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백제의 표: 백제가 임나의 정무와 관련된 그간의 일을 알리며 이나사와 마도의 본국 송환을 요청함

3월에 백제가 나솔 아탁득문(奈率 阿乇得文)주 001
번역주 001)
阿乇을 지명에서 유래한 백제의 복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得文은 이름이다. 흠명천황 5년(544) 10월에 귀국한다.
닫기
, 허세 나솔 기마(許勢奈率奇麻) 주 002
번역주 002)
奇麻가 이름이며 왜계 백제관료이다. 흠명천황 5년 10월에 귀국한 후 同 8년(547) 4월에 다시 왜국에 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건너간다. 許勢氏와 韓婦 사이에 태어난 韓子로 여겨진다.
닫기
, 물부 나솔 가비(物部奈率哥非)주 003
번역주 003)
哥非가 이름이며 왜계 백제관료이다. 흠명천황 5년 10월에 귀국한다.
닫기
등을 보내서 표를 올려 “나솔 미마사, 나솔 기련 등이 신의 나라에 와서 조서를 바치며 ‘그대들은 거기에 있는 일본부와 함께 좋은 계책을 내어 하루빨리 임나를 세워라. 신중히 진행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속지 말라.’고 말하였습니다. 또한 진수련 등이 신의 나라에 와서 칙서를 바치며 임나를 세우는 일을 물었습니다. 삼가 칙서를 받들어 시기를 놓치지 않고 협의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사신을 보내 일본부[『백제본기』에는 오호파신(烏胡跛臣;우코하노오미)주 004
번역주 004)
후문에 나온대로 的臣을 가리킨다. 烏胡跛(우코하)와 的(이쿠하)은 음이 통한다.
닫기
을 불렀다고 한다. 아마 이는 적신(的臣)일 것이다.]와 임나(의 한기)를 소집했습니다. 모두 ‘새해가 되었습니다. 바라건대 지나고 나서 가고 싶습니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지났으나 오지 않았습니다. 다시 사신을 보내서 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자 함께 ‘제사 때가 되었습니다. 바라건대 지내고 가겠습니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났으나 오지 않았습니다. 또 다시 사신을 보내서 불렀습니다. 그런데 지위가 낮은 자를 보냈기 때문에 같이 계책을 논의할 수가 없었습니다. 무릇 임나를 불러도 오지 않은 것은 본의가 아니었습니다. 이것은 아현이나사, 좌로마도[두 사람의 이름이다. 이미 위에서 언급했다.]의 간계에 의한 것입니다. 무릇 임나는 안라를 형(兄)으로 여기고 오로지 그 뜻을 따릅니다. 안라인은 일본부를 하늘[天]처럼 여기고 오직 그 뜻을 따릅니다[『백제본기』에는 안라를 부(父)로, 일본부를 본(本)으로 여긴다고 한다.]. 지금 적신(的臣), 길비신(吉備臣), 하내직(河內直) 등은 모두 이나사, 마도가 시키는 대로 할 뿐입니다. 이나사, 마도는 비록 집안과 신분이 낮은 자이지만 일본부의 정사를 마음대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임나를 통제하여 사신을 보내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같이 협의할 수도 없었고, 천황에게 답신도 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고로 기마노궤(己麻奴跪)[아마 이는 진수련일 것이다.]를 머무르게 하고, 별도로 빨리 나는 새같은 사람을 보내 천황에 주상합니다. 만약 둘[둘이라는 것은 이나사마도를 말한다.]이 안라에 머물면서 많은 간계를 부리면 임나를 세우는 것은 어렵고, 해서(海西)의 제국(諸國)주 005
번역주 005)
여기서는 백제와 임나를 가리킨다.
닫기
도 반드시 섬기지 않을 것입니다. 엎드려 원하건대 이 두 사람을 본거지로 보내 주십시오. 그리고 칙을 내려 일본부와 임나를 타일러임나를 세우도록 도모하십시오. 그래서 신은 나솔 미마사와 나솔 기련 등에게 기마노궤를 딸려 보내 표를 올려 아룄습니다.

  • 번역주 001)
    阿乇을 지명에서 유래한 백제의 복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得文은 이름이다. 흠명천황 5년(544) 10월에 귀국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奇麻가 이름이며 왜계 백제관료이다. 흠명천황 5년 10월에 귀국한 후 同 8년(547) 4월에 다시 왜국에 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건너간다. 許勢氏와 韓婦 사이에 태어난 韓子로 여겨진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哥非가 이름이며 왜계 백제관료이다. 흠명천황 5년 10월에 귀국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후문에 나온대로 的臣을 가리킨다. 烏胡跛(우코하)와 的(이쿠하)은 음이 통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여기서는 백제와 임나를 가리킨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아탁득문, 허세 나솔 기마(許勢奈率奇麻), 물부 나솔 가비, 미마사, 기련, 진수련, 오호파신, 아현이나사, 좌로마도, 적신(的臣), 길비신(吉備臣), 하내직(河內直), 이나사, 마도, 이나사, 마도, 기마노궤(己麻奴跪), 진수련, 이나사, 마도, 미마사, 기련, 기마노궤
서명
『백제본기』, 『백제본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백제의 표: 백제가 임나의 정무와 관련된 그간의 일을 알리며 이나사와 마도의 본국 송환을 요청함 자료번호 : ns.k_0032_006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