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영산강 유역과 일본의 복강현은 동일한 고고학적 양상을 띤다. 또 왜의 설화에는 신라가 등장하고 가라의 설화와 닮은 부분도 있다.
신라의 한국통일 이전에는 신라나 백제가 고려와 왜를 달리 보지 않았다.
›
(2) 왜와 신라 및 가라
신라는 왜의 설화에 등장하고 가라의 설화는 왜의 설화와 닮은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라 및 가라와 왜는 오래 전부터 교류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가라가 왜와 우호적이었던 데 반해 신라는 왜와 지속적으로 대립하였다.
2418#1898
COMMENT
›
(4) 왜와 백제
백제는 신라에 비해 늦게 왜와 교류를 하기 시작했지만 4세기 말에 왜가 한반도로 진출하면서부터 급속히 왜의 영향권 안으로 빨려들어갔다. 백제와 왜의 친밀한 관계는 백제가 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2418#2411
COMMENT
›
(5) 중국 사서의 왜
왜는 중국의 사서에 한보다 먼저 등장하고 조공의 기록도 빠르다. 또 남조의 기록에는 왜가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고 남조가 이를 승인하는 관작을 내리는 이야기도 나온다. 북조의 사서에서도 왜가 한국에 대해 우위에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2418#3439
COM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