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664 熊津都督府 > 支潯州 > 隆化縣

居斯勿 ➔ 隆化 → 青䧺 → 巨寧 → 只沙 ▐ 삼국사기(1145)에는 백제 완산주의 居斯勿縣이 웅진도독부의 隆化縣이 되고 다시 신라 전주의 青䧺縣이 되었다가 왕고의 巨寧縣이 되었다고 나와 있다. 청구도(1834)에는 古居寧縣이 任實郡 只沙面에 표시되어 있어 있다.
 
 支潯州
支潯州
25048#25320 SIBLINGS CHILDREN 25320
 
0554 三國史記(1145)
십정(혹은 삼천당이라고도 이른다). 첫째는 음리화정, 둘째는 古良夫里정, 셋째는 居斯勿停으로 금장은 청색이다. 넷째는 삼량화정, 다섯째는 소삼정, 여섯째는 未多夫里정으로 금장은 흑색이다. 일곱째는 남천정, 여덟째는 골내근정으로 금장은 황색이다. 아홉째는 벌력천정, 열째는 이화혜정으로 금장은 녹색이다. 모두 진흥왕 5년에 두었다. ▐ 통일 후에 설치된 것이 아닌가?
25048#22128 SIBLINGS CHILDREN 22128
 
0660↶ 百濟 完山州
任實郡 馬突縣(一云馬珍) ❶居斯勿縣
25048#25049 SIBLINGS CHILDREN 25049
 
0660↶ 百濟 完山州 任實郡
25048#25333 SIBLINGS CHILDREN 25333
 
0664 熊津都督府
支潯州九縣┆巳汶縣夲今勿┆支潯縣夲只彡村┆馬津縣夲孤山┆子來縣夲夫首只┆解禮縣夲皆利伊┆古魯縣夲古麻只┆平夷縣夲知留┆珊瑚縣夲沙好薩┆❷隆化縣夲居斯勿
25048#25050 SIBLINGS CHILDREN 25050
 
0664 熊津都督府 支潯州
25048#8587 SIBLINGS CHILDREN 8587
 
0757 九州五小京 全州
任實郡 夲百濟郡 景徳王攺州郡名及今並因之 領縣二┆馬霊縣 夲百濟馬突縣 景徳王攺名 今因之┆❸青䧺縣 夲百濟居斯勿縣 景徳王攺名 今❹巨寧縣
25048#25051 SIBLINGS CHILDREN 25051
 
0757 九州五小京 全州 任實郡
25048#25743 SIBLINGS CHILDREN 25743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1834 靑邱圖 古居寧縣
金正浩의 靑丘圖에는 古居寧縣이 任實郡 只沙面에 표시되어 있어 거사물현은 현재의 전북 任實郡 지사면에 비정할 수 있다.
25048#25753 SIBLINGS CHILDREN 257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