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81 通典
隋初 置昌黎郡 後兼置易州
http://qindex.info/i.php?x=6421
 0801 통전
煬帝初 州廢置上谷郡 양제 초기에 역주를 폐하고 상곡군을 설치했다.
http://qindex.info/i.php?x=6465
 0801 통전 上谷郡 1
東至范陽郡二百十四里。南至文安郡一百八十里。西至安邊郡飛狐縣一百四十里。北至媯川郡懷戎縣南界廢固城鎮……東南到文安郡一百八十里。西南到博陵郡北平縣一百四十里。西北到安邊郡三百二十里。東北到范陽郡良鄉縣界八十里。去西京二千二百九十七里,去東京一千四百六十二里。戶四萬四千九百十二,口二十四萬五千八百七。
http://qindex.info/i.php?x=5820
 0801 통전 上谷郡 2
동쪽 214리에 범양군이 있고 남쪽 180리에 문안군이 있으며 서쪽 140리에 안변군 비호현이 있고 북쪽으로 규천군 회융현 남쪽에 있는 폐쇄한 성과 진에 이른다. 동남쪽 180리에 문안군에 이르고 서남쪽 140리에 박릉군 북평현에 이르며 서북쪽 320리에 안변군에 이르고 동북쪽 80리에 밤양군 양향현의 경계에 이른다. 서경까지 2297리고 동경까지 1462리이며 44912호에 245807구다.
http://qindex.info/i.php?x=5866
 0801 통전 上谷郡 3
易州今理易縣春秋至戰國屬燕秦置上谷郡晉書曰在谷之上頭故曰上谷漢屬涿郡後漢因之晉為范陽國後魏亦為上谷郡隋初置昌黎郡後兼置易州煬帝初州廢置上谷郡大唐因之領縣八
http://qindex.info/i.php?x=6443
 0801 통전 上谷郡 4
역주는 지금의 역현을 관할하였다. 춘추시대부터 전국시대까지 燕에 속했는데 秦은 상곡군을 설치했다. 진서에는 '골짜기의 꼭대기에 있어 상곡이라 불렀다'고 되어 있다. 漢은 탁군에 소속시켰고 後漢도 그것을 이었다. 晉 때는 범양국이 되었고 拓跋魏 때는 다시 상곡군이 되었다. 隋 초기에 창려군을 설치한 후 역주도 함께 설치했으나 양제 초기에 폐하고 상곡군을 설치했다. 唐도 그것을 이었다. 8현이 있다.
http://qindex.info/i.php?x=6464
 0801 통전 上谷郡 5
易漢故安縣故城在今縣南有淶易二水有燕臺昭王求仙處又有漢范陽縣故城在縣東南 遂城古武遂也秦築長城之所起 淶水漢之遒縣遒即由反 容城漢舊縣 滿城 五迴 樓亭 阪城 -- 易 遂城 淶水 容城 滿城 五迴 樓亭 阪城
http://qindex.info/i.php?x=6450
 0801 통전 上谷郡 6
역현은 漢의 옛 안현이다. 옛 성이 지금 역현의 남쪽에 있다. 내수와 역수 두 강이 있다. 燕의 건물이 있는데 소왕이 신선을 찾던 곳이다. 漢의 범양현 옛 성도 현의 동남쪽에 있다. 수성은 옛 무수다. 秦이 장성을 쌓기 시작한 곳이다. 내수는 漢의 주현이다. 遒는 닥친다는 뜻이다. 용성은 漢의 옛 현이다. 만성. 오회. 누정. 판성.
http://qindex.info/i.php?x=64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