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5+
해방 직후 영천군 대창면에 인민위원회, 농민조합, 치안대(치안유지대) 등의 활동이 활발했고 자양면도 사정이 비슷했다. 당시 영천군 단위의 주요인물로는 임장춘, 임재식 형제가 있었고 영천 북부지역의 주요인물로는 황보집이, 남부지역의 주요인물로는 조규선, 조규용, 조규인 형제와 한석헌 등이 있었다. 자양면 치안유지대의 경우 20대 초반의 청년 20여 명이 구성하였고 그들의 활동은 면 단위로 지원을 받았다.
http://qindex.info/i.php?x=9258
• 1946.10.03 01:00
오전 1시경 수만 명의 주민들이 일제히 봉기해 읍내를 포위하여 통신망을 절단하고 군청, 경찰서, 우편국, 재판소, 등기소, 신한공사출장소 등과 지서, 면사무소 등을 습격하고 불태웠다. 40여 명의 경찰이 무장 해제되거나 납치되었으며 관리들도 다수 살해되고, 군수 이태수도 살해되었으며 한민당의 요인이자 영천의 대지주였던 이인석의 집도 공격을 받았다.
http://qindex.info/i.php?x=9232
• 1946.10.03+ 1
대창면에서는 한석헌을 대장으로 하는 치안대가 대창지서를 점령하였다. 자양면도 사정이 비슷하였다. 영천 북부지역의 경우 영천 북부지역의 중심지인 화북면 자천리 자천장터에 영천읍의 상인들이 트럭을 타고 들어와 선동하였으며, 이에 그 지역 농민들이 합세하여 ‘몽둥이패’가 되어 마을 단위로 돌아다니며 우익인사, 지주, 친일파 집에 불을 지르거나 가옥 파괴를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9259
• 1946.10.03ᑀ
봉기가 진압된 후 사건 관련자들은 팔공산, 유학산으로 입산하여 빨치산이 되었다. 유학산의 빨치산 수는 많지 않았다. 홍포수라는 사람이 유명하였다. 빨치산이 활동하던 유학산 인근 마을은 경찰의 탄압대상이 되었다. 1949년 또는 1950년에 유학산 벼랑골에서 민간인 학살사건도 있었다. 이후 한국전쟁기에는 인근의 아양골에서 민간인 학살사건이 있었다.
http://qindex.info/i.php?x=9264
• 1946.10.05+
외지에서 온 경찰에 의해 진압된 이후 군경과 빨치산의 대치상태가 지속되었다. 빨치산들은 봉홧불 올리기, 삐라 뿌리기, 길 끊기, 열차 탈취 등의 활동을 하였으며, 경북도당유격대와의 연계가 활발했다. 구술자 최일달은 이들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봉홧불 올리기 등에 동원되었다. 반면 구술자 이종만은 군경작전 시 현지 청년단원으로서 자주 동원되었다.
http://qindex.info/i.php?x=9260
• 1950-
군경의 진압과정에 민간인이 다수 살해되었으며, 이 지역에 들어온 서북청년단원이 민간인을 사살하거나 주민들을 집단폭행하는 사건도 자주 있었다. 이에 상당수의 청년들이 입산하여 빨치산유격대를 형성하여 군경과 빨치산의 내전에 버금가는 대치상태가 한국전쟁기까지 계속되었고 이에 따라 주민들의 피해도 막심하였다. 한국전쟁 전까지 영천지역에서 군경에 의해 학살된 민간인은 600여 명, 한국전쟁 기간에 국민보도연맹사건 등으로 학살된 민간인도 600여 명으로 추산된다.
http://qindex.info/i.php?x=9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