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알천 가에서 열병하고 임해전 중수와 만수방 창건이 이루어지며 기이한 현상들이 나타나다 ( 804년 07월 )

〔5년(804)〕 가을 7월에 알천(閼川)註 001 가에서 크게 열병(閱兵)을 하였다.
삽량주(歃良州)註 002에서 흰 까치를 바쳤다.
임해전(臨海殿)註 003을 중수(重修)하고 동궁만수방(東宮萬壽房)註 004을 새로 지었다.
우두주(牛頭州)註 005 난산현(蘭山縣)註 006에서 엎어져 있던 돌이 일어섰다.
웅천주(熊川州)註 007 소대현(蘇大縣)註 008 부포(釜浦)註 009의 물이 피로 변하였다.
註) 001
알천(閼川): 보통 경주 월성(月城)의 북쪽을 흐르는 북천(北川)으로 추정한다. 본서 권제1 신라본기 제1 남해차차웅 14년(11)조의 ‘알천’에 대한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2
삽량주(歃良州): 신라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경덕왕 16년(757) 12월에 양주(良州)로 개명되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경상남도 양산시(梁山市)이다. 본서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7년(687) 가을조와 권제9 신라본기 제9 경덕왕 16년(757) 1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3
임해전(臨海殿): 신라 왕궁인 월성(月城) 안에 있었던 전각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21 경상도 경주부 고적조에 안압지(雁鴨池)라는 연못이 있고 그 서쪽에 임해전(臨海殿) 터가 있다는 기록이 전한다. 『동경잡기(東京雜記)』에도 거의 동일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애장왕 5년(804)에 임해전을 중수했다는 기록이 추가되어 있다. 후대의 기록이어서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이를 고려할 때 현재 사적 제18호 신라 동궁과 월지 유적의 서편 건물지가 임해전(臨海殿) 터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전덕재, 2018, 「신라 동궁의 변화와 임해전의 성격」,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역사산책, 53쪽).바로가기
註) 004
동궁만수방(東宮萬壽房): 이름을 볼 때 신라 동궁에 있었던 건물 혹은 기구라고 추정되지만, 위치와 성격을 알 수 없다.바로가기
註) 005
우두주(牛頭州): 우수주(牛首州)나 수약주(首若州)라고도 하였다. 신라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경덕왕 16년(757) 12월에 삭주(朔州)로 개명되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강원도 춘천시(春川市)이다. 본서 권제5 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2년(655) 10월조와 권제9 신라본기 제9 경덕왕 16년(757) 1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6
난산현(蘭山縣): 본서 권제35 잡지 제4 지리2 신라 삭주 삭정군조를 보면, 난산현(蘭山縣)은 지금의 함경도 안변군 안변면 일대인 삭정군(朔定郡)의 5개 영현 중 하나로 나오며, 원래 고구려 석달현(昔達縣)인데, 경덕왕이 난산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난산현은 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면 용지원리(북한 강원도 고산군 용지원리)로 비정하는 견해가 있다(정구복 외, 2012,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4』,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89쪽).바로가기
註) 007
웅천주(熊川州): 신라의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公州市)이다. 본서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6년(686) 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8
소대현(蘇大縣): 본서 권제36 잡지 제5 지리3 신라 웅주 부성군조에 나오는 부성군(富城郡)의 3개 영현 중 하나인 소태현(蘇泰縣)과 동일한 것으로 보면서, 현재의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八峰面) 진장리(榛墻里)로 비정하는 견해가 있다(정구복 외, 321~322쪽). 또 고려 충렬왕이 소태현을 지태안군사(知泰安郡事)로 승격시켰음을 고려하여,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으로 비정하기도 한다(이병도 역주, 243쪽).
〈참고문헌〉
이병도 역주, 1996, 『삼국사기(하)』, 을유문화사
정구복 외, 2012,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4』,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바로가기
註) 009
부포(釜浦): 현재의 충청남도 태안군(泰安郡) 근흥면(近興面)에 있는 포구(浦口)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으나(井上秀雄 譯註, 1980, 『三國史記1』, 平凡社, 329쪽), 확인할 수 없다.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군사>군사조직>군사훈련
  • 정치>왕실>진상·하사>진상
  • 정치>신이>생물>동물
  • 정치>왕실>궁궐>殿·門·閣·堂·樓·臺·亭·房
  • 정치>신이>자연현상>땅·산·돌·물·바다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