髙句麗本紀 01
始祖東明聖王 姓髙氏 諱朱蒙 (一云鄒牟 一云衆解) 시조 동명성왕은 성이 고씨이고 이름은 주몽이다. (추모 또는 중해라고도 한다.)
http://qindex.info/i.php?x=23753
  髙句麗本紀 02
先是 扶餘王解夫婁 老無子 祭山川求嗣 其所御馬至鯤淵 見大石 相對流淚 王怪之 使人轉其石 有小兒 金色蛙形 蛙一作蝸 王喜曰 此乃天賚我令胤乎 乃収而養之 名曰金蛙 及其長 立爲太子
http://qindex.info/i.php?x=17080
  髙句麗本紀 02
부여왕 해부루가 늙도록 아들이 없자 산천에 제사를 지내어 대를 이을 자식을 구하였다. 그가 탄 말이 곤연에 이르러 큰 돌을 보더니 마주 대하며 눈물을 흘렸다. 왕이 이를 괴상히 여겨 사람을 시켜 그 돌을 옮기니 어린아이가 있었는데 금색의 개구리 모양이었다. 蛙(개구리)를 蝸(달팽이)로 쓰기도 한다. 왕이 기뻐하며 말하기를 “이는 바로 하늘이 나에게 후사를 내려주신 것이다.”라고 하며 거두어 기르고 이름을 금와라 하였다. 그가 장성하자 태자로 삼았다.
http://qindex.info/i.php?x=17079
  髙句麗本紀 03
後其相阿蘭弗曰 日者天降我曰 將使吾子孫 立國於此 汝其避之 東海之濵有地 號曰迦葉原 土壤膏腴冝五穀 可都也 阿蘭弗遂勸王 移都於彼 國號東扶餘 其舊都有人 不知所從來 自稱天帝子解慕漱 來都焉
http://qindex.info/i.php?x=23776
  髙句麗本紀 03
후에 재상 아란불이 말하였다. “일전에 하늘이 저에게 내려와 말하기를 ‘장차 내 자손에게 이곳에 나라를 세우게 할 것이니 너희는 그곳을 피하라. 동해 물가에 땅이 있어 이름을 가섭원이라 하는데 토양이 기름지고 오곡이 자라기 알맞으니 도읍할 만하다’라고 하였습니다.” 아란불이 왕에게 권하여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고 나라 이름을 동부여라 하였다. 옛 도읍에는 어떤 사람이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으나 스스로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칭하며 와서 도읍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777
  髙句麗本紀 04
及解夫婁薨 金蛙嗣位 於是時 得女子於大白山南優㴾水 問之曰 我是河伯之女 名柳花 與諸弟出遊 時有一男子 自言天帝子解慕漱 誘我於熊心山下 鴨渌邊室中私之 即徃不返 父母責我無媒而從人 遂謫居優渤水
http://qindex.info/i.php?x=23778
  髙句麗本紀 04
해부루가 죽자 금와가 왕위를 이었다. 이때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여자를 만났다. 물으니 말하기를 “저는 하백의 딸이고 이름은 유화입니다. 여러 동생들과 함께 나가서 놀고 있었는데, 그때 한 남자가 있어 스스로 말하기를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하고 저를 웅심산 아래 압록강 인근의 방 안으로 꾀어 사통하고 곧바로 가서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부모는 제가 중매도 없이 다른 사람을 따라갔다고 꾸짖어 마침내 우발수에서 귀양살이하게 되었습니다.”라고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779
  髙句麗本紀 05
魏書 → 三國史記 ┆ 朱蒙母河伯女 為夫餘王閉於室中 → 金蛙異之 幽閉於室中 ┆ 為日所照 引身避之 日影又逐 → 爲日所炤 引身避之 日影又逐而炤之 ┆ 既而有孕 生一卵 大如五升 → 因而有孕 生一卵 大如五升許 ┆夫餘王棄之與犬 犬不食 棄之與豕 豕又不食 → 王棄之與犬豕 皆不食 ┆棄之於路 牛馬避之 → 又棄之路中 牛馬避之 ┆後棄之野 眾鳥以毛茹之 → 後棄之野 鳥覆翼之 ┆ 夫餘王割剖之 不能破 遂還其母 → 王欲剖之 不能破 遂還其母
http://qindex.info/i.php?x=23787
  髙句麗本紀 05
금와가 이를 이상하게 여겨서 방 안에 가두었는데, 해가 비추어 몸을 끌어당겨 피하였으나 햇빛이 또 따라와 비쳤다. 그로 인하여 임신하여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다섯 되 정도 되었다. 왕이 알을 버려 개와 돼지에게 주었으나 모두 먹지 않았다. 다시 길 가운데에 버렸으나 소나 말이 피하였다. 나중에는 들판에 버렸더니 새가 날개로 덮어 주었다. 왕이 알을 쪼개려고 하였으나 깨뜨릴 수가 없어 마침내 그 어미에게 돌려주었다.
http://qindex.info/i.php?x=23784
  髙句麗本紀 06
魏書 → 三國史記 ┆ 其母以物裹之 置於暖處 → 其母以物褁之 置於暖處 ┆ 有一男破殼而出 及其長也 → 有一男兒破殼而出 骨表英竒 年甫七歳 嶷然異常 ┆ 字之曰朱蒙 其俗言朱蒙者 善射也 → 自作弓矢射之 百發百中 扶餘俗語 善射爲朱蒙 故以名云
http://qindex.info/i.php?x=23783
  髙句麗本紀 06
그 어미가 물건으로 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한 남자아이가 껍질을 부수고 나왔는데 골격과 의표가 영특하고 호걸다웠다. 나이가 겨우 7살이었음에도 영리함이 범상치 않아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의 속어에 활을 잘 쏘는 것을 주몽이라 하는 까닭에 그것으로 이름을 지었다.
http://qindex.info/i.php?x=23785
  髙句麗本紀 07
魏書 → 三國史記 ┆ 夫餘人以朱蒙非人所生 將有異志 請除之 → 金蛙有七子 常與朱蒙遊戲 其伎能皆不及朱蒙 其長子帶素言於王曰 朱䝉非人所生 其爲人也勇 若不早圖 恐有後患 請除之 ┆ 王不聽 命之養馬 → 王不聽 使之養馬
http://qindex.info/i.php?x=23782
  髙句麗本紀 07
금와에게는 일곱 아들이 있어 늘 주몽과 함께 놀았으나 그 재주와 능력이 모두 주몽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 맏아들 대소가 왕에게 말하기를, “주몽은 사람이 낳은 자가 아니며, 그 사람됨이 용감합니다. 만약 일찍 도모하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까 두려우니, 청컨대 그를 제거하시옵소서.”라고 하였다. 왕이 듣지 않고 그에게 말을 기르도록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786
  髙句麗本紀 08
魏書 → 三國史記 ┆ 朱蒙每私試 知有善惡 駿者減食令瘦 駑者善養令肥 → 朱蒙知其駿者 而减食令瘦 駑者善養令肥 ┆ 夫餘王以肥者自乘 以瘦者給朱蒙 → 王以肥者自乗 瘦者給朱蒙 ┆ 後狩於田 以朱蒙善射 限之一矢 朱蒙雖矢少 殪獸甚多 → 後獵于野 以朱蒙善射 與其矢小 而朱蒙殪獸甚多
http://qindex.info/i.php?x=23788
  髙句麗本紀 08
주몽이 날랜 말을 알아보고 먹이를 줄여 야위게 하고 둔한 말은 잘 먹여 살찌게 하였다. 왕은 살찐 말을 자신이 타고 마른 말을 주몽에게 주었다. 후에 들판에서 사냥하였는데, 주몽이 활을 잘 쏘기 때문에 화살을 적게 주었으나 주몽이 잡은 짐승이 매우 많았다.
http://qindex.info/i.php?x=23789
  髙句麗本紀 09
魏書 → 三國史記 ┆ 夫餘之臣又謀殺之 → 王子及諸臣又謀殺之 ┆ 朱蒙母陰知 告朱蒙曰 → 朱蒙母隂知之 告曰 ┆ 國將害汝 以汝才略 宜遠適四方 → 國人將害汝 以汝才略何徃而不可 與其遟留而受辱 不若逺適以有爲
http://qindex.info/i.php?x=23790
  髙句麗本紀 09
왕자와 여러 신하들이 또 그를 죽이려고 모의하였다. 주몽의 어머니가 은밀히 이를 알아차리고 알려주며 말하기를, “나라 사람들이 장차 너를 해치려 한다. 너의 재주와 지략으로 어디를 간들 안 되겠느냐? 지체하여 머물다가 욕을 당하는 것보다 멀리 가서 뜻을 이루는 것이 낫겠다.”라고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791
  髙句麗本紀 10
魏書 → 三國史記 ┆ 朱蒙乃與烏引烏違等二人 棄夫餘 東南走 中道遇一大水 欲濟無梁 → 朱蒙乃與鳥伊摩離陜父等三人爲友 行至淹淲水 (一名盖斯水 在今鴨綠東北) 欲渡無梁 ┆ 夫餘人追之甚急 朱蒙告水曰 → 恐爲追兵所迫 告水曰 ┆ 我是日子 河伯外孫 今日逃走 追兵垂及 如何得濟 → 我是天帝子 何伯外孫 今日逃走 追者垂及如何 ┆ 於上魚鱉並浮 為之成橋 朱蒙得渡 魚鱉乃解 追騎不得渡 → 於是 魚鼈浮出成橋 朱蒙得渡 魚鼈乃解 追騎不得渡
http://qindex.info/i.php?x=23792
  髙句麗本紀 10
주몽이 오이·마리·협보 등 세 명과 가다가 엄사수(개사수라고도 하는데 지금의 압록강 동북쪽에 있다)에 이르러 건너려고 하였으나 다리가 없었다. 추격해오는 병사들이 닥칠까 두려워 물에게 고하여 말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이다. 도망하여 달아나는데 추격자들이 다가오니 어찌하면 좋은가?”라고 하였다. 이에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다리를 만들었으므로 주몽이 건널 수 있었다. 물고기와 자라가 곧 흩어지니 추격해오던 기병들은 건널 수 없었다.
http://qindex.info/i.php?x=23793
  髙句麗本紀 11
魏書 → 三國史記 ┆ 朱蒙遂至普述水 遇見三人 → 朱蒙行至毛屯谷 (魏書云 至音述水) 遇三人 ┆ 其一人著麻衣 → 其一人着麻衣 ┆ 一人著納衣 → 一人着衲衣 ┆ 一人著水藻衣 → 一人着水藻衣 주몽이 가다가 모둔곡에 이르러 (위서에는 음술수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세 명을 만났다. 그 가운데 한 명은 삼베옷를 입었고, 한 명은 기운 옷를 입었으며, 한 명은 수초로 엮은 옷을 입고 있었다.
http://qindex.info/i.php?x=23794
  髙句麗本紀 12
朱蒙問曰 子等何許人也 何姓何名乎 麻衣者曰 名再思 衲衣者曰 名武骨 水藻衣者曰 名黙居 而不言姓 朱蒙賜再思姓克氏 武骨仲室氏 黙居少室氏 乃告於衆曰 我方承景命 欲啓元基 而適遇此三賢 豈非天賜乎
http://qindex.info/i.php?x=23796
  髙句麗本紀 12
주몽이 묻기를 “그대들은 누구인가? 성과 이름은 무엇인가?”라 하였다. 삼베옷을 입은 자가 “재사입니다.”라 하였고 기운 옷을 입은 자가 “무골입니다.”라 하였으며 수초로 엮은 옷을 입은 자가 “묵거입니다.”라 하였으나 성씨는 말하지 않았다. 주몽이 재사에게 극씨, 무골에게 중실씨, 묵거에게 소실씨라는 성씨를 주고 말하였다. “내가 바야흐로 큰 명령을 받아 나라의 기틀을 열려고 하는데 세 명의 현명한 사람을 만났으니 어찌 하늘이 주신 것이 아니겠는가!”
http://qindex.info/i.php?x=23797
  髙句麗本紀 13
魏書 → 三國史記 ┆ 與朱蒙至紇升骨城 遂居焉 號曰高句麗 因以為氏焉 → 遂揆其能 各任以事 與之俱至卒夲川 (魏書云 至紇升骨城) 觀其土壤肥羙 山河險固 遂欲都焉 而未遑作宫室 伹結廬於沸流水上居之 國號髙句麗 因以髙爲氏
http://qindex.info/i.php?x=23798
  髙句麗本紀 13
마침내 그 능력을 살펴 각기 일을 맡기고 그들과 함께 졸본천에 이르렀다. (위서에는 흘승골성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그 토양이 기름지고 아름다우며 자연 지세가 험하고 단단한 것을 보고 드디어 도읍하려고 하였으나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었기에 단지 비류수 가에 초막을 짓고 살았다.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 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고를 성씨로 삼았다.
http://qindex.info/i.php?x=23799
  髙句麗本紀 14
一云 朱蒙至卒本扶餘 王無子 見朱蒙知非常人 以其女妻之 王薨 朱蒙嗣位 혹 말하기를 주몽이 졸본부여에 이르렀는데 왕이 아들이 없었다. 주몽을 보고는 보통 사람이 아님을 알고 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 왕이 죽자 주몽이 왕위를 이었다고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800
 -0037 三國史記(1145) 東扶餘 ➔農耕
동해의 물가에 땅이 있는데 이름이 가섭원이라 하고 토양이 기름지고 오곡이 자라기 알맞으니 도읍할 만하다고 하였습니다. 아란불이 마침내 왕에게 권하여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고 나라 이름을 동부여라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11392
 -0037 三國史記(1145) 貊高麗 ➔農耕
졸본천에 이르렀다. 그 토양이 기름지고 아름다우며, 산과 물이 험하고 단단한 것을 보고 드디어 도읍하려고 하였으나,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어 단지 비류수 가에 오두막을 짓고 살았다.
http://qindex.info/i.php?x=11479
 -0037 三國史記(1145) 高句麗
그 땅(도읍을 삼았던 졸본천 또는 흘승골성)이 靺鞨 부락에 잇닿아 있기에 침입과 도적질의 피해를 입을까 두려워하여 마침내 그들을 물리치니, 靺鞨이 두려워 굴복하고 감히 침범하지 못하였다. ▐ 이 당시에는 靺鞨이라는 용어가 없었으므로 원래 '이질적인 어떤 종족과 이웃하고 있었다'는 이야기였는데 훗날 '말갈과 이웃하고 있었다'는 이야기로 변경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http://qindex.info/i.php?x=2557
 -0037 三國誤記 高句麗
始祖(東明聖王→)鄒牟王 姓髙氏✘ 시조는 추모왕이다. 國號髙句麗 因以髙爲氏✘ ┆동명은 부여의 시조고 고구려의 시조는 광개토왕릉비(414)에 추모왕으로 나온다. 고씨 성은 407년 이전의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http://qindex.info/i.php?x=8222
 -0037 三國誤記 高句麗
始祖(東明聖王→)鄒牟王 姓髙氏✘ 시조는 추모왕이다. 國號髙句麗 因以髙爲氏✘ ┆동명은 부여의 시조고 고구려의 시조는 광개토왕릉비(414)에 추모왕으로 나온다. 고씨 성은 407년 이전의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http://qindex.info/i.php?x=30440
 -0037 「三國誤記」 高句麗
始祖(東明聖王→)鄒牟王 姓髙氏✘ 시조는 추모왕이다. 國號髙句麗 因以髙爲氏✘ ┆동명은 부여의 시조고 고구려의 시조는 광개토왕릉비(414)에 추모왕으로 나온다. 고씨 성은 407년 이전의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http://qindex.info/i.php?x=1297
 01 東明
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은 성이 고씨고 이름은 주몽(朱蒙)이다.
http://qindex.info/i.php?x=11888
 1145 三國史記 - 주몽
金蛙異之 幽閉於室中 爲日所炤 引身避之 日影又逐而炤之 因而有孕 生一卵 大如五升許
http://qindex.info/i.php?x=5468
 1145 三國史記 高句麗 1
先是 扶餘王解夫婁 老無子 祭山川求嗣 其所御馬至鯤淵 見大石 相對流淚 王怪之 使人轉其石 有小兒 金色蛙形 蛙一作蝸 王喜曰 此乃天賚我令胤乎 乃収而養之 名曰金蛙 及其長 立爲太子
http://qindex.info/i.php?x=23525
 1145 三國史記 高句麗 1
부여왕 해부루가 늙도록 아들이 없자 산천에 제사를 지내어 대를 이을 자식을 구하였다. 그가 탄 말이 곤연에 이르러 큰 돌을 보더니 마주 대하며 눈물을 흘렸다. 왕이 이를 괴상히 여겨 사람을 시켜 그 돌을 옮기니 어린아이가 있었는데 금색의 개구리 모양이었다. (蛙개구리를 蝸달팽이로 쓰기도 한다. 왕이 기뻐하며 말하기를 “이는 바로 하늘이 나에게 후사를 내려주신 것이다.”라고 하며 거두어 기르고 이름을 금와라 하였다. 그가 장성하자 태자로 삼았다.
http://qindex.info/i.php?x=23523
 1145 三國史記 高句麗 2
後其相阿蘭弗曰 日者天降我曰 將使吾子孫 立國於此 汝其避之 東海之濵有地 號曰迦葉原 土壤膏腴冝五穀 可都也 阿蘭弗遂勸王 移都於彼 國號東扶餘 其舊都有人 不知所從來 自稱天帝子解慕漱 來都焉
http://qindex.info/i.php?x=23513
 1145 三國史記 高句麗 2
재상 아란불이 “일전에 하늘이 저에게 내려와 말하기를 ‘장차 내 자손에게 이곳에 나라를 세우게 할 것이다. 너희는 그곳을 피하라. 동해 물가에 땅이 있으니 이름을 가섭원이라 하는데, 토양이 기름지고 오곡이 자라기 알맞으니 도읍할 만하다’라고 하였습니다.”라며 왕에게 권하여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고 나라 이름을 동부여라 하였다. 옛 도읍에는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어떤 사람이 스스로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칭하며 도읍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504
 1145 三國史記 高句麗 3
及解夫婁薨 金蛙嗣位 於是時 得女子於大白山南優㴾水 問之曰 我是河伯之女 名柳花 與諸弟出遊 時有一男子 自言天帝子解慕漱 誘我於熊心山下 鴨渌邊室中私之 即徃不返 父母責我無媒而從人 遂謫居優渤水
http://qindex.info/i.php?x=23505
 1145 三國史記 高句麗 3
해부루가 죽자 금와가 왕위를 이었다. 이때 대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여자를 만났다. 물으니 말하기를 “저는 하백의 딸이고 이름은 유화입니다. 여러 동생들과 함께 나가서 놀고 있었는데, 그때 한 남자가 있어 스스로 말하기를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하고 저를 웅심산 아래 압록강 인근의 방 안으로 꾀어 사통하고 곧바로 가서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부모는 제가 중매도 없이 다른 사람을 따라갔다고 꾸짖어 마침내 우발수에서 귀양살이하게 되었습니다.”라고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514
 1145 三國史記 高句麗 4
금와가 방 안에 가두었는데, 해가 비추어 몸을 끌어당겨 피하였으나 햇빛이 또 따라와 비쳤다. 그로 인하여 임신하여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다섯 되 정도 되었다. 왕이 알을 개와 돼지에게 주었으나 먹지 않았다. 길 가운데에 버렸으나 소나 말이 피하였다. 들판에 버렸더니 새가 날개로 덮어 주었다. 알을 쪼개려고 하였으나 깨뜨릴 수가 없자 그 어미에게 돌려주었다. 그 어미가 물건으로 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한 남자아이가 껍질을 부수고 나왔다.
http://qindex.info/i.php?x=23506
 1145 三國史記 高句麗 5
골격과 의표가 영특하고 호걸다웠다. 7살이 되자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의 속어에 활을 잘 쏘는 것을 朱蒙이라 하는데 그것으로 이름을 지었다. 금와에게는 일곱 아들이 있어 주몽과 함께 놀았는데 재주와 능력이 모두 주몽에 미치지 못하였다. 맏아들 帶素가 “주몽은 사람이 낳은 자가 아니며 용감합니다. 일찍 도모하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까 두려우니 그를 제거하소서.”라고 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고 그에게 말을 기르도록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507
 1145 三國史記 高句麗 6
주몽이 날랜 말을 알아보고 먹이를 줄여 야위게 하고 둔한 말은 잘 먹여 살찌게 하였다. 왕은 살찐 말을 자신이 타고 마른 말을 주몽에게 주었다. 후에 들판에서 사냥하였는데, 주몽이 활을 잘 쏘기 때문에 화살을 적게 주었으나, 주몽이 잡은 짐승이 매우 많았다. 왕자와 여러 신하들이 그를 죽이려고 모의하였다. 주몽의 어머니가 이를 알아차리고 “나라 사람들이 너를 해치려 한다. 머물다가 욕을 당하는 것보다 멀리 가서 뜻을 이루는 것이 낫겠다.”라고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508
 1145 三國史記 高句麗 7
朱蒙乃與鳥伊·摩離·陜父等三人爲友 行至淹淲水 一名盖斯水 在今鴨綠東北 欲渡無梁 恐爲追兵所迫 告水曰 我是天帝子 何伯外孫 今日逃走 追者垂及如何 於是 魚鼈浮出成橋 朱蒙得渡 魚鼈乃解 追騎不得渡
http://qindex.info/i.php?x=23515
 1145 三國史記 高句麗 7
주몽이 烏伊·摩離·陜父 등 세 명과 친구가 되어 가다가 엄사수(일명 개사수라고도 하는데 지금의 압록강 동북쪽에 있다)에 이르렀으나 다리가 없었다. 물에게 고하여 말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이다. 오늘 도망하여 달아나는데 추격자들이 다가오니 어찌하면 좋은가?”라고 하였다. 이에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다리를 만들었으므로 주몽이 건널 수 있었다. 물고기와 자라가 곧 흩어지니 추격해오던 기병들은 건널 수 없었다.
http://qindex.info/i.php?x=23509
 1145 三國史記 高句麗 8
朱蒙行至毛屯谷 魏書云 至音述水 遇三人 遂揆其能 各任以事 與之俱至卒夲川 魏書云 至紇升骨城 觀其土壤肥羙 山河險固 遂欲都焉 而未遑作宫室 伹結廬於沸流水上居之 國號髙句麗 因以髙爲氏
http://qindex.info/i.php?x=23510
 1145 三國史記 高句麗 8
주몽이 가다가 모둔곡에 이르러(위서에는 음술수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세 명을 만났다. 그 능력을 살펴 각기 일을 맡기고 그들과 함께 졸본천에 이르렀다.(위서에는 흘승골성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그 토양이 기름지고 아름다우며 자연 지세가 험하고 단단한 것을 보고 드디어 도읍하려고 하였으나,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었기에 단지 비류수 가에 초막을 짓고 살았다.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 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高를 성씨로 삼았다.
http://qindex.info/i.php?x=23516
 1145 三國史記 高句麗 9
一云 朱蒙至卒本扶餘 王無子 見朱蒙知非常人 以其女妻之 王薨 朱蒙嗣位 혹 말하기를 “주몽이 졸본부여에 이르렀는데 왕이 아들이 없었다. 주몽을 보고는 보통 사람이 아님을 알고 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 왕이 죽자 주몽이 왕위를 이었다.”라고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3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