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혜성군
혜성군(槥城郡)註 048은 본래 백제(百濟)의 혜군(槥郡)註 049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도 그대로 쓴다. 거느리는 현[領縣]은 3개이다.
당진현(唐津縣)註 050은 본래 백제(百濟)의 벌수지현(伐首只縣)註 051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도 그대로 쓴다.
여읍현(餘邑縣)註 052은 본래 백제(百濟)의 여촌현(餘村縣)註 053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의 여미현(餘美縣)註 054이다.
신평현(新平縣)註 055註 056은 본래 백제(百濟)의 사평현(沙平縣)註 057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도 그대로 쓴다.
註) 048
혜성군(槥城郡):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1996, 『삼국사기』 하, 을유문화사, 241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군이 되었으며,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 19년(1293)에 지면주사(知沔州事)로 승격되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혜성군). 조선 태종 13년에 면천군(沔川郡)으로 고쳤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19 충청도 면천군). 이곳에는 백제부흥운동 당시 혜군(槥郡)의 치소로 쓰였던 몽산성(蒙山城)이 있다.바로가기
註) 049
혜군(槥郡): 신라 웅주 혜성군(槥城郡, 당진군 면천면)의 백제 때 이름.바로가기
註) 050
당진현(唐津縣):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1996, 『삼국사기』 하, 을유문화사, 241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으며, 예종 원년(1106)에 감무(監務)를 두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당진현). 조선 태종 13년에 현감(縣監)으로 고쳤다가 고종 때 군(郡)으로 개편되었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20 충청도 당진현).바로가기
註) 051
벌수지현(伐首只縣): 신라 웅주 혜성군 당진현(唐津縣, 당진군 당진읍)의 백제 때 지명으로, 다른 기록에는 부지군(夫只郡)이라고도 나온다. 본서 권37 지리지에 나오는 당나라의 도독부(都督府) 설치 계획서에 따르면 부수지(夫首只)를 지심주(支潯州)에 소속된 자래현(子來縣)으로 고치려고 하였다고 하므로, 부수지(夫首只)는 벌수지(伐首只) 또는 부지(夫只)의 다른 호칭으로 추정된다.바로가기
註) 052
여읍현(餘邑縣): 현재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정구복 외, 1997,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5쪽). 여읍현(餘邑縣)을 고려 초에 여미현(餘美縣)으로 이름을 고쳤고,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다. 예종 원년(1106)에 감무(監務)를 두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여미현). 조선 태종 7년에 정해현(貞海縣, 서산시 해미면)과 합쳐 해미현(海美縣)으로 이름을 고치면서 정해(貞海)를 치소로 삼고, 13년에 현감(縣監)으로 삼았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20 충청도 해미현).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미현 고적조에 따르면 옛 여미현(餘美縣)은 해미현(海美縣) 북쪽 30리에 있었다고 하니, 고려시대 여미현의 위치는 서산시 운산면(雲山面) 북단(北端)의 여미리(餘美里) 일대에 해당한다.바로가기
註) 053
여촌현(餘村縣): 신라 웅주 혜성군 여읍현(餘邑縣, 서산시 운산면)의 백제 때 이름.바로가기
註) 054
여미현(餘美縣): 신라 웅주 혜성군 여읍현(餘邑縣, 서산시 운산면)의 고려 때 이름.바로가기
註) 055
정덕본에서는 “新□縣”으로 한 글자의 판독이 불분명하다. 하지만, 주자본에서는 동일한 내용에 “平”으로 쓰여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平”으로 교감 주해한다.바로가기
註) 056
신평현(新平縣):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정구복 외, 1997,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5쪽). 고려 현종 9년(1018)에 홍주(洪州, 홍성군 홍성읍)의 속현이 되었다(『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 신평현).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長谷面)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으나(李丙燾 역주,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547쪽), 『신증동국여지승람』 권19 충청도 홍주목 속현조에 따르면, 신평현이 홍주(洪州) 북쪽 90리에 있으며, 면천군(沔川郡, 당진시 면천면) 동쪽 마을까지 넘어 들어가 있다고 하므로, 현재의 당진군 신평면에 해당한다.바로가기
註) 057
사평현(沙平縣): 신라 웅주 혜성군 신평현(新平縣, 당진군 신평면)의 백제 때 지명. 다만 권6 문무왕 3년(663) 2월조에 백제부흥군과 전투를 벌인 거물성(居勿城)과 연칭된 사평성(沙平城)은 지리상 차이가 있어 다른 곳을 가리킨다.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행정>군현>군
  • 정치>행정>군현>현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