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8 漢書(82)
遼東郡(秦置 屬幽州) 戶五萬五千九百七十二 口二十七萬二千五百三十九 縣十八 襄平(有牧師官 莽曰昌平) 新昌 無慮 望平 房 候城 遼隊 遼陽 險瀆 居就 高顯 安市 武次 平郭 西安平 文 番汗 沓氏
http://qindex.info/i.php?x=15499
 0008 漢書(82) 燕地東
遼東郡 襄平 新昌 無慮 望平 房 候城 遼隊 遼陽 險瀆 居就 高顯 安市 武次 平郭 西安平 文 番汗 沓氏 요동군(55972호 18현) 양평 신창 무려 망평 방 후성 요대 요양 험독 거취 고현 안시 무차 평곽 서안평 문 번한 답씨
http://qindex.info/i.php?x=6455
 0082 한서
遼東郡 縣十八 襄平 新昌 無慮 望平 房 候城 遼隊 遼陽 險瀆 居就 高顯 安市 武次(•東部都尉治 莽曰桓次) 平郭 西安平 文 番汗 沓氏
http://qindex.info/i.php?x=15619
 0082 한서
遼東郡 襄平 新昌 無慮 望平 房 候城 遼隊 遼陽 險瀆 居就 高顯 安市 武次 平郭 西安平 文 番汗(沛水出塞外西南入海 패수는 변방 바깥에서 나와서 서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沓氏
http://qindex.info/i.php?x=13860
 0082 한서
遼隊(莽曰順睦 師古曰隊音遂) 왕망은 순목이라고 했다. 안사고는 隊를 遂라 발음해야 한다고 했다.
http://qindex.info/i.php?x=15114
 0207? 응소(應劭)
朝鮮王滿都也 依水險 故曰險瀆 (요동군 험독현은) 조선왕 만의 옛 도읍이다. 물이 험한 곳에 있다고 해서 험독이라 부른다. ▐ 한나라는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후 조선에 낙랑군을 설치하고 도읍이었던 왕험에는 조선현을 설치하였다. 이로써 왕험은 모든 지명에서 사라졌다. 도읍이 지명에서 사라지는 것을 미처 생각하지 못한 응소가 비슷한 이름의 험독을 왕험으로 착각하게 된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13851
 0207± 應劭
番汗(應劭曰汗水出塞外西南入海番音盤) ▐ 청천강은 하구에서 북쪽의 대령강과 만나는데, 沛水와 汗水를 각각 청천강과 대령강으로 설정하면 될 듯하다.
http://qindex.info/i.php?x=5825
 0220 「三國誤記」 險瀆 應劭註
險瀆(朝鮮王滿都也 依水險 故曰險瀆)➔朝鮮(故王險也 燕人滿者渡浿水王之都 天子募罪人擊朝鮮 孫右渠發兵距險) 조선(옛 왕험이다. 연나라 사람 위만이 패수를 건너 그곳에 도읍하였다. 천자가 죄수를 모아 조선을 공격하자 손자 우거가 군사를 일으켜 험준한 곳에 주둔하였다.)┆險瀆과 王險을 혼동하였다.
http://qindex.info/i.php?x=1817
 0220 「三國誤記」 險瀆 臣瓚註
(險瀆→)朝鮮 王險城在樂浪郡浿水之東 此自是(險瀆→)朝鮮也 조선(왕험성은 낙랑군 패수의 동쪽에 있는데, 이것이 바로 조선이다.)┆險瀆과 王險을 혼동하였다.
http://qindex.info/i.php?x=15039
 0220 「三國誤記」 險瀆 師古註
險瀆 瓚說(是→)非也 험독(신찬은 틀렸다.)┆臣瓚은 險瀆과 王險을 혼동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9763
 0316- 신찬(臣瓚)
險瀆(臣瓚曰 王險城 在樂浪郡浿水之東 此自是險瀆也 師古曰 瓚說是也) 험독(왕험성은 낙랑군 패수의 동쪽에 있다. 이것이 험독이다. 사고는 신찬이 옳다고 했다.) ▐ 험독의 주석에 왕험성 이야기가 붙어 있다. 이는 응소의 착각이 이어진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14257
 0581~0645 顔師古
番汗(師古曰 沛音普蓋反 汗音寒)
http://qindex.info/i.php?x=15136
 望平
大遼水出塞外 南至安市入海 行千二百五十里 莽曰長說 師古曰 說讀曰悅
http://qindex.info/i.php?x=23602
 西安平
莽曰北安平
http://qindex.info/i.php?x=23605
 遼陽
大梁水 西南至遼陽入遼 莽曰遼陰
http://qindex.info/i.php?x=23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