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비사벌에 완산주를 설치하다 ( 555년 01월 )
16년(555) 봄 정월에 비사벌(比斯伐)註 001에 완산주(完山州)를 설치하였다.註 002
註) 001
비사벌(比斯伐): 현재 경남 창녕군 창녕읍에 해당한다. 본서 권제34 잡지제3 지리1 양주 화왕군조에 비자화(比自火),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에 비자벌(比子伐), 함안 성산산성 목간에 비사벌(比思伐), 『일본서기(日本書紀)』 권9 신공황후(神功皇后) 49년 3월조에 비자발(比自㶱)로 전한다. 경덕왕 16년(757)에 비자화군을 화왕군(火王郡)으로 고쳤다.바로가기
註) 002
완산주(完山州)를 설치하였다: 완산은 현재 전라북도 전주시에 해당한다. 진흥왕 16년(555)에 전주시는 백제의 영토였기 때문에 ‘완산주를 설치하였다’는 표현은 그대로 믿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완산주는 비사벌주(比斯伐州)의 잘못으로 보기도 하나(정구복 외, 124쪽), 본서 권제34 잡지제3 지리1 양주 화왕군조에 진흥왕 16년(555)에 〔비자화에〕 주(州)를 설치하고 이름을 하주(下州)라고 불렀다고 전하기 때문에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진흥왕 22년(561)에 건립된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에 상주(上州), 하주(下州)가 보이고, 본서 권제4 신라본기제4 진흥왕 14년(553) 7월조에 “백제의 동북쪽 변두리를 빼앗아 신주(新州)를 설치하였다.”라고 전하므로, 553년 이전에 신라 영토에 상주와 하주를 설치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서 권제34 잡지제3 지리1 양주조에 “문무왕 5년, 인덕(麟德) 2년(665)에 상주·하주의 땅을 분할하여 삽량주(歃良州: 경남 양산)를 설치하였다.”라고 전하는 것에서 상주와 하주는 문무왕 5년(665)까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사벌은 하주의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진흥왕 16년에 비사벌주를 설치하였거나 하주를 설치하였다고 보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본서의 신라본기 중고기 기록에 정군단(停軍團)을 설치하거나 폐한 사실이 주(州)를 설치하거나 폐하였다고 기술되어 있는 사실, 본서 권제40 잡지제9 직관하(下) 무관조에 “신문왕 5년(685)에 하주정(下州停)을 혁파하고 완산정(完山停)을 설치하였다.”라고 전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비자벌정(하주정)이 완산정의 전신이었던 사실 등에 기초하여 8세기 전반 성덕왕 때에 진흥왕 16년 정월에 ‘하주(下州)의 치소(治所)인 비사벌에 왕경인 출신 군사를 중심으로 편성한 비사벌정(「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에 비자벌정(比子伐停)이라고 전함)을 설치한 사실’을 ‘비사벌에 완산주를 설치하였다.’고 고쳐 기술하였고, 본서의 찬자가 이것을 그대로 신라본기에 인용하였다고 이해한 견해가 제기되었다(전덕재, 2018, 84~88쪽). 한편 누대 동안 비사벌을 중심으로 한 가야 사람들이 백제의 완산에 사민(徙民)되면서 그곳을 비사벌이라고 부르는 전통이 생겼고, 이러한 전통이 비사벌에 완산주를 설치하였다고 신라본기에 잘못 기술된 이유가 되었다고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李康來). 한편 비사벌에 정군단을 설치하고, 그 사령관으로서 군주(軍主)를 파견함으로써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에 나오는 ‘사방군주(四方軍主)’가 갖추어졌는데, 이로부터 군주는 지방에 주둔한 정군단의 사령관이면서 상주(上州)와 하주(下州), 신주(新州) 및 동해안의 우추군(于抽郡: 경북 영덕군 영해면)·실지군(悉支郡: 강원도 삼척시)·하서아군(何西阿郡: 강원도 강릉시) 등을 행정적으로 총괄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고 이해한 견해가 제기되었다(전덕재, 2001).
〈참고문헌〉
李康來, 1987 「百濟 「比斯伐」考」, 『崔永禧先生 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 탐구당; 2011 『삼국사기 인식론』, 일지사
전덕재, 2001, 「신라 중고기 州의 성격 변화와 軍主」, 『역사와 현실』 40
정구복 외, 2012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 3(주석편상)』,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전덕재, 2018,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주류성
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행정>군현>주·부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