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신무왕이 죽다 ( 839년 07월 23일 )
〔원년(839)〕 왕이 큰 병으로 드러누웠다. 〔왕의〕 꿈에 이홍(利弘)註 001이 화살을 쏘아 등에 맞았는데, 잠에서 깨어보니 등에 종기[瘡]가 났다. 이달 23일에註 002 이르러 〔왕이〕 죽었다. 시호(諡號)를 신무(神武)라 하고, 제형산(弟兄山) 서북쪽에 장사 지냈다.註 003
註) 001
이홍(利弘): 김균정(金均貞)과 희강왕(僖康王)의 왕위쟁탈전에서 희강왕을 지지하여, 희강왕이 김균정을 죽이고 즉위하는 데 공헌하였다. 이에 희강왕 2년(837) 1월왕을 자살로 몰았다. 민애왕 2년(839)에 신무왕(神武王)이 민애왕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르자, 신무왕이 그 아버지 김균정(金均貞)을 죽이는 데 협력한 자신에게 보복할까 두려워 처자식을 버리고 산으로 들어가 숨었다. 하지만 신무왕이 보낸 기병에 잡혀 죽임을 당했다.바로가기
註) 002
이달 23일: 중종 7년(1512) 경주부에서 간행된 소위 임신본(壬申本)〔정덕본(正德本)〕 『삼국유사』 왕력에는 ‘11월 13일(十一月一十三日)로 되어 있어, 본 기사와 다르다. 그러나 다른 판본들에서 대부분 ’23일(二十三日)‘로 적고 있어 임신본의 오각으로 생각된다(연세대학교 박물관, 2016,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52~53쪽).바로가기
註) 003
제형산(弟兄山) … 장사 지냈다: 이 기사에 나오는 정보와 전승에 의해 경상북도 경주시 동방동 660번지 소재 사적 제185호 경주 신무왕릉(慶州 神武王陵)이 신무왕의 무덤으로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무덤의 규모가 작고 아무런 시설물도 없어 왕릉으로 보기 어렵다고 보는 견해도 많다. 사적 제21호 경주 김유신묘(慶州 金庾信墓)나 사적 제24호 경주 진덕여왕릉(慶州 眞德女王陵)이 신무왕릉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李丙燾, 731~734쪽; 이근직, 407~408쪽).
〈참고문헌〉
李丙燾, 1985, 『(修訂版)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이근직, 2012, 『신라 왕릉 연구』, 학연문화사
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왕실>국왕>신상
  • 사회>인구>생로병사>질병·의료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