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와 구수혜를 각각 파진찬과 일길찬에 임명하다
(
172년
01월
)
19년(172) 봄 정월에 구도(仇道)註 001를 파진찬(波珍湌)註 002에 임명하고, 구수혜(仇須兮)註 003를 일길찬(一吉湌)註 004에 임명하였다.
구도(仇道): 아달라이사금대와 벌휴이사금대에 활동한 생몰년 미상의 인물이다. 김씨로서 최초로 신라왕이 된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의 부친이다. 이에 그의 성을 김씨로 보기도 하지만, 당시 실제로 성을 사용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름의 한자를 ‘俱道’로 쓰기도 한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미추이사금 즉위년(262)조에 가계 계보가 나오는데, 그에 따르면 5대조가 김알지(金閼智), 고조부가 세한(勢漢), 증조부가 아도(阿道), 조부가 수류(首留), 아버지가 욱보(郁甫)이며, 자식으로 미추이사금, 각간 말구(末仇), 옥모부인(玉帽夫人) 김씨(金氏)가 있다. 장인은 이칠갈문왕(伊柒葛文王), 사위는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이다.
이 기사에서 파진찬에 임명되었지만 아달라이사금대에 별다르게 활약한 기록은 없고, 벌휴이사금대에 조문국(召文國) 정벌과 백제와의 전쟁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대체로 그의 활동으로 김씨 집단이 신라 내에서 세력을 가지게 된 것으로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선석열, 2015, 『신라 왕위계승 원리 연구』, 혜안, 81~82쪽). 벌휴이사금 7년(190)의 전투에서 패전에 대한 책임으로 부곡성주(缶谷城主)로 좌천된 이후 동향은 확인되지 않는다. 미추이사금 2년(263) 2월 아들 미추이사금에 의해 갈문왕에 추봉되었다.
이 기사에서 파진찬에 임명되었지만 아달라이사금대에 별다르게 활약한 기록은 없고, 벌휴이사금대에 조문국(召文國) 정벌과 백제와의 전쟁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대체로 그의 활동으로 김씨 집단이 신라 내에서 세력을 가지게 된 것으로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선석열, 2015, 『신라 왕위계승 원리 연구』, 혜안, 81~82쪽). 벌휴이사금 7년(190)의 전투에서 패전에 대한 책임으로 부곡성주(缶谷城主)로 좌천된 이후 동향은 확인되지 않는다. 미추이사금 2년(263) 2월 아들 미추이사금에 의해 갈문왕에 추봉되었다.
註) 001
구도(仇道): 아달라이사금대와 벌휴이사금대에 활동한 생몰년 미상의 인물이다. 김씨로서 최초로 신라왕이 된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의 부친이다. 이에 그의 성을 김씨로 보기도 하지만, 당시 실제로 성을 사용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름의 한자를 ‘俱道’로 쓰기도 한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미추이사금 즉위년(262)조에 가계 계보가 나오는데, 그에 따르면 5대조가 김알지(金閼智), 고조부가 세한(勢漢), 증조부가 아도(阿道), 조부가 수류(首留), 아버지가 욱보(郁甫)이며, 자식으로 미추이사금, 각간 말구(末仇), 옥모부인(玉帽夫人) 김씨(金氏)가 있다. 장인은 이칠갈문왕(伊柒葛文王), 사위는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이다.
이 기사에서 파진찬에 임명되었지만 아달라이사금대에 별다르게 활약한 기록은 없고, 벌휴이사금대에 조문국(召文國) 정벌과 백제와의 전쟁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대체로 그의 활동으로 김씨 집단이 신라 내에서 세력을 가지게 된 것으로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선석열, 2015, 『신라 왕위계승 원리 연구』, 혜안, 81~82쪽). 벌휴이사금 7년(190)의 전투에서 패전에 대한 책임으로 부곡성주(缶谷城主)로 좌천된 이후 동향은 확인되지 않는다. 미추이사금 2년(263) 2월 아들 미추이사금에 의해 갈문왕에 추봉되었다.
이 기사에서 파진찬에 임명되었지만 아달라이사금대에 별다르게 활약한 기록은 없고, 벌휴이사금대에 조문국(召文國) 정벌과 백제와의 전쟁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대체로 그의 활동으로 김씨 집단이 신라 내에서 세력을 가지게 된 것으로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선석열, 2015, 『신라 왕위계승 원리 연구』, 혜안, 81~82쪽). 벌휴이사금 7년(190)의 전투에서 패전에 대한 책임으로 부곡성주(缶谷城主)로 좌천된 이후 동향은 확인되지 않는다. 미추이사금 2년(263) 2월 아들 미추이사금에 의해 갈문왕에 추봉되었다.
註) 003
주제분류
- 정치>행정>관인>인사·제도
- 정치>행정>관직>중앙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