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오환이 흉노에 복속하였으나 곽거병(霍去病)이 흉노를 격파하여 오환이 새외(塞外)를 옮기고 한나라를 알현함

  • 국가
    오환(烏桓)
오환은 [흉노의] 묵특 [선우]에게 파망(破亡)한 후주 001
각주 001)
원문은 “烏桓自爲冒頓所破”인데, 『三國志』에서는 “自其先匈奴所破之後”라고 하였다.
닫기
무리가 드디어 고립되어 약해졌기 때문에주 002
각주 002)
원문은 “眾遂孤弱”인데, 『三國志』에서는 “人衆孤弱”이라고 하였다.
닫기
늘 흉노에 신하로서 복속[臣服]하였다.주 003
각주 003)
원문은 “常臣伏匈奴”인데, 『三國志』에서는 “爲匈奴臣服”이라고 하였다.
닫기
[오환 사람들은] 해마다 소·말·양의 가죽을 바쳤는데,주 004
각주 004)
원문은 “歲輸牛馬羊皮”인데, 『三國志』에서는 “常歲輸牛·馬·羊”이라고 하였다. 이외에도 『漢書』「匈奴傳」에 따르면 前漢 말기에 匈奴가 烏桓에게 皮布稅를 강제로 징수한 예도 있다(金浩東, 1993: 136).
닫기
[바쳐야 할] 날짜를 넘겨 [물자를] 바치지 못하면 [흉노 사람들은] 오환 사람들의 처자를 빼앗아서 [노비로 삼았]다.주 005
각주 005)
원문은 “輒沒其妻子”인데, 『三國志』에서는 ‘沒’字 대신 ‘虜’字를 사용하였다.
닫기

[전한(前漢)의] 무제(武帝) 주 006
각주 006)
武帝(전156~전87; 재위 전141~전87): 이름은 徹이며, 景帝의 아들이다. 膠東王에 봉해졌다가 7세에 皇太子가 되었다. 景帝 後元 3년(전141)에 즉위하였다. 중앙집권정책을 실시하여 主父偃의 건의대로 推恩令을 실시하여 諸侯王의 子弟를 列侯로 삼았고, 諸侯王國을 분할하여 侯國으로 삼았다. 左官律을 제정하고 附益之法을 만들어 諸侯王이 租稅만을 수취하고 政事에 관여하지 못하게 하였다. 元鼎 5년(전112)에 酎金令을 실시하여 列侯가 바친 金의 성분이 부족하면 列侯의 작위를 박탈하였다. 이 밖에 內朝의 건설, 13部刺史를 설치하여 郡國의 통제를 강화하였다. 元朔 2년(전127)부터 元狩 4년(전119)까지 衛靑·霍去病을 파견하여 匈奴를 정벌하였고, 閩越·西南夷·朝鮮을 멸망시켜 영토를 확장하였다. 정식 察擧제도를 만들어 孝廉·秀才·賢良方正을 천거하게 하였고, 五經博士를 두고 博士弟子員을 두어 長安에 太學을 설치하였다. 말년에 匈奴의 전쟁에서 패하고 농민봉기가 자주 발생했다. 이에 征和 4년(전89) 輪臺의 屯田을 罷하라는 조서를 내려 租稅 징수를 경감하고 農桑에 힘쓸 것임을 천명하였다. 임종 전에 8세인 劉弗陵을 太子로 삼아 霍光 등에게 輔政하도록 遺詔를 내렸다. 廟號는 世宗이다.
닫기
가 표기장군(驃騎將軍)주 007
각주 007)
驃騎將軍: 前漢 武帝시기 처음으로 설치되었으며, 霍去病의 전공을 포상하기 위해 주어진 명칭이었고, 지위는 三公에 해당하였으며 官秩은 大將軍과 같았다. 後漢時代에는 驃騎大將軍을 두었는데, 지위는 三公의 아래에 두었다. 後漢 明帝는 東平王 劉蒼을 驃騎將軍으로 삼았는데, 劉蒼은 王이었기 때문에 지위가 三公 위에 있었다. 이후 한 차례 廢置되었다.
닫기
곽거병(霍去病) 주 008
각주 008)
霍去病(?~전117): 後漢 河東郡 平陽縣(현재 山西省 臨汾縣 서남) 사람이며, 武帝 衛皇后의 조카이다. 처음에 侍中이 되었고 驃姚校尉가 되어 大將軍 衛靑을 따라 匈奴를 공격하여 공을 세워 冠軍侯에 봉해졌다. 그후 수차례 匈奴를 공격하여 공을 세웠다. 元狩 2년(전121)에 驃騎將軍이 되어 隴西에서 焉支山을 지나 匈奴 休屠王의 祭天金人을 노획하였다. 같은 해 다시 北地郡에서 출발하여 居延을 지나 공격하니 渾邪王이 무리를 이끌고 항복하였다. 元狩 4년(전119)에 代郡을 출발하여 漠北까지 갔다가 돌아왔다. 공이 높아 大司馬에 加해졌으며, 秩祿은 大將軍 衛靑보다 많았다. 武帝의 총애를 얻었다. 諡號는 景桓侯이다.
닫기
을 보내 흉노의 동쪽 지역[左地]주 009
각주 009)
匈奴 左地: 匈奴는 제국을 左右로 양분하고 左地를 上谷郡 동쪽의 땅을 左賢王·左谷蠡王 등 ‘左’字가 붙은 관리들에게 위임하였다. 右地는 匈奴의 서방으로 上郡 서쪽의 지역이며, ‘右’字가 붙은 관리들이 통치하였다(사와다, 2007: 154).
닫기
을 공격하여 [흉노의 군대를] 격파하였는데, 이때 [이전에 흉노에 복속했던] 오환을 상곡[군](上谷郡) 주 010
각주 010)
上谷郡: 戰國時代 燕이 설치하였다. 秦代에는 治所가 沮陽縣(지금의 河北省 懷來縣 동남 20리 떨어진 廳水庫 남안에 있는 古城)에 있었다. 관할구역은 지금의 河北省 張家口市, 小五臺山 이동, 赤城縣, 北京市 延慶縣 이서, 內長城과 昌平縣 이북의 지역이었다.
닫기
어양[군](漁陽郡),주 011
각주 011)
漁陽郡: 戰國時代의 燕이 설치하였다. 秦漢時代에는 漁陽縣(현재 北京市 密雲縣 서남)이 治所였다. 前漢時代의 관할구역은 현재 河北省 灤河 상류 以南과 薊運河 以西, 天津市 海河 以北, 北京市 懷柔·通縣 以東의 지역에 해당하였다. 西晉時代 廢置되어 燕國에 병합되었다.
닫기
우북평[군](右北平郡),주 012
각주 012)
右北平郡: 戰國時代 燕이 설치하였다. 秦代의 治所는 無終縣(지금 天津市 薊縣)이었다. 前漢시대 治所를 平剛縣(지금 遼寧省 凌源市 서남)으로 옮겼다. 관할구역은 현재의 河北省 承德, 天津市 薊縣 이동(長成 남부 灤河 유역과 그 이동은 제외), 六股河 이남지역이다. 後漢시대에는 治所를 土峎縣(지금의 河北省 豊潤縣 동남)으로 옮겼다. 후에 점차 영역이 축소되어 長城 이남으로 경계가 바뀌었다.
닫기
요서[군](遼西郡),주 013
각주 013)
遼西郡: 戰國 燕의 장수 秦開가 東胡를 격파한 후 설치되었다. 遼水의 서쪽에 위치하여 명명되었다. 秦漢時代의 治所는 陽樂縣(현재 遼寧省 義縣 서쪽)에 있었다. 관할구역은 현재의 河北省 遷西·樂亭 등 縣 동쪽과 長城 以南, 遼寧省 松嶺山 以東, 大凌河 以西의 지역에 해당된다.
닫기
요동[군](遼東郡) 등 5군(郡)의 새외(塞外)로 옮기고, 한(漢)나라를 위해 흉노의 동정을 정탐하도록 하였다.주 014
각주 014)
『史記』와 『漢書』「匈奴傳」에는 번역문의 내용과 비슷한 구절이 없다. 다만 元狩 4년(전119)에 大將軍 衛靑과 驃騎將軍 霍去病이 각각 5萬 騎를 이끌고 定襄과 代를 출격하여 匈奴를 공격하였다. 이때 霍去病이 左王(左賢王 혹은 左谷蠡王로 추정됨)과 싸웠고, 漢兵이 虜 7萬餘 人을 얻었다(『漢書』卷94上 「匈奴傳」: 3770, “驃騎之出代二千餘里, 與左王接戰, 漢兵得胡首虜凡七萬餘人, 左王將皆遁走, 驃騎封於狼居胥山, 禪姑衍, 臨翰海而還.”). 원문과 번역문에 霍去病이 匈奴의 左地를 공격했다는 내용과 『漢書』「匈奴傳」에서 霍去病이 左王과 싸웠다는 기록이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기록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 霍去病의 군대가 생포한 虜 7만여 인 가운데 오환인들이 있었을 것이다.
닫기
오환의 대인은 해마다 한 차례 입조(入朝)하여 [한나라 황제를] 알현하였다. 이때 처음으로 호오환교위(護烏桓校尉)주 015
각주 015)
護烏桓校尉: 前漢 武帝시기에 처음 설치하였다. 烏桓을 관리하는 군사조직의 장관이며, 秩은 比二千石이었다. 護烏桓校尉 아래에는 長史·司馬 등의 속관이 있었다. 後漢時代에는 鮮卑를 아울러 관장하였다. 魏晉時代에도 여전히 설치되었다. 治所는 廣寧(현재 河北省 張家口市)이었다.
닫기
를 설치하였는데, 질(秩)은 이천석(二千石)주 016
각주 016)
본문과는 달리 『續漢書』 「百官志」에는 護烏桓校尉의 秩이 比二千石이라고 기록하였다(『續漢書』 「百官志」 五 〈烏桓校尉條〉: 3626, “護烏桓校尉一人, 比二千石.”).
닫기
이었고, 부절(符節)주 017
각주 017)
符節: ‘符’는 符信, ‘節’은 節符이다.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조정에서 명령을 전달하거나 군대를 징발할 때 사용하는 물건으로 金·銅·玉·木으로 만들고 두 개로 나누며 朝廷과 節을 지닌 자가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다가 두 개를 합쳐 보아 맞으면 효력이 발생하였다. 둘째, 使者가 지닌 일종의 통행증도 符節이라고 하였다. 대나무를 두 개로 쪼개 使者와 京師에서 하나씩 가지고 이를 합쳐 보아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신빙성을 입증하였다. 이 제도는 先秦時代에 시작하여 역대 왕조에서 계속 사용하였다. 周代에는 門關用 符節, 貨賂用 璽節, 道路用 旌節 등이 있었다. 셋째, 조정과 외국의 왕래를 보증하는 증빙서류이다. 양쪽이 이를 신표로 삼아 符節의 오른쪽 절반은 朝廷에 남기고 왼쪽의 반은 外官에게 주었다. 朝廷에 일이 생기면 사자를 보내 부절의 절반을 지니고 가면 外官은 다시 부절의 절반을 꺼내 맞춰 본 후 진위를 판별하였다.
닫기
을 지니고 오환의 무리를 감독하고 거느렸으며 [오환이] 흉노와 왕래하지[交通] 못하도록 하였다.주 018
각주 018)
『三國志』에는 번역문의 “[전야의] 무제가 …(중략)… 못하도록 하였다”에 해당하는 구절이나 내용이 없다.
닫기


  • 각주 001)
    원문은 “烏桓自爲冒頓所破”인데, 『三國志』에서는 “自其先匈奴所破之後”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은 “眾遂孤弱”인데, 『三國志』에서는 “人衆孤弱”이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은 “常臣伏匈奴”인데, 『三國志』에서는 “爲匈奴臣服”이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은 “歲輸牛馬羊皮”인데, 『三國志』에서는 “常歲輸牛·馬·羊”이라고 하였다. 이외에도 『漢書』「匈奴傳」에 따르면 前漢 말기에 匈奴가 烏桓에게 皮布稅를 강제로 징수한 예도 있다(金浩東, 1993: 136).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은 “輒沒其妻子”인데, 『三國志』에서는 ‘沒’字 대신 ‘虜’字를 사용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6)
    武帝(전156~전87; 재위 전141~전87): 이름은 徹이며, 景帝의 아들이다. 膠東王에 봉해졌다가 7세에 皇太子가 되었다. 景帝 後元 3년(전141)에 즉위하였다. 중앙집권정책을 실시하여 主父偃의 건의대로 推恩令을 실시하여 諸侯王의 子弟를 列侯로 삼았고, 諸侯王國을 분할하여 侯國으로 삼았다. 左官律을 제정하고 附益之法을 만들어 諸侯王이 租稅만을 수취하고 政事에 관여하지 못하게 하였다. 元鼎 5년(전112)에 酎金令을 실시하여 列侯가 바친 金의 성분이 부족하면 列侯의 작위를 박탈하였다. 이 밖에 內朝의 건설, 13部刺史를 설치하여 郡國의 통제를 강화하였다. 元朔 2년(전127)부터 元狩 4년(전119)까지 衛靑·霍去病을 파견하여 匈奴를 정벌하였고, 閩越·西南夷·朝鮮을 멸망시켜 영토를 확장하였다. 정식 察擧제도를 만들어 孝廉·秀才·賢良方正을 천거하게 하였고, 五經博士를 두고 博士弟子員을 두어 長安에 太學을 설치하였다. 말년에 匈奴의 전쟁에서 패하고 농민봉기가 자주 발생했다. 이에 征和 4년(전89) 輪臺의 屯田을 罷하라는 조서를 내려 租稅 징수를 경감하고 農桑에 힘쓸 것임을 천명하였다. 임종 전에 8세인 劉弗陵을 太子로 삼아 霍光 등에게 輔政하도록 遺詔를 내렸다. 廟號는 世宗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7)
    驃騎將軍: 前漢 武帝시기 처음으로 설치되었으며, 霍去病의 전공을 포상하기 위해 주어진 명칭이었고, 지위는 三公에 해당하였으며 官秩은 大將軍과 같았다. 後漢時代에는 驃騎大將軍을 두었는데, 지위는 三公의 아래에 두었다. 後漢 明帝는 東平王 劉蒼을 驃騎將軍으로 삼았는데, 劉蒼은 王이었기 때문에 지위가 三公 위에 있었다. 이후 한 차례 廢置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霍去病(?~전117): 後漢 河東郡 平陽縣(현재 山西省 臨汾縣 서남) 사람이며, 武帝 衛皇后의 조카이다. 처음에 侍中이 되었고 驃姚校尉가 되어 大將軍 衛靑을 따라 匈奴를 공격하여 공을 세워 冠軍侯에 봉해졌다. 그후 수차례 匈奴를 공격하여 공을 세웠다. 元狩 2년(전121)에 驃騎將軍이 되어 隴西에서 焉支山을 지나 匈奴 休屠王의 祭天金人을 노획하였다. 같은 해 다시 北地郡에서 출발하여 居延을 지나 공격하니 渾邪王이 무리를 이끌고 항복하였다. 元狩 4년(전119)에 代郡을 출발하여 漠北까지 갔다가 돌아왔다. 공이 높아 大司馬에 加해졌으며, 秩祿은 大將軍 衛靑보다 많았다. 武帝의 총애를 얻었다. 諡號는 景桓侯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9)
    匈奴 左地: 匈奴는 제국을 左右로 양분하고 左地를 上谷郡 동쪽의 땅을 左賢王·左谷蠡王 등 ‘左’字가 붙은 관리들에게 위임하였다. 右地는 匈奴의 서방으로 上郡 서쪽의 지역이며, ‘右’字가 붙은 관리들이 통치하였다(사와다, 2007: 154).
     바로가기
  • 각주 010)
    上谷郡: 戰國時代 燕이 설치하였다. 秦代에는 治所가 沮陽縣(지금의 河北省 懷來縣 동남 20리 떨어진 廳水庫 남안에 있는 古城)에 있었다. 관할구역은 지금의 河北省 張家口市, 小五臺山 이동, 赤城縣, 北京市 延慶縣 이서, 內長城과 昌平縣 이북의 지역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漁陽郡: 戰國時代의 燕이 설치하였다. 秦漢時代에는 漁陽縣(현재 北京市 密雲縣 서남)이 治所였다. 前漢時代의 관할구역은 현재 河北省 灤河 상류 以南과 薊運河 以西, 天津市 海河 以北, 北京市 懷柔·通縣 以東의 지역에 해당하였다. 西晉時代 廢置되어 燕國에 병합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右北平郡: 戰國時代 燕이 설치하였다. 秦代의 治所는 無終縣(지금 天津市 薊縣)이었다. 前漢시대 治所를 平剛縣(지금 遼寧省 凌源市 서남)으로 옮겼다. 관할구역은 현재의 河北省 承德, 天津市 薊縣 이동(長成 남부 灤河 유역과 그 이동은 제외), 六股河 이남지역이다. 後漢시대에는 治所를 土峎縣(지금의 河北省 豊潤縣 동남)으로 옮겼다. 후에 점차 영역이 축소되어 長城 이남으로 경계가 바뀌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3)
    遼西郡: 戰國 燕의 장수 秦開가 東胡를 격파한 후 설치되었다. 遼水의 서쪽에 위치하여 명명되었다. 秦漢時代의 治所는 陽樂縣(현재 遼寧省 義縣 서쪽)에 있었다. 관할구역은 현재의 河北省 遷西·樂亭 등 縣 동쪽과 長城 以南, 遼寧省 松嶺山 以東, 大凌河 以西의 지역에 해당된다.
     바로가기
  • 각주 014)
    『史記』와 『漢書』「匈奴傳」에는 번역문의 내용과 비슷한 구절이 없다. 다만 元狩 4년(전119)에 大將軍 衛靑과 驃騎將軍 霍去病이 각각 5萬 騎를 이끌고 定襄과 代를 출격하여 匈奴를 공격하였다. 이때 霍去病이 左王(左賢王 혹은 左谷蠡王로 추정됨)과 싸웠고, 漢兵이 虜 7萬餘 人을 얻었다(『漢書』卷94上 「匈奴傳」: 3770, “驃騎之出代二千餘里, 與左王接戰, 漢兵得胡首虜凡七萬餘人, 左王將皆遁走, 驃騎封於狼居胥山, 禪姑衍, 臨翰海而還.”). 원문과 번역문에 霍去病이 匈奴의 左地를 공격했다는 내용과 『漢書』「匈奴傳」에서 霍去病이 左王과 싸웠다는 기록이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기록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 霍去病의 군대가 생포한 虜 7만여 인 가운데 오환인들이 있었을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5)
    護烏桓校尉: 前漢 武帝시기에 처음 설치하였다. 烏桓을 관리하는 군사조직의 장관이며, 秩은 比二千石이었다. 護烏桓校尉 아래에는 長史·司馬 등의 속관이 있었다. 後漢時代에는 鮮卑를 아울러 관장하였다. 魏晉時代에도 여전히 설치되었다. 治所는 廣寧(현재 河北省 張家口市)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6)
    본문과는 달리 『續漢書』 「百官志」에는 護烏桓校尉의 秩이 比二千石이라고 기록하였다(『續漢書』 「百官志」 五 〈烏桓校尉條〉: 3626, “護烏桓校尉一人, 比二千石.”).
     바로가기
  • 각주 017)
    符節: ‘符’는 符信, ‘節’은 節符이다.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조정에서 명령을 전달하거나 군대를 징발할 때 사용하는 물건으로 金·銅·玉·木으로 만들고 두 개로 나누며 朝廷과 節을 지닌 자가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다가 두 개를 합쳐 보아 맞으면 효력이 발생하였다. 둘째, 使者가 지닌 일종의 통행증도 符節이라고 하였다. 대나무를 두 개로 쪼개 使者와 京師에서 하나씩 가지고 이를 합쳐 보아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신빙성을 입증하였다. 이 제도는 先秦時代에 시작하여 역대 왕조에서 계속 사용하였다. 周代에는 門關用 符節, 貨賂用 璽節, 道路用 旌節 등이 있었다. 셋째, 조정과 외국의 왕래를 보증하는 증빙서류이다. 양쪽이 이를 신표로 삼아 符節의 오른쪽 절반은 朝廷에 남기고 왼쪽의 반은 外官에게 주었다. 朝廷에 일이 생기면 사자를 보내 부절의 절반을 지니고 가면 外官은 다시 부절의 절반을 꺼내 맞춰 본 후 진위를 판별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8)
    『三國志』에는 번역문의 “[전야의] 무제가 …(중략)… 못하도록 하였다”에 해당하는 구절이나 내용이 없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묵특 [선우], 무제(武帝), 곽거병(霍去病)
지명
전한(前漢), 상곡[군](上谷郡), 어양[군](漁陽郡), 우북평[군](右北平郡), 요서[군](遼西郡), 요동[군](遼東郡), 한(漢)나라,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오환이 흉노에 복속하였으나 곽거병(霍去病)이 흉노를 격파하여 오환이 새외(塞外)를 옮기고 한나라를 알현함 자료번호 : jo.k_0003_0120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