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기에는 신라왕이 왜에 항복하며 해가 서쪽에서 뜨거나 阿利那禮河가 거꾸로 흐르지 않는 한 조공을 거르지 않겠다고 했다고 합니다.
여기에 나오는 阿利那禮河는 熊津江이 熊, 津 그리고 江으로 구성된 것처럼 阿利, 那禮 그리고 河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阿利는 娥利英井이 閼英井으로도 표기된 것처럼 閼로도 표기될 수 있죠.
그러면 阿利那禮河는 閼那禮河가 됩니다.
또 那禮는 久麻那利의 那利처럼 나루를 음차한 것인데 熊津江이 熊川으로도 표기된 것처럼 생략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閼那禮河는 閼川이 되겠죠.
신라의 건국설화가 얽혀있는 바로 그 閼川입니다.
여기서 閼은 달걀에 나오는 그 알의 음차인 듯합니다.
신라의 건국설화에는 閼川 楊山村에서 혁거세가 알에서 나왔고 그 인근의 閼英井에서 혁거세 부인이 태어났다고 되어 있죠.
또 알에서 깨어나는 것처럼 금궤에서 나온 아이를 閼智라 했다고 합니다.
熊津江 = 熊(곰)+津(나루)+江(강) ➔ 阿利那禮河 = 阿利+那禮+河
① 娥利英井→閼英井 ➔ 阿利那禮河→閼那禮河
② 熊津江→熊川 ➔ 閼那禮河→閼川
久麻那利(クマナリ)=곰나루 ➔ 阿利那禮(アリナレ)=알나루
0720 「日本書紀」
非東日更出西 且除阿利那禮河返以之逆流
天皇聞百濟爲高麗所破 以久麻那利賜汶洲王 救興其國
0945 「舊唐書」
定方自城山濟海 至熊津江口 賊屯兵據江
1145 「三國史記」
閼川 楊山村
髙墟村長蘇伐公 望楊山麓
忽不見馬 只有大卵 剖之 有嬰兒出焉
龍見於閼英井 右脇誕生女兒
有金色小櫝掛樹枝 有小男兒在其中
乃名閼智 以其出於金櫝
遂畫定疆埸 北至浿河 南限熊川 西窮大海 東極走壤
1281 「三國遺事」
閼英井(一作娥利英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