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가 우산성을 공격하자 장군 실죽이 물리치다
(
496년
07월
)
〔18년(496)〕 가을 7월에 고구려가 〔쳐들어〕 와 우산성(牛山城)註 001을 공격하였다. 장군(將軍) 실죽(實竹)註 002이 출격해 이하(泥河)註 003 가에서 그들을 깨뜨렸다.註 004
우산성(牛山城): 위치 미상. 우산성은 신라와 고구려의 교전지(본서 권3 신라본기3 소지이사금 18년(496)조, 19년(497)조; 권19 고구려본기7 문자왕 5년(496)조, 6년(497)조)로뿐만 아니라 백제와 고구려의 교전지로도 나온다(본서 권19 고구려본기7 안원왕 10년(540)조; 권26 백제본기4 성왕 18년(540)조). 같은 자료에 나오는 동일한 지명은 같은 곳으로 간주하는 것이 자연스럽겠지만, 양자를 다른 곳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전자는 기존에 동해안 방면으로 인식되었던 이하(泥河) 가에 있는 것으로 되어 있고, 후자는 고구려와 백제의 경계에서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본서 권37, 잡지6 지리4의 삼국유명미상지분(三國有名未詳地分)에서도 우산성을 두 번 기재했으며, 이에 따라 양자를 다른 성으로 보기도 하였다(장창은, 149~150쪽). 그렇지만 최근의 여러 견해와 같이 이하를 남한강 상류로 볼 수 있다면(본서 권1 신라본기1 지마이사금 14년(125) 정월조 기사의 주석 참조), 우산성을 남한강 상류의 초입에 있으면서 삼국의 접경 지역인 충주 일대에 비정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津田左右吉, 57~59쪽; 박성현, 206~214쪽).
〈참고문헌〉
津田左右吉, 1913, 「好太王征服地域考」, 『朝鮮歷史地理』 一: 1964, 『滿鮮歷史地理硏究 1 -朝鮮歷史地理-』, 岩波書店
장창은, 2008,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 신서원
박성현, 2010,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정계」, 『역사와 현실』 76
〈참고문헌〉
津田左右吉, 1913, 「好太王征服地域考」, 『朝鮮歷史地理』 一: 1964, 『滿鮮歷史地理硏究 1 -朝鮮歷史地理-』, 岩波書店
장창은, 2008,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 신서원
박성현, 2010,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정계」, 『역사와 현실』 76
註) 001
우산성(牛山城): 위치 미상. 우산성은 신라와 고구려의 교전지(본서 권3 신라본기3 소지이사금 18년(496)조, 19년(497)조; 권19 고구려본기7 문자왕 5년(496)조, 6년(497)조)로뿐만 아니라 백제와 고구려의 교전지로도 나온다(본서 권19 고구려본기7 안원왕 10년(540)조; 권26 백제본기4 성왕 18년(540)조). 같은 자료에 나오는 동일한 지명은 같은 곳으로 간주하는 것이 자연스럽겠지만, 양자를 다른 곳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전자는 기존에 동해안 방면으로 인식되었던 이하(泥河) 가에 있는 것으로 되어 있고, 후자는 고구려와 백제의 경계에서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본서 권37, 잡지6 지리4의 삼국유명미상지분(三國有名未詳地分)에서도 우산성을 두 번 기재했으며, 이에 따라 양자를 다른 성으로 보기도 하였다(장창은, 149~150쪽). 그렇지만 최근의 여러 견해와 같이 이하를 남한강 상류로 볼 수 있다면(본서 권1 신라본기1 지마이사금 14년(125) 정월조 기사의 주석 참조), 우산성을 남한강 상류의 초입에 있으면서 삼국의 접경 지역인 충주 일대에 비정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津田左右吉, 57~59쪽; 박성현, 206~214쪽).
〈참고문헌〉
津田左右吉, 1913, 「好太王征服地域考」, 『朝鮮歷史地理』 一: 1964, 『滿鮮歷史地理硏究 1 -朝鮮歷史地理-』, 岩波書店
장창은, 2008,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 신서원
박성현, 2010,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정계」, 『역사와 현실』 76
〈참고문헌〉
津田左右吉, 1913, 「好太王征服地域考」, 『朝鮮歷史地理』 一: 1964, 『滿鮮歷史地理硏究 1 -朝鮮歷史地理-』, 岩波書店
장창은, 2008,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 신서원
박성현, 2010,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정계」, 『역사와 현실』 76
註) 002
주제분류
- 정치>군사>전쟁>전쟁결과
- 정치>군사>전쟁>전투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