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9.11.04 朝鮮王朝實録
조령을 내리기를 “요즘 안팎의 정세가 어수선하여 국운의 흥망에 대하여 예견할 수 없고 짐의 나라 형편이 외로우며 허약하여 일본의 보호에 의거하지 않으면 어떻게 그 존립을 보장할 수 있겠는가? 생각건대, 그와 같은 고약한 도당이 세계 형세에 어두워서 이따금 일본의 두터운 우의를 무시하려고 하다가 마침내는 전에 없던 변괴를 빚어냈으니 이는 바로 짐의 국가와 사직을 해치는 자이다."
http://qindex.info/i.php?x=11544
• 06세기 거제 농소리
주구(周溝)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봉분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졌던 것으로 보이는 대호의 구연과 원통형토기 등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사다리꼴의 석실 평면 형태, 나팔상의 짧은 연도와 묘도, 후벽에 사용된 요석(腰石), 문주석(門柱石), 문지방석, 문비석으로 이루어진 현문부의 구조 등은 일본의 전방후원분과 영산강 유역의 고분에서 나타나는 양상과 유사점이 있다.
http://qindex.info/i.php?x=2797
• 0720 日本書紀 0463
임나국사 전협신은 몰래 백제에 사람을 보내 제군에게 경계하여 "汝之領項 有何罕錮而伐人乎 너의 목이 얼마나 단단하기에 남을 치는가. 전하는 말을 듣건대 천황이 나의 아내와 사통하여 자식까지 있다고 한다. 今恐 禍及於身 可蹻足待 지금 두렵고 화가 내게 미치려 하는데 발돋움하고 기다릴 수야 있겠느냐. 내 아들인 너는 백제를 차지하고 앉아 일본에 통하지 않도록 하라. 나는 임나를 차지하고서 역시 일본에 통하지 않겠다."라고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11532
• 0720 日本書紀 0463
於是 弟君銜命 率衆 行到百濟 而入其國 國神化爲老女 忽然逢路 弟君就訪國之遠近 老女報言 復行一日 而後可到 弟君自思路遠 不伐而還
이에 제군은 명을 받들어 무리를 이끌고 백제에 도착하였다.
그 나라에 들어가는데 나라의 신이 늙은 여자로 변하여 홀연히 길에서 맞이하였다. 제군이 나라의 멀고 가까움을 묻자 늙은 여자가
"다시 하루를 더 간 다음에야 다다를 수 있다."
라고 대답하였다.
제군이 스스로 생각하기를 길이 멀다고 여겨 정벌하지 않고 돌아왔다.
http://qindex.info/i.php?x=11534
• 0720 日本書紀 0463
전협은 궁중에서 시종하고 있었는데 큰 소리로 친구들에게 치원에 대하여 말하기를,
"天下麗人 莫若吾婦 茂矣綽矣 諸子備矣 曄矣溫矣 種相足矣 鉛花弗御 蘭澤無加 천하의 미인들 중에서 내 아내만한 이가 없다. 빼어나게 아름다워 온갖 좋은 점을 갖추었고 환히 빛나고 온화하여 여러 가지 좋은 용모를 구비하였다. 화장도 필요 없으며 향수를 바를 것까지도 없다." 天皇 傾耳遙聽 而心悅焉 천황이 귀를 기울여 멀리서 듣고 마음속으로 기뻐하였다.
http://qindex.info/i.php?x=11535
• 0720 日本書紀 0369
고사산에 올라 함께 반석 위에 앉아 백제왕이 맹세하였다. “若敷草爲坐 恐見火燒 且取木爲坐 恐爲水流 풀을 깔아 자리를 만들면 불에 탈까 두렵고 나무로 만들면 물에 떠내려갈까 걱정됩니다. 故居磐石而盟者 示長遠之不朽者也 반석에 앉아 맹세하는 것은 오래도록 변치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是以 自今以後 千秋萬歲 無絶無窮 常稱西蕃 春秋朝貢 그러므로 지금 이후로는 천 년 만 년 영원토록 늘 서쪽 번국이라 칭하며 봄 가을로 조공하겠습니다”
http://qindex.info/i.php?x=1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