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람' 3명 중 1명은 일본인…1934년 서울의 모습은?읽음

최민지 기자
서울역사박물관이 14일 발간한 소장유물자료집 8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의 표지. 서울시 제공

서울역사박물관이 14일 발간한 소장유물자료집 8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의 표지. 서울시 제공

일제강점기였던 1934년 말 ‘서울 사람’ 3명 중 1명은 일본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역사박물관이 14일 발간한 소장유물자료집8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各町洞職業別戶口調書)’에 따르면, 1934년 말 당시 서울시 인구 39만4525명 중 ‘내지인’이라 불린 일본인은 10만9682명(28%)에 달했다. 이 가운데 조선인은 27만9007명(70.7%)으로 서울 시민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고 중국인 등 외국인은 5836명(1.47%)이었다.

박물관 관계자는 “1930년대 중엽까지 전국 인구 중 일본인의 비율이 평균 2.7% 이하였던 것과 비교하면 현저히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는 서울역사박물관이 소장한 다양한 인구 관련 자료 중 하나로, 1934년 말 서울의 인구를 최하위 행정단위인 ‘정’과 ‘동’을 기준으로 내지인(일본인), 조선인, 외국인의 민족별로 구분했다. 이를 다시 8개 직업(농·임·목축업, 어업·제염업, 공업, 상업·교통업, 공무·자유업, 기타 유업자, 무직자, 직업을 신고하지 않은 자 등)으로 분류했다.

호구조서에는 1934년 당시 민족별 주요 거주지도 담겼다. 을지로(황금정)을 기준으로 일명 북촌에는 조선인들이, 남촌에는 일본인들이 많이 살았다. 1910년대 감소하던 중국인들은 1920년대 후반이 되면서 남대문로 2·3가 서쪽으로 중국인 거리를 형성했다. 서소문정(1164명), 태평통2정목(642명), 장곡천정(621명), 북미창정(201명) 외국인들은 대다수가 중국인이었다.

각정동직업별호구조사는 서울의 주민을 최하위 행정단위인 ‘정’과 ‘동’을 기준으로 내지인(일본인)과 조선인, 외국인으로 나눠 분류했다. 서울시 제공

각정동직업별호구조사는 서울의 주민을 최하위 행정단위인 ‘정’과 ‘동’을 기준으로 내지인(일본인)과 조선인, 외국인으로 나눠 분류했다. 서울시 제공

당시 서울의 상업이 전국 타 지역보다 활발했던 것도 확인됐다. 서울에 사는 조선인의 직업으로는 상업·교통업이 31%로 가장 많았고, 기타 유업자 22.8%, 공업과 공무·자유업이 각각 12.9%, 12.5%를 차지했다. 같은 시기 전국 조선인의 75.1%가 농·임·목축업에 종사하고 있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일본인은 전국적으로 보면 공무·자유업, 상업·교통에 각각 42.2%, 26.9% 종사했지만, 서울에 사는 일본인은 공무·자유업(39.4%)이 상대적으로 낮고 상업·교통업(34.6%) 비중이 높았다. 외국인은 전국적으로 보면 상업(45.9%), 농업(21.8%), 공업(14.3%) 순이었지만, 서울 거주 외국인의 직업은 상업(61%)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송인호 서울역사박물관장은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는 식민지 수도 경성부의 도시 성격과 구성원들의 모습을 읽어 내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구체적인 통계자료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1934년 서울의 장소와 역사와 기억에 대한 학문과 이야기가 보다 깊어지고 풍성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물관의 소장유물자료집8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는 서울책방과 서울역사박물관 뮤지엄샵에서 구매할 수 있다.


경향티비 배너
Today`s HOT
생성형 인공지능에 관해 연설하는 젠슨 황 그리스 사순절 밀가루 전쟁 축제 한일전에서 일본 꺾은 여자 컬링 푸틴, 5선 당선 확정
파리올림픽 테러 대비 훈련하는 프랑스 경찰 투런 홈런 친 김하성
난민이 된 팔레스타인 어린이들 아조우에 자유를
분홍빛 벚꽃으로 물든 도쿄 초록빛 글로벌 축제 성 패트릭 데이 형광 녹색으로 물드는 미국 시카고 강 붉은 용암 분출하는 아이슬란드 화산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