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조선향토대백과 유물유적정보관 : 유적

어을동토성

[ 於乙洞土城 ]

분류 유물유적정보관>유적>성곽 · 봉수>성터
유물유적시대 청동기
행정구역 평안남도>온천군
등급 준국보급(보존급)
지정번호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87호

평안남도 온천군 성현리에 있는 옛 성터. 약 기원전 2세기 고조선시대의 토성이다. 어을동토성은 오석산과 신덕산의 줄기가 뻗어 내린 야산들이 멀리 둘러선 온천벌의 좀 높직한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다. 때문에 이곳에서는 무연히 펼쳐진 주변일대를 한눈에 다 둘러 볼 수 있다. 성의 크기는 둘레가 1.5km인데, 그 중 내성은 동서 170m, 남북 120m이고 외성은 동서 약 450m, 남북 약 300m이다. 성벽은 오랜 세월에 걸쳐 전반적으로 낮아졌는데, 현재 남아 있는 북쪽 성벽의 높이는 2.5~3m 정도 된다.

토성 주변에는 고조선시대의 무덤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토성 안에서는 길이 10.4m, 너비 6.8m 되는 관청터를 비롯한 여러 채의 건물터와 기와, 벽돌 혹은 돌을 깐 시설물들이 발굴되었으며 여러 가지 질그릇들과 세형동검자루맞추개가 나왔다. 질그릇 가운데 세형동검 관계무덤들에서 짝을 이루어 나타나는 화분형단지와 배부른 단지가 적지 않게 있으며 세형동검의 검자루맞추개가 발굴된 사실은 어을동토성이 세형동검시기에 축성된 것임을 명백히 보여준다.

내성의 동쪽 단면에는 기와와 재가 여러 개의 층을 이루고 나타나는데 이것은 성의 오랜 역사의 일단을 보여 준다. 어을동토성은 세형동검시기 고조선후국과 그 이후시기 이 일대에 군림한 정치세력의 한 통치거점이었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관련이미지 3

어을동토성(보존급 제87호) 기와벽돌

어을동토성(보존급 제87호) 기와벽돌

원본보기

출처: 조선향토대백과

1/3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조선향토대백과 이미지
조선향토대백과 2008. http://www.cybernk.net/home/Default.aspx

< 조선향토대백과 > 는 북한 전역의 자연ㆍ인문지리정보를 직할시·도, 시·군 및 동·리 등 행정구역별로 집대성하여 남북교류협력 및 통일이후 국가건설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민족동질성 회복에 기여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정권수립 이후 60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기 때문에 과거의 지도나 자료를 가지고 특정지역을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동안 국내에서 나온 자료들은 8.15해방 전 자료이거나 그 후 간헐적으로 나온 것이 대부분이었고, 지도의 경우도 위성사진을 토대로 제작되었지만 지명의 불일치나 부정확한 구획설정 등으로 대부분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 것이었다. 이 같은 배경에서 평화문제연구소는 지난 1999년 중국 ‘조선민족문화연구소’의 주선으로 북측 사업주체인 ‘과학백과사전출판사’와 수차에 걸쳐 협의한 결과, 본 사업이 남북 화해협력시대에 부응하는 가장 실질적인 사업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공동 편찬키로 합의하였다. 그동안 북한의 자연ㆍ인문 지리정보는 북한의 폐쇄정책으로 인해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취약한 형편이었으나 이번< 조선향토대백과 >의 간행으로 북한지역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 북한연구 및 남북교류협력사업에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