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개성을 쌓다 ( 713년 12월 )
개성(開城)註 001을 쌓았다,
註) 001
개성(開城): 본서 권제35 잡지제4 지리2 한주조에 “개성군(開城郡)은 본래 고구려 동비홀(冬比忽)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고 전한다. 이에 따른다면, 성덕왕 12년(713) 12월에는 개성이 아니라 동비홀성이라고 불렀다고 볼 수 있다. 후대에 동비홀성을 경덕왕대의 개정 지명을 활용하여 개성이라고 개서(改書)한 것으로 이해된다. 개성군은 경기도 개풍군 서면 개성리(북한의 황해북도 개풍군 개풍읍)로 비정된다. 종래에 성덕왕 12년(713) 12월에 동비홀성(개성)을 쌓으면서 비로소 개성지역을 군(郡)으로 편제하였다고 이해한 견해가 제기되었다(박성현, 2010, 205쪽). 이에 반해 신라는 문무왕 15년(675)에 이미 임진강과 예성강 사이의 옛 고구려영역을 신라의 군·현으로 편제하였고, 성덕왕 12년 12월에 변방의 방어를 위해 개성을 쌓았다고 보는 견해도 제출되었다(전덕재, 2019, 184~186쪽).
〈참고문헌〉
박성현, 2010, 『신라의 거점성 축조와 지방제도의 정비과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덕재, 2019,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려고 하였을까」, 『역사비평』 128
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군사>군사시설>성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