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고고학사전

청동기시대 무덤

[ 靑銅器時代 墓 ]

청동기시대가 되면 일정한 구조물로서 내부 매장시설과 외관이 갖추어진 분묘가 축조되기 시작한다. 돌무지무덤(積石塚), 고인돌(支石墓), 돌널무덤(石棺墓), 독널무덤(甕棺墓), 움무덤(土壙墓) 등 여러 가지 무덤이 청동기시대에 등장하여 초기철기시대까지 이어진다. 돌로서 무덤을 쌓아 만드는 방식은 중국 동북편에 거주하던 예맥족(濊貊族)들의 고유한 전통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요동반도 남단에 분포하는 將軍山 돌무지무덤이나 老鐵山 돌무지무덤과 같이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에 속하는 것으로부터, 비파형동검이 출토되는 崗上墓나 樓上墓와 같은 것은 일정 묘역을 돌로 쌓아 조성하면서 여러 개의 매장시설을 포함한 형태까지 축조되어 있다.

본격적인 돌무지무덤은 아니지만 그와 견줄 수 있는 묘제로서 황해북도 지방에서 발견되는 고인돌이 있다. 이른바 침촌리형(沈村里型)고인돌은 돌널(石棺)을 여러 개 배치한 뒤 일정묘역에 냇돌(川石)을 깔아 놓은 형식으로, 큰 덮개돌(蓋石)은 반드시 매장시설 바로 위에 놓이지 않고 군데군데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형이나 타원형의 묘역을 돌로 쌓고 그 안에 덧널을 설치한 무덤은 춘천 천전리 유적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대체로 돌무지무덤은 초기철기시대까지도 지속적으로 축조되는데, 선사시대 돌무지무덤의 분포지역과 고구려지역 및 한강·임진강유역 등 삼국시대 돌무지무덤의 분포지역이 일치하는 것을 보면 그 관련성을 추측할 수 있다.

성숙한 농경사회에 도달한 청동기시대에 가장 현저한 기념물이면서 동시에 족장(집단)의 매장의례를 위해 축조된 것이 고인돌(支石墓)이다. 한반도의 고인돌은 외형적인 특징에 따라 탁자식(北方式), 기반식(南方式), 개석식(無支石式)으로 분류되어 왔다. 지상에 납작한 판돌로 상자모양의 매장시설을 짜고 그 위에 거대한 판돌을 덮은 탁자식이 형식적으로 가장 오래된 것이고 지상의 매장시설이 지하로 들어간 모양을 한 개석식이 그 다음 형식으로 간주된다. 최종적으로 매장시설의 뚜껑돌을 따로 덮고 개석을 다시 지상화시키면서 둥근 돌로 개석을 받쳐놓은 기반식으로 변천한다고 생각된다.

고인돌의 외형적인 구조와는 별개로 매장시설의 배치와 관련된 형식을 따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른바 묘표식(墓標式)과 침촌형(沈村形)의 존재가 그것이다. 침촌형은 일정묘역에 돌무지를 만들고 매장시설을 여러 개 둔 형식으로 돌무지무덤의 축조 방식과 상통하는 점이 있다. 묘표식은 대표적인 예가 대구 대봉동 고인돌과 같은 것인데, 주로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돌널이나 돌덧널로 된 지하매장시설이 여러 개 배치되어 형성된 묘역 가운데에 큰돌을 설치한 형식으로, 큰돌이 특정 매장시설과 관계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묘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대개 북방식인 탁자식은 요동지역과 한반도 서북부에 분포의 중심을 두고 있으며 기반식과 개석식은 한반도 남부에 주로 분포한다. 북방식고인돌로서 은율군 운산리의 것은 뚜껑돌의 크기가 8.5×6m나 되고 높이가 2.2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남방식 중에도 규모가 큰 것이 있는데 큰돌의 무게가 60ton을 넘는 것도 있다.

규모면에서도 그러하거니와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성숙한 농경사회의 지배자 혹은 지배자집단의 무덤으로 축조되었던 것이 분명하다. 특정 고인돌은 규모가 거대하기도 하지만 청동기나 옥이 다른 고인돌에 비해 많이 부장되는 것도 있어서 당시 권력자의 무덤임을 말해 준다. 더욱이 고인돌이란 것이 단순히 무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시 사회의 농경의례, 혹은 조상숭배와 같은 집단의례의 장소였을 가능성을 제기해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중심이 되는 고인돌을 위해 초대형 제단을 마련한 창원 덕천리 1호 고인돌이다. 이 고인돌이 한반도 청동기시대 주묘제 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지만 축조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말하기 어렵다. 다만 청동기시대 토기편년이나 요동지역의 연대측정자료에 의거하여 상한연대는 B.C. 9~8세기를 넘지 못할 것이고 소멸시기는 세형동검 출현시기와 근접할 것이므로 B.C. 3세기 이후까지 축조된 지역도 있을 것이다.

돌널무덤(石棺墓)은 돌상자무덤, 즉 석상묘(石箱墓)라고도 하여 청동기시대에 멀리 시베리아 지역으로부터 내몽고와 요령, 길림지방을 거쳐 황해도 지방의 대아리, 선암리 유적, 충청남도 부여 송국리 유적 등 한반도 서부지역으로 넓게 분포하는 묘제이다. 돌널무덤에서는 주로 비파형동검 단계에 속하는 청동유물들이 붉은간토기(紅陶)를 비롯하여 돌검, 돌화살촉 및 대롱옥 등과 함께 껴묻거리로 나오기 때문에 고인돌 축조시기에 해당하는 또 다른 지배자집단의 무덤형식임은 분명하다. 또한 돌널이라는 구조 자체만으로 본다면 고인돌의 하부구조와 서로 통하는 점이 있어서 청동기시대 두 묘제가 병행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검토할 여지가 있다.

돌널무덤은 원래 긴 판돌 하나를 매장시설의 한 벽으로 삼아 조립하지만 송국리의 돌널과 같이 여러 매를 세워서 조립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비해 돌덧널무덤(石槨墓)은 무덤구덩이에 판돌(板石)이 아니라 깬돌(割石)을 쌓아 덧널을 만든 것이다. 황해도 신계군 정봉리, 충남 아산군 남성리, 대전 괴정동 등에서 발견된 돌덧널무덤은 내부에 나무널이 있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돌덧널로 분류되는 것이 보통이고 무덤구덩이 안에 돌무지를 쌓은 예도 있다. 요서지방에서는 비파형동검시기부터 이러한 돌덧널무덤이 보이고 요동지역과 한반도지역에서는 세형동검이 나오는 시기에 이러한 무덤이 축조된다. 그리고 이후 움무덤이나 돌돌린움무덤과 관련성이 있는 듯하고 원삼국시대 초기의 전형적인 널무덤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古朝鮮地域의 고인돌 硏究(河文植, 白山資料院, 1998년)
  • 全南地方 支石墓의 性格(李榮文, 韓國考古學報 20, 韓國考古學會, 1987년)
  • 韓國考古學槪說 -第三版-(金元龍, 一志社, 1986년)

출처

제공처 정보

한국 고고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면서도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한 용어에 대한 정의와 함께 그간 우리나라에서 발굴조사된 중요 유적들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수록한 『한국고고학사전』. 우리나라 고고학을 총괄하는 고고학일반편과 주요 시대를 망라한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고구려 및 발해 시대, 백제시대, 신라시대 등 7개편의 총 8개 분야로 구분하여 1,650여 항목의 원고를 작성하고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도면과 도판을 수록했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