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북방으로 세력을 확장하다 ( 905년 )
〔천우 2년 을축(905)〕패서 13진을 나누어 정하였다[分定].註 001 평양의 성주장군 검용(黔用)이 항복하였고, 증성(甑城)註 002의 적의(赤衣)·황의(黃衣)〔를 입는〕 도적註 003 명귀(明貴) 등이 귀부하였다.
註) 001
패서 13진을 나누어 정하였다[分定] : 패서는 예성강 이서 지역으로서 패강진 관할 지역이었다. 13진에 대해서는 패강진에 소속된 14개 군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이때 14군현의 행정구역 등의 정비가 있었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패서 지역에 새로운 군진을 설치하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본서 권제37 잡지제6 지리4 고구려 한산주조 말 미에는 경덕왕 때 개명되지 않은 12군현이 나오는데, 이것들이 이때 분정된 13진과 연결된다는 것이다. 본서 권제12 신라본기제12 효공왕 2년(898) 7월조의 주석 참조. 패강진에 대해서는 본서 권제 9 신라본기제9 선덕왕 3년(782) 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2
증성(甑城):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면(북한 평안남도 증산군) 일대로 추정된다. 『고려사』 권58 지12 지리3 강서현조에는 이악(梨岳)·대구(大垢)·갑악(甲岳)·각묘(角墓)·독촌(禿村)·증산(甑山) 등의 향(鄕)을 합쳐서 강서현으로 하고 평양부(平壤府)의 속현으로 삼았다고 한다.바로가기
註) 003
적의(赤衣)·황의(黃衣)〔를 입는〕 도적: 붉은 옷과 누런 옷을 입어 다른 집단과 자신들을 구별하였던 도적이라는 의미이다. 본서 권제11 신라본기제11 진성여왕 10년(896)조에 따르면 붉은색으로 바지를 물들여 스스로를 남들과 구별하여 적고적(赤袴賊)이라고 불리던 도적떼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와 같은 부류일 것이다.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군사>군사시설>군사기지
  • 정치>군사>전쟁>전쟁결과
  • 정치>외교>인적교류>귀화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