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백제에게 임나에서 백제의 군령과 성주를 내보낼 것을 명함

겨울 11월 정해삭 갑오(8일)에 진수련(津守連;츠모리노무라지)주 001
번역주 001)
『日本書紀』 흠명천황 5년 2월조에 인용된 『백제본기』에는 津守連己麻奴跪로 나온다. 『백제본기』를 통해서 己麻奴跪라는 이름이었음을 알 수 있는데, ‘奴’와 ‘跪’자는 백제계 사료에 주로 보인다. 津守連氏는 攝津지역의 씨족으로 천무천황 13년(684) 12월에 宿禰姓으로 개성되었다.
닫기
을 보내 “임나의 하한에 있는 백제의 군령(郡令), 성주(城主)주 002
번역주 002)
郡令과 城主는 각각 郡과 城의 장관을 일컫는다. 백제는 지방을 5개의 方으로 나누었으며, 方 아래는 郡을 두었고, 郡 아래는 城이 있었다. 『翰苑』 蕃夷部 百濟條에 보이는 方領 아래의 軍將과 道使를 가리킨다. 여기서 郡令은 일본 율령제하에서 사용된 직명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닫기
를 일본부에 귀속시켜라.”라고 백제에 명령하였다. 아울러 조서를 가지고 가게 하여 “그대는 누차 표를 올려 마땅히 임나를 세워야 한다고 말한 지 10여 년이 되었다. 말은 그렇게 했지만 아직도 이루지 못하였다. 임나는 그대 나라의 동량(棟梁)이다. 만일 동량이 부러지면 어떻게 집을 지을 것인가. 짐이 걱정하는 바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대는 빨리 세우라. 그대가 만일 속히 임나를 세우면 하내직 등[하내직은 이미 윗글에 나와 있다.]은 자연히 물러날 것이다. 어찌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말하였다. 이 날에 성명왕이 칙(勅)을 다 듣고 삼좌평(三佐平)과 내두(內頭)주 003
번역주 003)
三佐平은 상좌평, 중좌평, 하좌평을 일컫는다. 內頭와 관련하여 『삼국사기』에서는 6좌평제 가운데 內頭佐平이 보인다. 만약 백제의 좌평제가 3좌평제에서 6좌평제로 바뀌었다고 한다면, 543년(흠명 4, 성왕 21) 단계에는 아직 백제가 3좌평제 체제로 국정이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닫기
및 여러 신하에게 차례로 “조칙이 이와 같다. 이것을 어떻게 하면 좋은가.”라고 물었다. 이에 세 좌평이 “하한에 있는 우리 군령, 성주 등을 내보내면 안 됩니다. 나라를 세우는 일에 대해서는 빨리 조칙[聖勅]을 들어야 합니다.”라고 답하였다.

  • 번역주 001)
    『日本書紀』 흠명천황 5년 2월조에 인용된 『백제본기』에는 津守連己麻奴跪로 나온다. 『백제본기』를 통해서 己麻奴跪라는 이름이었음을 알 수 있는데, ‘奴’와 ‘跪’자는 백제계 사료에 주로 보인다. 津守連氏는 攝津지역의 씨족으로 천무천황 13년(684) 12월에 宿禰姓으로 개성되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郡令과 城主는 각각 郡과 城의 장관을 일컫는다. 백제는 지방을 5개의 方으로 나누었으며, 方 아래는 郡을 두었고, 郡 아래는 城이 있었다. 『翰苑』 蕃夷部 百濟條에 보이는 方領 아래의 軍將과 道使를 가리킨다. 여기서 郡令은 일본 율령제하에서 사용된 직명으로 추정하기도 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三佐平은 상좌평, 중좌평, 하좌평을 일컫는다. 內頭와 관련하여 『삼국사기』에서는 6좌평제 가운데 內頭佐平이 보인다. 만약 백제의 좌평제가 3좌평제에서 6좌평제로 바뀌었다고 한다면, 543년(흠명 4, 성왕 21) 단계에는 아직 백제가 3좌평제 체제로 국정이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진수련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백제에게 임나에서 백제의 군령과 성주를 내보낼 것을 명함 자료번호 : ns.k_0032_005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