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낙랑과의 우호관계가 단절되다 ( 기원전 11년 07월 )
〔8년(B.C. 11)〕 가을 7월에 마수성(馬首城)註 001을 쌓고 병산책(甁山柵)註 002을 세웠다. 낙랑태수(樂浪太守)의 사신이 다음과 같이 아뢰어 말하였다.註 003
“지난번에는 서로 예를 갖추어 방문하고, 우호를 맺어 뜻이 한 집안과 같았는데, 지금 우리의 강역을 핍박하여 성을 쌓고 목책을 세우고 있으니, 혹시 야금야금 먹어 들어올 계책이 있어서인가? 만일 옛날의 우호를 저버리지 않고 성을 허물고 목책을 부수어 버린다면 시기하고 의심할 바가 없겠지만, 혹시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청컨대 한 번 싸워서 승부를 결정짓도록 하자.”
〔이에〕 왕이 회답하였다. “요새를 설치하여 나라를 지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떳떳한 도리인데, 어찌 감히 이것 때문에 화친과 우호를 저버리는 일이 있겠는가? 마땅히 집사(執事)註 004가 의심할 바가 아닌 것 같다. 만일 집사가 강함을 믿고 군사를 낸다면, 우리나라[小國]도 이에 대응할 뿐이다.” 이로 말미암아 낙랑과의 우호를 잃게 되었다.
註) 001
마수성(馬首城) : 본서 권37 지리4의 삼국유명미상지분(三國有名未詳地分)에 실려 있다. 본서 권35 지리2 한주 견성군의 고구려 때 지명인 마홀군(馬忽郡)과 음이 유사하므로 같은 곳으로 보고,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에 비정하는 견해가 있다. 본서 권23 백제본기1 다루왕 3년(30)조에는 동부 흘우(屹于)가 말갈과 마수산 서쪽에서 싸운 기사, 다루왕 7년(34)조에는 말갈이 마수성을 공격하는 기사가 나온다.바로가기
註) 002
병산책(甁山柵) : 마수성과 인접한 포천 부근의 특정 지역으로 보는 견해(金起燮, 6~13쪽; 이용빈, 37쪽)와 이천, 평강, 김화 등의 교통로 상에 위치한 것으로 보는 견해(文安植, 2006)가 있다. 본서 권23 백제본기1 온조왕 11년(B.C. 8)조와 다루왕 7년(34)조에도 말갈이 병산책을 습격했다는 기사가 나온다.
〈참고문헌〉
金起燮, 1994, 「百濟 近肖古王代의 北境」, 『軍史』 29
이용빈, 2002, 『百濟 地方統治制度 硏究』, 서경문화사
文安植, 2006, 「백제 한성기 北界와 東界의 변천」, 『百濟硏究』 44
바로가기
註) 003
낙랑태수의 사신이 다음과 같이 아뢰어 말하였다 : 마수산은 본서 권23 백제본기1 다루왕 3년(30) 10월조를 보면 백제의 동부를 방어하고 있다. 『삼국지(三國志)』 권30 동이전 예조에 따르면 춘천을 비롯한 영서예(嶺西濊) 지역은 B.C. 75년 이후 평양에 위치한 낙랑군이 직접 관할했기 때문에 낙랑군의 태수가 백제가 동쪽으로 영서예 지역에 접근하여 방어시설을 쌓는 것을 질책한 것이다. 초기백제는 말갈세력으로 인해 북쪽으로는 평양의 낙랑군과 직접 만날 수 없었고, 영서예 지역으로 뻗어내려온 낙랑군의 변경과 서로 맞닿아 있는 백제의 동계를 통해 낙랑군과 우호 또는 적대관계를 유지했다고 본다(尹善泰, 2001, 「馬韓의 辰王과 臣濆沽國」, 『百濟硏究』 34, 21쪽).바로가기
註) 004
집사(執事) : 여기서는 문맥으로 보아 낙랑태수를 지칭한다.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외교>절교>나라
  • 정치>외교>사신>파견·영접
  • 정치>외교>사신>사절활동
색인어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