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突(馬珍) ➔ 馬津 → 馬霊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
0548.01 三國史記(1145) 百濟
髙勾麗王平成 與濊謀 攻漢北獨山城 王遣使請救於新羅 羅王命将軍朱珍 領甲卒三千 發之 朱珍日夜兼程 至獨山城下 與麗兵一戰 大破之
고구려왕 평성(양원왕)이 예와 공모하여 한수 이북의 독산성을 공격해 왔다. 왕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요청하였다. 신라왕이 장군 주진을 시켜 갑병 3천 명을 거느리고 떠나게 하였다. 주진은 밤낮으로 행군하여 독산성 아래에 이르렀는데, 그곳에서 고구려 군사들과 일전을 벌여 크게 이겼다.
702#25867
SIBLINGS
CHILDREN
COMMENT
25867
•
0664 「솔까역사」 支潯州
馬津縣夲(孤山→)馬突 마진현은 본래 마돌이다.
▐ 삼국사기(1145)는 지심주를 변산반도 일대로만 생각하고 현들을 웅천주의 현에 대응시켰다. 그래서 지심주의 馬津도 원래 완산주의 馬突(馬珍)이었는데 웅천주의 烏山에 잘못 대응시켰다. 게다가 烏山도 후대에 개칭한 孤山으로 잘못 적어 馬津縣夲孤山이란 기술이 나온 것이다.
702#1292
SIBLINGS
CHILDREN
12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