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령군
화령군(化寧郡)註 177은 본래 답달비군(答達匕郡)註 178답달(沓達)이라고도 한다.인데 경덕왕(景德王)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도 그대로 쓴다. 거느리는 현[領縣]은 하나이다.
화령군(化寧郡):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化西面). 신라 경덕왕 16년(757)에 답달비군(答達匕郡)을 화령군으로 개명하였다. 고려 초에도 그대로 썼으며 상주목(尙州牧)의 속현(屬縣)이 되었다(『고려사』 권57 지11 지리2 경상도 상주목 화령군;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8 경상도 상주목). 화령군이 화령현이 된 시점은 분명하지 않을 것 같다. 상주목에 내속(來屬)하기 전에 현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고려사』 지리지에는 화령군으로 되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화령현으로 되어 있다. 상주 서쪽 51리 지점이라고 하였는데,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해당한다. 지명으로 보아 화서면 상현리(上縣里)가 그 중심지로 추정된다.
답달비군(答達匕郡): 신라 화령군(化寧郡, 현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의 경덕왕 때 고치기 전 이름. 답달(沓達)이라고도 하였다. 본서 신라본기 자비마립간 17년(474)조의 ‘답달성(沓達城)’이 동일 지명으로 추정된다. 또 「경주 남산 신성비 제2비」에 보이는 ‘답대지촌(答大支村)’을 여기에 비정하기도 한다.
도안현(道安縣)註 179은 본래 도량현(刀良縣)註 180인데 경덕왕(景德王)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의 중모현(中牟縣)註 181이다.
도안현(道安縣):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牟東面). 신라 경덕왕 16년(757)에 도량현(刀良縣)을 도안현으로 개명하였다. 고려 태조 23년(940)에 중모현(中牟縣)으로 바꿨으며, 현종 9년(1018)의 주현(主縣)-속현(屬縣) 체제에서 상주목(尙州牧)의 속현이 되었다(『고려사』 권57 지11 지리2 경상도 상주목 중모현;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8 경상도 상주목). 상주 서쪽 57리 지점이라고 하였는데,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해당한다. 모동면 덕곡리에 위치한 중모성지(中牟城址)를 관련 유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량현(刀良縣): 신라 도안현(道安縣, 현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의 경덕왕 때 고치기 전 이름. 본서 신라본기 소지마립간 10년(488)조의 ‘도나성(刀那城)’이 동일 지명으로 추정된다.
註) 177
화령군(化寧郡):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化西面). 신라 경덕왕 16년(757)에 답달비군(答達匕郡)을 화령군으로 개명하였다. 고려 초에도 그대로 썼으며 상주목(尙州牧)의 속현(屬縣)이 되었다(『고려사』 권57 지11 지리2 경상도 상주목 화령군;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8 경상도 상주목). 화령군이 화령현이 된 시점은 분명하지 않을 것 같다. 상주목에 내속(來屬)하기 전에 현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고려사』 지리지에는 화령군으로 되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화령현으로 되어 있다. 상주 서쪽 51리 지점이라고 하였는데,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해당한다. 지명으로 보아 화서면 상현리(上縣里)가 그 중심지로 추정된다.
註) 178
답달비군(答達匕郡): 신라 화령군(化寧郡, 현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의 경덕왕 때 고치기 전 이름. 답달(沓達)이라고도 하였다. 본서 신라본기 자비마립간 17년(474)조의 ‘답달성(沓達城)’이 동일 지명으로 추정된다. 또 「경주 남산 신성비 제2비」에 보이는 ‘답대지촌(答大支村)’을 여기에 비정하기도 한다.
註) 179
도안현(道安縣):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牟東面). 신라 경덕왕 16년(757)에 도량현(刀良縣)을 도안현으로 개명하였다. 고려 태조 23년(940)에 중모현(中牟縣)으로 바꿨으며, 현종 9년(1018)의 주현(主縣)-속현(屬縣) 체제에서 상주목(尙州牧)의 속현이 되었다(『고려사』 권57 지11 지리2 경상도 상주목 중모현;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8 경상도 상주목). 상주 서쪽 57리 지점이라고 하였는데,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해당한다. 모동면 덕곡리에 위치한 중모성지(中牟城址)를 관련 유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註) 180
도량현(刀良縣): 신라 도안현(道安縣, 현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의 경덕왕 때 고치기 전 이름. 본서 신라본기 소지마립간 10년(488)조의 ‘도나성(刀那城)’이 동일 지명으로 추정된다.
주제분류
- 정치>행정>군현>군
- 정치>행정>군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