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비미호(卑彌呼)가 왕으로 추대됨

  • 국가
    왜(倭)
그 나라도 본래 남자를 왕으로 삼았으나, 주 001
각주 001)
『後漢書』에 따르면 57년에는 倭 奴國王이 조공하였고, 107년에 倭國王 帥升이 生口 160명을 바치고 알현하기를 청하였다고 한다. 이처럼 帥升이 倭國王을 자칭한 사실로 미루어 왜에서 男王을 세웠다는 것은 帥升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닫기
70년~80년이 지나자주 002
각주 002)
帥升이 生口를 바친 107년에 70~80년을 더하면 180년을 전후한 시기가 된다. 『後漢書』에서는 倭國大亂의 시기를 “桓靈之間”, 즉 桓帝와 靈帝 무렵이라고 하였으며, 『太平御覽』에 인용된 『魏志』에서는 “漢 靈帝의 光和中”, 즉 178~183년 사이라고 하였다(森浩一, 1985:137). 『梁書』와 『北史』에서도 “光和年中”이라고 하였다. 桓帝는 후한의 제11대 황제로 이름은 劉志이고, 치세기간은 146~167년이다. 靈帝는 후한의 제12대 황제로 이름은 劉宏이고, 치세기간은 167~189년의 22년간이다. 따라서 시기적으로는 靈帝의 시기일 가능성이 높다. “桓靈之間”은 중국에서 혼란의 시기를 나타내는 용어로 자주 사용되므로, 『後漢書』에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닫기
왜국에서 난리가 일어나서주 003
각주 003)
倭國亂:180년대를 중심으로 九州地域에서 關東地域에 걸쳐서 발생하였던 大亂을 말한다. 이 대란의 흔적을 고고학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0년대를 전후한 시기에 北部九州 내부에서 전쟁의 흔적은 전혀 발견할 수 없고, 北部九州에서 東部九州를 잇는 지역에서 봉수대를 포함하는 高地性 集落이 조성되었다. 이는 동쪽 즉 畿內와 瀨戶內 등으로부터의 군사적 압박에 대하여 北部九州가 대비하였음을 보여준다. 한편 瀨戶內 연안부에서도 바다에 면한 高地性 集落이 조성된 예가 많다. 또한 2세기 말에서 3세기 전반에 걸친 奈良縣 櫻井市의 纏向遺跡에서는 동쪽으로는 關東에서, 서쪽으로는 北部九州에서 반입된 토기가 전체 토기의 15%를 차지하고 있어서, 이 유적이 이 시기에 九州에서 關東에 이르는 인적·물적 교류의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이 유적 주변에는 前方後圓墳의 祖形으로 간주되는 纏向石塚 및 호케노야마고분, 그리고 가장 오래된 전방후원분으로 추정되는 箸墓古墳 등이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濃尾平野를 중심으로 한 일본 中部(東海)地域은 彌生時代 중기까지 독자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었다. 1세기 말에 銅鐸(말방울과 같은 실용적인 도구에서 기원한 청동기)이 급격하게 대형화되고 祭器로서 사용된다. 그러한 銅鐸에는 近畿式과 三遠式이 있는데 東海地域은 三遠式 동탁의 중심지였다. 그런데 2세기 말이 되면 三遠式 銅鐸은 사라지고, 이 지역에서 銅鐸을 생산하던 사람들은 畿內式 銅鐸의 생산조직에 흡수되고 近畿式 銅鐸만 제작된다. 이는 中部地域의 자립성이 畿內勢力에 의하면 부정되었음을 상징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彌生時代 후기에 關東地域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각지에서 환호집락이 격증한다. 이러한 집락에서는 東海系 土器가 대량으로 출토되는데, 이는 關東地域의 개발에 東海地域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이 깊이 관여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 시기에 關東地域에서 군사적인 긴장이 고조되었던 사실도 확인된다.
이처럼 2세기 말엽에 해당하는 彌生時代 후기 왜인 사회에서는 관동에서 북부 구주에 걸친 지역에서 군사적 긴장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國立歷史民俗博物館編, 1996:180~181).
닫기
서로 공벌(攻伐)한 지 여러 해가 되었다.주 004
각주 004)
왜국의 大亂이 끝난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는 奈良縣 天理市 東大寺古墳에서 출토된 ‘中平刀’가 있다. 이 칼의 명문에는 “中平□□ 五月丙午 造作文刀 百鍊精剛 上應星宿 □□□□”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中平은 184~189년이다. 중국 사서에는 이 기간에 왜국이 사신을 보냈다는 기록이 보이지 않으나, 왜국의 대란이 종결된 이후 왜국왕이 후한에 사신을 보냈고 그 사절에게 하사한 검으로 볼 수 있다(國立歷史民俗博物館編, 1996:182). 그렇다면 光和 연간의 왜국대란은 오래 지속된 것이 아니라 中平 연간에는 이미 종결된 셈이다.
닫기
마침내 모두 함께 한 여자를 추대하여주 005
각주 005)
『三國志』 「烏丸鮮卑東夷傳」에서는 이 밖에도 “共立”이라는 말이 두 차례 더 쓰였다. 부여조에서 왕인 位宮이 적자가 없었으므로, 사후에 諸加들이 孽子인 麻余를 공립하였다는 기사와 고구려조에서 長子인 拔奇가 불초하므로 國人들이 伊夷模를 공립하였다는 기사이다. 어느 경우나 왕위계승에서 비정상적인 계승이 발생한 경우이다. 한편 國人은 일반 백성이 아니라 왕위의 계승에 관련할 수 있는 지배층 구성원들이라고 볼 수 있다.
닫기
왕으로 삼았는데, 이름은 비미호(卑彌呼) 주 006
각주 006)
卑彌呼:‘히미코’(ヒミコ, 日命, 日尊이란 자의 略稱) 또는 ‘히메코’(ヒメコ, 姬子)라고 읽는다. 新井白石은 ‘日御子’로서 天皇으로 간주하고 있다(『古史通或問』). 大和說에서는 『日本書紀』에 기재되어 있는 神功皇后, 倭姬命 그리고 崇神天皇의 여동생 倭迹迹日百襲姬命(笠井新也) 등에 비정되고 있고, 九州說에서는 熊襲女酋, 『日本書紀』 神代卷에 보이는 火之戶幡姬兒千千姬命 및 萬幡姬兒玉依姬命 그리고 土蜘蛛田油津媛의 先代 등으로 비정되고 있다. 더불어서 那珂通世와 白鳥庫吉 등의 지지를 받는 熊襲 혹은 隼人族의 女酋란 설도 있다(末松保和, 1962:23~43 및 石原道博, 2005:49~50).
닫기
라고 한다. [그녀는] 귀도(鬼道)주 007
각주 007)
鬼道:일반적으로 ‘惑世誣民하는 術法’을 가리킨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넓게는 중국의 신선사상, 보다 직접적으로는 후한 말에 유행하였던 張魯의 五斗米道와도 일정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三國志』 「張魯傳」에서는 漢中地域에서 교세를 떨쳤던 張魯에 대하여, “魯는 漢中에 거점을 두고, 鬼道로써 백성을 가르치고 스스로 師君이라고 하였다.”고 하였다(森浩一, 1985:137).
한편 魏가 여왕에게 하사한 동경은 三角緣神獸鏡인데, 이 거울은 神仙과 상서로운 동물을 배치한 道敎的인 성격의 거울이다. 이전 시대까지 일본열도에서 제기로 사용된 銅鐸을 대신하여 銅鏡이 새로운 祭儀 특히 葬送儀禮의 중심을 차지하게 된 것은 이 무렵 일본열도의 수장층들이 신선사상을 수용하였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닫기
를 섬겨서, 능히 무리를 미혹하며, 나이가 이미 많았음에도 지아비가 없고, 남동생[男弟]주 008
각주 008)
白鳥庫吉은 卑彌呼는 巫이고 南弟는 覡으로서, 兩者의 關係는 마치 天照大臣과 天兒屋根命 혹은 建御雷神, 神功皇后와 武內宿禰, 推古天皇과 聖德太子 그리고 齊明天皇과 中大兄皇子 등의 관계와 같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末松保和, 1962:23~43 및 石原道博, 2005:49~50).
닫기
이 있어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도와주었다. [비미호가] 왕이 된 이래, [그녀를] 본 자가 적었다. [그녀는] 여자 종[婢] 1천 명으로써 자신을 모시도록 하였으며, 오직 남자 1명이 있어서, [그는] 음식을 올리거나 말을 전달하러 출입하였다.주 009
각주 009)
傳辭出入居處, 宮室樓觀, 城柵嚴設과 같이 居處를 앞으로 붙여서 읽는 견해도 있다. 그 경우에는 “말을 전달하러 [그녀의] 거처에 출입하였다. 궁실과 누관이 있으며, 성책이 엄중하게 설치되어 있고”로 해석될 수 있다.
닫기
궁실(宮室)과 누관(樓觀)에 거처하였고, [주변에는] 성책(城柵)주 010
각주 010)
城柵:성은 흙을 版築法으로 쌓아 견고하게 만든 것이고, 책은 나무로 빽빽하게 만든 울타리를 말한다. 그러나 이 시대 일본열도에는 城은 없었다. 현재 발굴된 유적을 통해서도 木柵과 구덩이만 확인될 뿐이다. 부여나 진한의 경우도 성책은 토벽을 두른 것이 아니라 나무로 만든 柵인 것으로 추측된다.
닫기
이 엄중하게 설치되어 있고, 항상 병기(兵器)를 지닌 사람이 있어서 [그녀를] 지켰다.

  • 각주 001)
    『後漢書』에 따르면 57년에는 倭 奴國王이 조공하였고, 107년에 倭國王 帥升이 生口 160명을 바치고 알현하기를 청하였다고 한다. 이처럼 帥升이 倭國王을 자칭한 사실로 미루어 왜에서 男王을 세웠다는 것은 帥升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帥升이 生口를 바친 107년에 70~80년을 더하면 180년을 전후한 시기가 된다. 『後漢書』에서는 倭國大亂의 시기를 “桓靈之間”, 즉 桓帝와 靈帝 무렵이라고 하였으며, 『太平御覽』에 인용된 『魏志』에서는 “漢 靈帝의 光和中”, 즉 178~183년 사이라고 하였다(森浩一, 1985:137). 『梁書』와 『北史』에서도 “光和年中”이라고 하였다. 桓帝는 후한의 제11대 황제로 이름은 劉志이고, 치세기간은 146~167년이다. 靈帝는 후한의 제12대 황제로 이름은 劉宏이고, 치세기간은 167~189년의 22년간이다. 따라서 시기적으로는 靈帝의 시기일 가능성이 높다. “桓靈之間”은 중국에서 혼란의 시기를 나타내는 용어로 자주 사용되므로, 『後漢書』에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倭國亂:180년대를 중심으로 九州地域에서 關東地域에 걸쳐서 발생하였던 大亂을 말한다. 이 대란의 흔적을 고고학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0년대를 전후한 시기에 北部九州 내부에서 전쟁의 흔적은 전혀 발견할 수 없고, 北部九州에서 東部九州를 잇는 지역에서 봉수대를 포함하는 高地性 集落이 조성되었다. 이는 동쪽 즉 畿內와 瀨戶內 등으로부터의 군사적 압박에 대하여 北部九州가 대비하였음을 보여준다. 한편 瀨戶內 연안부에서도 바다에 면한 高地性 集落이 조성된 예가 많다. 또한 2세기 말에서 3세기 전반에 걸친 奈良縣 櫻井市의 纏向遺跡에서는 동쪽으로는 關東에서, 서쪽으로는 北部九州에서 반입된 토기가 전체 토기의 15%를 차지하고 있어서, 이 유적이 이 시기에 九州에서 關東에 이르는 인적·물적 교류의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이 유적 주변에는 前方後圓墳의 祖形으로 간주되는 纏向石塚 및 호케노야마고분, 그리고 가장 오래된 전방후원분으로 추정되는 箸墓古墳 등이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濃尾平野를 중심으로 한 일본 中部(東海)地域은 彌生時代 중기까지 독자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었다. 1세기 말에 銅鐸(말방울과 같은 실용적인 도구에서 기원한 청동기)이 급격하게 대형화되고 祭器로서 사용된다. 그러한 銅鐸에는 近畿式과 三遠式이 있는데 東海地域은 三遠式 동탁의 중심지였다. 그런데 2세기 말이 되면 三遠式 銅鐸은 사라지고, 이 지역에서 銅鐸을 생산하던 사람들은 畿內式 銅鐸의 생산조직에 흡수되고 近畿式 銅鐸만 제작된다. 이는 中部地域의 자립성이 畿內勢力에 의하면 부정되었음을 상징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彌生時代 후기에 關東地域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각지에서 환호집락이 격증한다. 이러한 집락에서는 東海系 土器가 대량으로 출토되는데, 이는 關東地域의 개발에 東海地域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이 깊이 관여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 시기에 關東地域에서 군사적인 긴장이 고조되었던 사실도 확인된다.
    이처럼 2세기 말엽에 해당하는 彌生時代 후기 왜인 사회에서는 관동에서 북부 구주에 걸친 지역에서 군사적 긴장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國立歷史民俗博物館編, 1996:180~181).
     바로가기
  • 각주 004)
    왜국의 大亂이 끝난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는 奈良縣 天理市 東大寺古墳에서 출토된 ‘中平刀’가 있다. 이 칼의 명문에는 “中平□□ 五月丙午 造作文刀 百鍊精剛 上應星宿 □□□□”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中平은 184~189년이다. 중국 사서에는 이 기간에 왜국이 사신을 보냈다는 기록이 보이지 않으나, 왜국의 대란이 종결된 이후 왜국왕이 후한에 사신을 보냈고 그 사절에게 하사한 검으로 볼 수 있다(國立歷史民俗博物館編, 1996:182). 그렇다면 光和 연간의 왜국대란은 오래 지속된 것이 아니라 中平 연간에는 이미 종결된 셈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5)
    『三國志』 「烏丸鮮卑東夷傳」에서는 이 밖에도 “共立”이라는 말이 두 차례 더 쓰였다. 부여조에서 왕인 位宮이 적자가 없었으므로, 사후에 諸加들이 孽子인 麻余를 공립하였다는 기사와 고구려조에서 長子인 拔奇가 불초하므로 國人들이 伊夷模를 공립하였다는 기사이다. 어느 경우나 왕위계승에서 비정상적인 계승이 발생한 경우이다. 한편 國人은 일반 백성이 아니라 왕위의 계승에 관련할 수 있는 지배층 구성원들이라고 볼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卑彌呼:‘히미코’(ヒミコ, 日命, 日尊이란 자의 略稱) 또는 ‘히메코’(ヒメコ, 姬子)라고 읽는다. 新井白石은 ‘日御子’로서 天皇으로 간주하고 있다(『古史通或問』). 大和說에서는 『日本書紀』에 기재되어 있는 神功皇后, 倭姬命 그리고 崇神天皇의 여동생 倭迹迹日百襲姬命(笠井新也) 등에 비정되고 있고, 九州說에서는 熊襲女酋, 『日本書紀』 神代卷에 보이는 火之戶幡姬兒千千姬命 및 萬幡姬兒玉依姬命 그리고 土蜘蛛田油津媛의 先代 등으로 비정되고 있다. 더불어서 那珂通世와 白鳥庫吉 등의 지지를 받는 熊襲 혹은 隼人族의 女酋란 설도 있다(末松保和, 1962:23~43 및 石原道博, 2005:49~50).
     바로가기
  • 각주 007)
    鬼道:일반적으로 ‘惑世誣民하는 術法’을 가리킨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넓게는 중국의 신선사상, 보다 직접적으로는 후한 말에 유행하였던 張魯의 五斗米道와도 일정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三國志』 「張魯傳」에서는 漢中地域에서 교세를 떨쳤던 張魯에 대하여, “魯는 漢中에 거점을 두고, 鬼道로써 백성을 가르치고 스스로 師君이라고 하였다.”고 하였다(森浩一, 1985:137).
    한편 魏가 여왕에게 하사한 동경은 三角緣神獸鏡인데, 이 거울은 神仙과 상서로운 동물을 배치한 道敎的인 성격의 거울이다. 이전 시대까지 일본열도에서 제기로 사용된 銅鐸을 대신하여 銅鏡이 새로운 祭儀 특히 葬送儀禮의 중심을 차지하게 된 것은 이 무렵 일본열도의 수장층들이 신선사상을 수용하였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白鳥庫吉은 卑彌呼는 巫이고 南弟는 覡으로서, 兩者의 關係는 마치 天照大臣과 天兒屋根命 혹은 建御雷神, 神功皇后와 武內宿禰, 推古天皇과 聖德太子 그리고 齊明天皇과 中大兄皇子 등의 관계와 같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末松保和, 1962:23~43 및 石原道博, 2005:49~50).
     바로가기
  • 각주 009)
    傳辭出入居處, 宮室樓觀, 城柵嚴設과 같이 居處를 앞으로 붙여서 읽는 견해도 있다. 그 경우에는 “말을 전달하러 [그녀의] 거처에 출입하였다. 궁실과 누관이 있으며, 성책이 엄중하게 설치되어 있고”로 해석될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0)
    城柵:성은 흙을 版築法으로 쌓아 견고하게 만든 것이고, 책은 나무로 빽빽하게 만든 울타리를 말한다. 그러나 이 시대 일본열도에는 城은 없었다. 현재 발굴된 유적을 통해서도 木柵과 구덩이만 확인될 뿐이다. 부여나 진한의 경우도 성책은 토벽을 두른 것이 아니라 나무로 만든 柵인 것으로 추측된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비미호(卑彌呼), 비미호
지명
왜국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비미호(卑彌呼)가 왕으로 추대됨 자료번호 : jo.k_0004_0030_004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