성리(雲城里) 2호의 경우 목질(木質)의 너비가 0.5m 정도밖에 되지 않아 확실한 널무덤으로 보인다. 서북한지역에서는 나무널의 흔적만을 남기고 있는 나무널무덤의 벽면은 경사진 무단형(無段形), 2단형, 수직벽의 형태로 되어 있고, 순움무덤에서 보이지 않던 합장(合葬)양식이 보이기 시작한다. 서북한지역에서는 널무덤이 순움무덤과 더불어 평안남도와 황해도지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남부지방에서는 경북지방과 경남지역 등 낙동강을 중심으로 주로 분포하고 있다. 충청지역과 호남지역에서 조사된 보령 관창리, 서산 당정리, 익산 영등동 등지에서 주구묘(周溝墓)가 발견되었는데 이들 주구묘의 주묘제가 널무덤임이 최근 확인되었다. 낙동강유역의 대표적인 유적은 대구 팔달동, 경산 임당동, 경주 조양동과 사라리, 창원 다호리 유적과 도계동, 김해 대성동, 함안 도항리 유적 등을 들 수 있다.

덧널무덤

덧널무덤

조양동(朝陽洞) 유적에서 발굴된 움무덤은 3형식으로 나누어지고 있는 데, 이 중에서 Ⅰ형식과 Ⅱ형식이 널무덤이다. Ⅰ형식묘는 나무널을 사용하였고, 무덤구덩이의 길이, 너비, 깊이가 2×0.75×2m이며, 무덤구덩이의 네 모서리가 둥글어서 평면이 장타원형을 이룬다. 부장품은 흑색마연목긴항아리, 신창리식바리, 쇠꺾창(鐵戈), 청동제검파두식(靑銅製劍把頭飾), 쇠도끼(鐵斧), 다뉴소문경(多鈕素文鏡) 등이 함께 출토되고 있다. 상한연대를 B.C. 1세기 후반기로 추정하고 있다.

Ⅱ형식묘는 역시 나무널을 사용하였고 무덤구덩이의 크기는 2.5-3×1-1.5×1-1.5m로서 Ⅰ형식에 비해 평면이 넓어지나 깊이는 얕아진다. 부장품은 한경(漢鏡)과 청동제검파두식철검, 판상쇠도끼(板狀鐵斧), 쇠도끼 등이 있고 새로이 와질토기가 등장한다. 이 형식의 상한연대는 A.D. 1세기 전반기로 보고 있다. Ⅲ형식묘는 나무널이 아니라 나무덧널이고 무덤구덩이는 4×2×0.6m인 장방형이다. 부장품은 청동기는 없고 철기가 다량으로 부장되었다. 토기로는 다리(臺脚)가 붙은 와질토기가 출현하고, 토기 정형에 예새깎기 기법이 나타나고 있다. 장신구로는 수정(水晶)의 굽은옥(曲玉)과 여러면옥(多面玉)이 있다. 연대는 A.D. 2세기 후반기로 비정하고 있다.

창원시 다호리 유적은 1988-1991년까지 6차례에 걸쳐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총 44기의 널무덤이 조사되었다. 1·2차 조사에서 확인된 유구는 총 15기이나 후대의 1기를 제외하면 14기가 된다. 이 중에는 독널무덤(甕棺墓)이 2기이고 나머지는 모두 널무덤계통의 것들이다. 3·4차 조사에서는 널무덤 15기가 조사되었는데 1·2차 조사에서 확인된 유구들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5·6차 조사에서는 총 15기의 널무덤과 독널무덤 2기가 조사되었다.

이들 널무덤은 대체적으로 크게 3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유형은 무덤구덩이의 규모가 비교적 크고 깊은 편으로 2.4-2.78×11-1.36×1.2-2.05m의 것이다. 다른 유형과 구별되는 또 하나의 특징은 무덤구덩이 바닥면 중앙부에 장방형의 부장갱(副葬坑)이 있으며 부장품이 비교적 많은 점이다. 제2유형은 무덤구덩이의 규모가 제1유형과 비슷한 예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약간 작은 편이며 무덤구덩이 바닥면 중앙부의 부장갱은 보이지 않는다. 무덤구덩이의 크기는 2-2.7×0.8-1.25×0.9-1.68m 정도이다. 제3유형은 무덤구덩이의 규모가 제일 작은 것으로 규모는 1.6-2×0.55-0.64×0.2-0.4m 정도이며, 역시 무덤구덩이 바닥면 중앙부의 부장갱은 보이지 않는다.

1차 조사에서는 나무널의 실체를 확인한 것이 커다란 성과의 하나인데 나무널은 통나무로 제작되어 있었다. 또한 부장양식에서도 관내부장(棺內副葬)뿐만 아니라 널 아래에 설치한 부장갱을 비롯한 널 아래의 부장방법이 확인된 것은 앞으로의 조사에도 많은 참고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즉 나무널이 썩어 존재하지 않았다면 널 아래의 부장품을 널내 부장품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 유물은 철기류, 칠기류, 토기류로 나눌 수 있다. 철기류는 많은 양이 출토되었고 종류면에서도 매우 다양하다.

낙동강유역의 널무덤을 3유형으로 나누어 보면, Ⅰ유형은 양동리 70호로 대표되는데 평면이 세장방형(細長方形)에 속하고, 장축이 남-북 방향이며, 등고선과 일치한다. 유구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이며, 충진토 내부에 일부 판돌(板石)이나 깬돌(割石)이 존재하여 돌무지널무덤(積石木棺墓)과 유사한 점이 발견된다. 이 유형의 연대를 B.C. 2세기대로 보고 있다. Ⅱ유형의 규모는 1.6-2.0×0.55-0.64×0.2-0.4m이고, 평면형태가 말각장방형이고, 장축은 동-서이며, 침향은 동침이다. 규모나 부장유물에서 Ⅰ유형과 유사하다. 연대는 B.C. 1세기경으로 비정하고 있다. Ⅲ유형은 규모가 2-3.2×0.8-1.8×0.8-2.05m이며, 평면형태, 장축방향, 침향 등은 Ⅱ유형과 동일하다. 그러나 Ⅱ유형에 없던 요갱(腰坑)이 확인되고 있다. 이 유형의 연대는 B.C. 1세기 후반에서 A.D. 2세기 중반까지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요갱에 유물을 부장하는 풍습은 중국에서는 상(商)·은(殷)·주(周)시대 이래 전국(戰國) 및 한(漢)대에 이르기까지 채택된 것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널무덤은 철기시대 초기에 등장한 철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양식으로 지역에 따라 독특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구조도 아주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먼저 서북지역에서 B.C. 3세기경에 나타났으며, 낙동강유역에서는 철기시대 초기인 B.C. 2세기에 등장하여 A.D. 2세기 중반까지 유행하다가 덧널무덤으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충청지방이나 호남지방에서는 A.D. 3-4세기까지 계속적으로 축조되었다.

참고문헌

  • 洛東江流域 加耶의 土壙木棺墓 硏究(林孝澤, 漢陽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3년)
  • 義昌 茶戶里遺蹟 發掘進展報告 Ⅲ(李健茂·尹光鎭·申大坤·鄭聖喜, 考古學誌 第5輯, 韓國考古美術硏究所, 1993년)
  • 土壙木棺墓 構造硏究(1)(金亨坤, 韓國上古史學報 10, 韓國上古史學會, 1992년)
  • 義昌 茶戶里遺蹟 發掘進展報告 Ⅱ(李健茂·尹光鎭·申大坤·金斗喆, 考古學誌 第3輯, 韓國考古美術硏究所, 1991년)
  • 義昌 茶戶里遺蹟 發掘進展報告 Ⅰ(李健茂·李榮勳·尹光鎭·申大坤, 考古學誌 第1輯, 韓國考古美術硏究所, 1989년)
  • 百濟 土壙墓의 硏究(安承周, 百濟文化 第十六輯, 百濟文化硏究所, 1985년)
  • 鐵器時代-墓制(金基雄, 韓國史論 13, 國史編纂委員會, 1983년)

출처

제공처 정보

한국 고고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면서도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한 용어에 대한 정의와 함께 그간 우리나라에서 발굴조사된 중요 유적들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수록한 『한국고고학사전』. 우리나라 고고학을 총괄하는 고고학일반편과 주요 시대를 망라한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고구려 및 발해 시대, 백제시대, 신라시대 등 7개편의 총 8개 분야로 구분하여 1,650여 항목의 원고를 작성하고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도면과 도판을 수록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