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성군
혜성군(槥城郡)註 048은 본래 백제(百濟)의 혜군(槥郡)註 049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도 그대로 쓴다. 거느리는 현[領縣]은 3개이다.
혜성군(槥城郡):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1996, 『삼국사기』 하, 을유문화사, 241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군이 되었으며,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 19년(1293)에 지면주사(知沔州事)로 승격되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혜성군). 조선 태종 13년에 면천군(沔川郡)으로 고쳤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19 충청도 면천군). 이곳에는 백제부흥운동 당시 혜군(槥郡)의 치소로 쓰였던 몽산성(蒙山城)이 있다.
당진현(唐津縣)註 050은 본래 백제(百濟)의 벌수지현(伐首只縣)註 051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도 그대로 쓴다.
당진현(唐津縣):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1996, 『삼국사기』 하, 을유문화사, 241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으며, 예종 원년(1106)에 감무(監務)를 두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당진현). 조선 태종 13년에 현감(縣監)으로 고쳤다가 고종 때 군(郡)으로 개편되었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20 충청도 당진현).
여읍현(餘邑縣)註 052은 본래 백제(百濟)의 여촌현(餘村縣)註 053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의 여미현(餘美縣)註 054이다.
여읍현(餘邑縣): 현재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정구복 외, 1997,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5쪽). 여읍현(餘邑縣)을 고려 초에 여미현(餘美縣)으로 이름을 고쳤고,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다. 예종 원년(1106)에 감무(監務)를 두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여미현). 조선 태종 7년에 정해현(貞海縣, 서산시 해미면)과 합쳐 해미현(海美縣)으로 이름을 고치면서 정해(貞海)를 치소로 삼고, 13년에 현감(縣監)으로 삼았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20 충청도 해미현).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미현 고적조에 따르면 옛 여미현(餘美縣)은 해미현(海美縣) 북쪽 30리에 있었다고 하니, 고려시대 여미현의 위치는 서산시 운산면(雲山面) 북단(北端)의 여미리(餘美里) 일대에 해당한다.
신평현(新平縣)註 055註 056은 본래 백제(百濟)의 사평현(沙平縣)註 057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도 그대로 쓴다.
신평현(新平縣):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정구복 외, 1997,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5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신평현).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長谷面)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으나(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신증동국여지승람』 권19 충청도 홍주목 속현조에 따르면, 신평현이 홍주(洪州) 북쪽 90리에 있으며, 면천군(沔川郡, 당진시 면천면) 동쪽 마을까지 넘어 들어가 있다고 하므로, 현재의 당진군 신평면에 해당한다.
註) 048
혜성군(槥城郡):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1996, 『삼국사기』 하, 을유문화사, 241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군이 되었으며,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 19년(1293)에 지면주사(知沔州事)로 승격되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혜성군). 조선 태종 13년에 면천군(沔川郡)으로 고쳤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19 충청도 면천군). 이곳에는 백제부흥운동 당시 혜군(槥郡)의 치소로 쓰였던 몽산성(蒙山城)이 있다.
註) 050
당진현(唐津縣):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1996, 『삼국사기』 하, 을유문화사, 241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으며, 예종 원년(1106)에 감무(監務)를 두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당진현). 조선 태종 13년에 현감(縣監)으로 고쳤다가 고종 때 군(郡)으로 개편되었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20 충청도 당진현).
註) 051
註) 052
여읍현(餘邑縣): 현재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정구복 외, 1997,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5쪽). 여읍현(餘邑縣)을 고려 초에 여미현(餘美縣)으로 이름을 고쳤고,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다. 예종 원년(1106)에 감무(監務)를 두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여미현). 조선 태종 7년에 정해현(貞海縣, 서산시 해미면)과 합쳐 해미현(海美縣)으로 이름을 고치면서 정해(貞海)를 치소로 삼고, 13년에 현감(縣監)으로 삼았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20 충청도 해미현).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미현 고적조에 따르면 옛 여미현(餘美縣)은 해미현(海美縣) 북쪽 30리에 있었다고 하니, 고려시대 여미현의 위치는 서산시 운산면(雲山面) 북단(北端)의 여미리(餘美里) 일대에 해당한다.
註) 056
신평현(新平縣):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정구복 외, 1997,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5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신평현).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長谷面)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으나(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신증동국여지승람』 권19 충청도 홍주목 속현조에 따르면, 신평현이 홍주(洪州) 북쪽 90리에 있으며, 면천군(沔川郡, 당진시 면천면) 동쪽 마을까지 넘어 들어가 있다고 하므로, 현재의 당진군 신평면에 해당한다.
주제분류
- 정치>행정>군현>군
- 정치>행정>군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