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개념
가야 혹은 금관가야를 달리 부르던 이름.
이칭
이칭
가야, 금관가야, 대가야
내용 요약

임나란 가야 혹은 금관가야를 달리 부르는 이름이다. 특히, 김해의 금관가야를 칭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 역사 기록에서는 3곳에서 '임나'라는 표현이 확인된다. 「광개토왕릉비문」에서는 '임나가라',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문」에는 '임나왕족', 『삼국사기』 열전 강수열전에서는 '임나가량'이라는 표현이 쓰였다. 임나는 중국과 일본의 문헌에서도 확인되며, 『일본서기』에서는 임나와 함께 '임나일본부'라는 표현도 다수 쓰였다.

목차
정의
가야 혹은 금관가야를 달리 부르던 이름.
내용

임나(任那)라는 표현은 한 · 중 · 일 고대 사서와 금석문에서 간간이 확인된다. 우리 측 역사 기록에서는 3곳에서 확인되며 왕족, 가라(加羅), 가량(加良) 등의 어휘와 결합되어 있다. 즉, 「광개토왕릉비문(廣開土王陵碑文)」에서는 '임나가라(任那加羅)',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문(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文)」에서는 '임나왕족(任那王族)', 『 삼국사기강수(强首) 열전에서는 '임나가량(任那加良)'이라는 표현이 쓰였다. 학계에서는 이 중 임나가라를 금관가야로 특정하기도 하고, 임나와 가라로 나누어 보기도 한다.

중국 사서 가운데는 『송서(宋書)』 왜국전, 『남제서(南齊書)』 왜국전, 『양서(梁書)』 왜전, 『남사(南史)』 왜국전, 『통전(通典)』 신라전 등에서 확인된다. 일본 사서 가운데는 『일본서기』와 주1』에서 확인되는데 『일본서기』의 기록이 압도적으로 많다.

광개토왕릉비에 새겨진 ‘임나가라’라는 표현은 종발성(從拔城)이라는 성 이름 앞에 배치되어 있다. 종발성을 고구려가 공격한 가야성으로 보았을 때 임나가라를 임나와 가라 등 두 나라로 나누어 보기 어렵다.

『삼국사기』 강수열전의 '임나가량'이란 표현의 뒤에는 인(人)자가 붙어 있다. 가량은 가라와 같은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보이며, 강수가 왕에게 자신의 출신을 이야기하는 내용 중에 등장하므로 하나의 나라로 볼 수밖에 없다. 이 기록에 보이는 임나가량을 주2로 보기도 하고 주3로 보기도 한다.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문」의 ‘임나왕족’이란 표현은 진경대사의 조상에 대한 설명에서 등장하며, 그는 김유신의 후손이므로 여기서 임나란 금관가야를 의미한다.

『일본서기』 숭신기(崇神紀)에 "임나가 현재의 규슈[九州]에 해당하는 축자국(筑紫國)으로부터 이천여 리 떨어져 있고 신라의 서남쪽에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임나가 곧 금관가야임을 알 수 있다. 그와 달리 같은 책 흠명기(欽明紀)에 대가야의 멸망을 서술할 때 ‘임나관가(任那官家)’라는 표현이 쓰였다.

사료에 등장하는 '임나'는 때로는 가야 전체를 통칭하기도 하고, 금관가야 혹은 대가야를 특정하기도 한다. 임나의 어원에 대해 '님의 나라'라는 의미로 추정하기도 하고, 임나의 일본식 발음이 '미마나'인 점에 착안하여 그것과의 주4를 통해 의미를 해석해보려는 시도가 있지만 아직 정설이 없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일본서기(日本書紀)』
「광개토왕릉비문(廣開土王陵碑文)」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문(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文)」

단행본

이영식, 『가야제국사연구』(생각과종이, 2016)
김태식, 『가야연맹사』(일조각, 1993)
田中俊明, 『大加耶連盟の興亡と任那』(吉川弘文館, 1992)
金廷鶴, 『任那と日本』(小學館, 1977)
末松保和, 『任那興亡史』(,吉川弘文館, 1956)

논문

최연식, 「봉림사진경대사비의 임나 관련 기록에 대한 재검토」(『목간과문자』 26, 한국목간학회, 2021)
백승옥, 「임나가라 종발성과 고대 부산」(『항도부산』 40,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백승충, 「가야의 지역연맹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주석
주1

일본 헤이안 시대 초에 편찬된 씨족의 계보.

주2

육 가야 가운데 지금의 김해 땅에 있었던 나라.

주3

육 가야 가운데 지금의 경상북도 고령 지방에 있던 부족 국가.

주4

글자는 다르나 음(音)은 서로 같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한상(대전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