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수성군
수성군(水城郡)註 067은 본래 고구려(高句麗) 매홀군(買忽郡)註 068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註 069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수주(水州)註 070이다.
註) 067
수성군(水城郡): 통일신라 시기 한주(漢州) 소속의 군(郡)인데,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을 중심으로 수원시 일원으로 비정된다(이병도, 1977: 2012, 584·608쪽; 정구복 외, 1997d, 239쪽). 영현(領縣)은 없다. 신라 경덕왕 16년(757)에 매홀군(買忽郡)을 수성군으로 고쳤다. 본서 신라본기10에 따르면 헌덕왕 15년(823년) 2월에 수성군과 당은현(唐恩縣)을 합하였다고 하는데, 지리지 기사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김태식, 1995, 181쪽). 한주의 치소(治所)가 있던 하남 선동[광주 선리]에서 통일신라 시기의 ‘수성(水城)’명 명문기와가 출토되었다(김규동·성재현, 2011, 564~567쪽; 吉井秀夫, 2017, 1123쪽; 박성현, 2021, 38~40쪽), 수성군에 대응하는 신라 성곽으로는 오산시의 독산성이 있고(기전문화재연구원 2001; 박성현, 2010, 260쪽), 황구지천을 따라 수원시 광교, 인계동, 용인시 서천동, 화성시 천천리, 상리, 분천리, 화산, 가장동, 반송동, 청계동, 오산송, 오산시 궐동, 내삼미동, 금암동, 세교동 등에 신라고분군이 분포한다(김진영, 2021, 321쪽). 『고려사』 지리지1 양광도 수주(水州)조에 따르면 고려 태조가 수주(水州)로 승격시켰고, 성종(成宗) 14년(995)에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다가 목종(穆宗) 8년(1005)에 없앴고, 현종(顯宗) 9년(1018)에 지주사(知州事)로 회복시켰다고 한다. 원종(元宗) 12년(1271)에 몽골군을 물리친 공으로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로 승격시켰다가 다시 수주목(水州牧)으로 승격시켰고, 충선왕(忠宣王) 2년(1310)에 수원부(水原府)로 강등하였다. 공민왕(恭愍王) 11년(1362)에 홍건적에 항복하였다 하여 군(郡)으로 강등시켰다가 고을 사람들이 재신(宰臣) 김용(金鏞)에게 뇌물을 부(府)로 회복시켰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권9 경기 수원도호부에 따르면 조선 태종(太宗) 13년(1413)에 도호부(都護府)로 고치고, 세조(世祖) 때에 진(鎭)을 설치하고 판관(判官)을 두었다고 한다. 중종이 현(縣)으로 낮추었다고 복구하였고, 정조가 치소를 봉담읍의 화산(華山) 일대에서 팔달산 아래로 옮겼다. 고종이 군(郡)으로 고쳤다.
〈참고문헌〉
이병도, 1977, 『國譯 三國史記』, 을유문화사
정구복 외, 1997d,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기전문화재연구원, 2001, 『오산 독산성·세마대지 시굴조사보고서』
박성현, 2010, 『신라의 거점성 축조와 지방제도의 정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병도 역주, 2012, 『국역 삼국사기』(두계이병도전집 11), 한국학술정보
김진영, 2021, 『신라 한주지방의 고분과 사회구조』, 서경문화사
김태식, 1995, 「『삼국사기』 지리지 신라조의 사료적 검토」, 『삼국사기의 원전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규동·성재현, 2011, 「선리 명문와 고찰」, 『고고학지』 17
吉井秀夫, 2017, 「광주 선리 명문기와의 고고학적 재검토-이마니시 류 수집자료의 검토를 중심으로-」, 『佛智光照』(청계정인스님정년퇴임기념논총)
박성현, 2021, 「신라 통일기 한주(漢州)의 물자 이동과 조운(漕運)-하남 선동 출토 명문 기와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121
바로가기
註) 068
매홀군(買忽郡): 신라 경덕왕 16년(757)에 수성군(水城郡)으로 고치기 이전의 고구려 시기 지명이다. 매홀의 ‘매(買)‘는 수성의 ‘수(水)’에 상응하는 고구려 고유어로 물[水]이나 강[川]을 뜻하며, ‘홀(忽)’은 수성의 ‘성(城)’에 해당하는 고구려의 고유어이다(도수희, 2005, 『백제어 어휘 연구』, 제이엔씨, 497~500쪽).바로가기
註) 069
경덕왕(景德王): 신라 35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742~765년이다. 본서 권9 신라본기9 경덕왕 즉위년조 참조.바로가기
註) 070
수주(水州): 신라 수성군(水城郡: 현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을 중심으로 하는 수원시 일원)의 고려 인종 때 이름. 위의 수성군에 대한 주석 참조.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행정>군현>군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