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古代中国史 > -2070 九州 > ① 入于河

鳥夷는 순임금때의 北山戎發息慎東長鳥夷에 나오는 鳥夷로 보인다. 발해 동쪽에서 바닷길로 왔을 것이다. 하나라의 도읍은 황하 중류에 있었기 때문에 공물 운반의 최종 경로는 황하였다. 따라서 鳥夷의 공물도 황하로 들어왔을 것이다. 그렇다면 入于海는 入于河의 오기로 보아야 한다. 入于海는 강이나 산줄기가 바다로 들어갈 때 썼다.
 
尚書 夏書 禹貢
島夷皮服 夾右碣石 入于河
31320#31323 SIBLINGS CHILDREN 31323
 
-2278 ~ -0602 禹河故道
-2278 ~ -0602 禹河故道
고대의 공물 수송은 물길로 이루어졌고 하나라 때는 황하가 大陸澤을 지나갔다.
31320#31329 SIBLINGS CHILDREN 31329
 
-0091 「三國誤記」 史記 夏本紀 冀州
鳥夷皮服 夾右碣石 入于(海→)河 조이의 공물은 가죽옷인데 오른쪽으로 갈석산을 끼고 황하로 들어왔다. ▐ 鳥夷는 순임금때의 北山戎發息慎東長鳥夷에 나오는 鳥夷로 보인다. 발해 동쪽에서 바닷길로 왔을 것이다. 하나라의 도읍은 황하 중류에 있었기 때문에 공물 운반의 최종 경로는 황하였다. 따라서 鳥夷의 공물도 황하로 들어왔을 것이다. 그렇다면 入于海는 入于河의 오기로 보아야 한다. 入于海는 강이나 산줄기가 바다로 들어갈 때 썼다.
31320#31324 SIBLINGS CHILDREN 31324
 
Name Dictionary
Names are also vocabulary.
 
-0091 史記 入于海(6) 入于梅(1)
사기에서 入于海는 주로 강이 바다로 들어갈 때 쓰는 표현이다. 산줄기가 바다로 들어갈 때도 썼다.
31320#15685 SIBLINGS CHILDREN 15685
 
-0091 史記 入于河(4)
사기에서 入于河는 황하의 지류가 황하에 합쳐질 때 쓰는 표현이다.
31320#15686 SIBLINGS CHILDREN 15686
 
0082 漢書 地理志 冀州
鳥夷皮服 夾右碣石 入于河
31320#31325 SIBLINGS CHILDREN 31325
 
0581~0645 顔師古(漢書 82 武英殿二十四史 1735~1796)
鳥夷皮服(師古曰 此東北之夷 搏取鳥獸 食其肉而衣其皮也 一說 居在海曲 被服容止皆象鳥也)夾右碣石入于河(師古曰 碣石 海邊山名也 言禹夾行此山之右而入于河 逆上也)
31320#15154 SIBLINGS CHILDREN 151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