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羅王과 百濟王을 소집하였으나 使臣을 보냄. 新羅가 4개 촌을 공략
이 달 사신을 보내어 己能末多干岐를 보냈다. 아울러 임나에 있는 近江毛野臣에게 명령하여 “아뢴 바를 알아보고 서로 의심하는 것을 화해시키라”고 하였다. 이에 毛野臣은 熊川
註 001에 머물면서어떤 책에는 任那의 久斯牟羅註 002에 머물렀다고 한다 신라와 백제 두 나라의 왕을 불러 모았다. 신라왕 佐利遲
註 003는 久遲布禮
註 004를 보내었고어떤 책에는 久禮爾師知于奈師磨里라 하였다 백제는 恩率
彌騰利
註 005를 보내어 毛野臣이 있는 곳에 가서 모이게 하고 두 왕은 참석하러 오지 않았다. 毛野臣이 매우 화를 내며 두 나라 사신을 꾸짖기를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기는 것은 하늘의 道이다어떤 책에는 큰 나무의 끝은 큰 나무로 잇고 작은 나무의 끝은 작은 나무로 잇는다고 하였다. 무엇 때문에 두 나라의 왕이 몸소 와서 천황의 명령을 받지 않고 가벼이 사신을 보내는가. 이제 비록 너희 왕이 스스로 와서 명령을 받겠다 하더라도 나는 칙을 선포하지 않고 반드시 쫓아가서 물리칠 것이다”라 하였다. 久遲布禮와 恩率 彌縢利가 마음속으로 두려워 각각 돌아가서 왕을 부른다고 하였다. 이에 신라는 그 上臣註 006
伊叱夫禮智干岐註 007로 바꾸어 보냈는데신라에서는 大臣을 上臣이라 하는데 어떤 책에는 伊叱夫禮智奈末이라 하였다 군사 3천 명을 거느리고 와서 칙을 듣기를 청했다. 毛野臣이 멀리 병사들이 둘러싸고 있고 무리가 수천 명인 것을 보고, 熊川으로부터 任那의 己叱己利城
註 008으로 들어갔다. 伊叱夫禮智干岐는 多多羅原
註 009에 머물며 공경하여 돌아가지 않고 세 달을 기다리며 칙을 들으려고 자주 청했으나 끝내 선포하려고 하지 않았다. 伊叱夫禮智가 거느린 士卒들이 마을에서 걸식하고 있었는데 毛野臣의 從者 河內馬飼首御狩와 마주쳤다. 御狩는 다른 문으로 들어가 숨어서 걸식하는 자가 지나가기를 기다렸다가 주먹으로 쳤다. 걸식자가 보고 “삼가 세 달을 기다리며 勅旨를 듣고자 했으나 아직도 선포하려고 하지 않고 칙을 들으려는 사신을 괴롭히는 것은 곧 속여서 上臣을 죽이고자 함임을 알겠다”라 하였다. 이에 所見을 모두 上臣에게 아뢰었더니 上臣은 4개의 村金官·背伐·安多·委陀가 4개 촌이다. 어떤 책에는 多多羅·須那羅·和多·費智를 4개 촌이라 하였다註 010을 노략질하여 빼앗고 사람과 물건을 다 가지고 본국에 들어갔다. 어떤 사람이 “多多羅 등의 4개 촌을 노략질하게 한 것은 毛野臣의 잘못이다”라 하였다.
단순히 大臣을 뜻하는 것이라고 하나 구체적으로 어느 관등 또는 관직을 지칭하는지 알 수 없다. 이와 비슷한 표기법으로 생각되는 것으로는 『三國遺事』 권 1, 紀異 元聖大王조에 金敬信을 二宰, 金周元을 上宰라고 한 것이 있으며, 「聖德大王神鐘銘」에 金邕을 上相 大角干이라 한 예가 있다. 특히 上相은 上大等, 侍中 등의 上位에 있는 最高執政官이 아닐까 추측하는 견해가 있다.
註) 002
註) 003
註) 006
단순히 大臣을 뜻하는 것이라고 하나 구체적으로 어느 관등 또는 관직을 지칭하는지 알 수 없다. 이와 비슷한 표기법으로 생각되는 것으로는 『三國遺事』 권 1, 紀異 元聖大王조에 金敬信을 二宰, 金周元을 上宰라고 한 것이 있으며, 「聖德大王神鐘銘」에 金邕을 上相 大角干이라 한 예가 있다. 특히 上相은 上大等, 侍中 등의 上位에 있는 最高執政官이 아닐까 추측하는 견해가 있다.
국가명
- 가야(加耶)
- 신라(新羅)
- 백제(百濟)
주제분류
- 정치>외교>사신>파견·영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