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도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지명
고려 성종 때 설치한 십도(十道)의 하나로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지명/고지명
제정 시기
995년(성종 14)
폐지 시기
1018년(현종 9)
지역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대
내용 요약

강남도는 고려 성종 때 설치한 십도(十道)의 하나로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다. 신라의 9주(州) 중에서 전주(全州)의 영역을 토대로 편성되었다. 관내에 43개 현(縣)을 두고 이를 9개의 주로 편제하였다. 1018년(현종 9), 지방제도 개편으로 계수관(界首官)이 설치되면서 대체로 전주목(全州牧) 관할이 되었다.

정의
고려 성종 때 설치한 십도(十道)의 하나로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위치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에 해당하며, 신라 구주(九州)의 하나인 전주(全州)를 토대로 일부 영역을 조정한 것이다.

형성 및 변천

995년(성종 14)에 당(唐)나라 태종 때의 지방제도인 십도(十道)를 본떠 편성한 도의 하나이다. 당나라의 강남도(江南道)는 양쯔강 남쪽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이며, 현재의 저장성[浙江省], 푸젠성[福建省], 장시성[江西省], 후난성[湖南省] 지역에 걸쳐 있다. 고려의 강남도는 명칭을 차용한 것일 뿐이며, 지리적 조건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

강남도는 관내에 43현(縣)을 두었고, 이를 9개의 주(州)로 편제하였다. 여기에는 전주와 영주(瀛州), 순주(淳州), 마주(馬州) 등이 있었다. 영주는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해당하는 지역이고, 순주는 전북특별자치도 순창, 마주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소속 관원으로는 절도사(節度使)가 전주에 1곳, 관찰사(觀察使)가 영주에 1곳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며, 순주와 마주에는 자사(刺史)가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1018년(현종 9) 지방제도 개편으로 계수관(界首官)이 설치되면서 대체로 전주목(全州牧) 관할이 되었다.

의의 및 평가

기록에서 ‘강남도’라는 명칭이 사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강남(江南)’은 일반적으로 남부 지방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경우의 ‘강’은 보통 한강을 가리킨다.

1016년(현종 7) 강남에 주1이 들자 관내 창고의 곡식을 옮겨 주2한 기사가 있는데, 여기에 보이는 강남과 관내는 강남도와 관내도(關內道)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한강 이남과 이북을 나누어 칭한 것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하현강, 『한국중세사연구』(일조각, 1988)

논문

윤경진, 「고려초기 10도제의 시행과 운영체계」(『진단학보』 101, 진단학회, 2006)
홍연진, 「고려전기 도제의 성립과 그 성격」(『역사와 세계』 17, 효원사학회, 1993)
하현강, 「고려 지방제도의 일연구(상): 도제를 중심으로」(『사학연구』 13, 한국사학회, 1962)
주석
주1

흉년으로 먹을 양식이 모자라 굶주림.    우리말샘

주2

흉년을 당하여 가난한 백성을 도와줌.    우리말샘

집필자
윤경진(경상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