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289 三國志(晉 陳壽) > > 0245 12 三國志(289)

其俗少綱紀 國邑雖有主帥 邑落雜居 不能善相制御 無跪拜之禮 居處作草屋土室 形如冢 其戶在上 舉家共在中 無長幼男女之別 其葬有棺無槨 不知乘牛馬 牛馬盡於送死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0289 三國志
其俗少綱紀 國邑雖有主帥 邑落雜居 不能善相制御 無跪拜之禮 居處作草屋土室 形如冢 其戶在上 舉家共在中 無長幼男女之別 其葬有棺無槨 不知乘牛馬 牛馬盡於送死
32288#34705 SIBLINGS CHILDREN COMMENT 34705
 
0289 三國志
그 풍속은 기강이 흐려서, 각 나라의 도읍에 비록 主帥가 있어도 읍락에 뒤섞여 살기 때문에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였다. 무릎을 꿇고 절하는 예 또한 없다. 거처는 초가에 토실을 만들어 사는데, 그 모양은 마치 무덤과 같았으며, 그 문은 윗부분에 있다. 온 집안 식구가 그 속에 함께 살며, 장유와 남녀의 분별이 없다. 그들의 장례에는 관은 있으나 곽은 사용하지 않는다. 소나 말을 탈 줄 모르기 때문에 소나 말은 모두 장례용으로 써버린다.
32288#23695 SIBLINGS CHILDREN 23695
 
0445 後漢書
邑落에 雜居하며 역시 城郭이 없다. 땅을 파서 움집을 만드니 그 모양이 마치 무덤같으며, 출입하는 문은 윗 부분에 있다. 跪拜할 줄을 알지 못하며, 長幼의 차례와 男女의 분별 따위의 예가 없다.
32288#21968 SIBLINGS CHILDREN 219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