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445 後漢書(范曄) >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0445 01 後漢書
韓有三種 一曰馬韓 二曰辰韓 三曰弁辰┆馬韓在西 有五十四國 其北與樂浪 南與倭接 辰韓在東 十有二國 其北與濊貊接 弁辰在辰韓之南 亦十有二國 其南亦與倭接 凡七十八國┆伯濟是其一國焉 大者萬餘戶 小者數千家 各在山海閒 地合方四千餘里 東西以海為限 皆古之辰國也┆馬韓最大 共立其種為辰王 都目支國 盡王三韓之地 其諸國王先皆是馬韓種人焉
31038#32311 SIBLINGS CHILDREN 32311
 
0445 01 솔까역사 後漢書
韓有三種 一曰馬韓 二曰辰韓 三曰 (弁辰→)弁韓 한은 세 종족이 있으니, 하나는 마한, 둘째는 진한, 셋째는 변한이다.
31038#31039 SIBLINGS CHILDREN 31039
 
0445 01 솔까역사 後漢書
馬韓在西 有五十四國 其北與樂浪 南與倭接 辰韓在東 十有二國 其北與濊貊接 (弁辰→)弁韓在辰韓之南 亦十有二國 其南亦與倭接 凡七十八國 마한은 서쪽에 있는데 54국이 있으며 그 북쪽은 낙랑, 남쪽은 왜와 접하여 있다. 진한은 동쪽에 있는데 12국이 있으며 그 북쪽은 예맥과 접하여 있다. 변한은 진한의 남쪽에 있는데 역시 12국이 있으며 그 남쪽은 왜와 접해 있다. 모두 78개 나라다.
31038#31040 SIBLINGS CHILDREN 31040
 
0445 01 솔까역사 後漢書
伯濟是其一國焉 大者萬餘戶 小者數千家 各在山海閒 地合方四千餘里 東西以海爲限 (皆→)辰韓者古之辰國也 백제는 그 중의 한 나라이다. 큰 나라는 만여 호, 작은 나라는 수천 가인데, 각기 산과 바다 사이에 있어서 전체 국토의 넓이가 방 4천여리나 된다. 동쪽과 서쪽은 바다를 경계로 한다. 진한은 옛 진국이다.
31038#31041 SIBLINGS CHILDREN 31041
 
0445 01 後漢書
馬韓最大 共立其種爲辰王 都目支國 盡王三韓之地 其諸國王先 皆是馬韓種人焉 마한이 가장 강대하여 그 종족들이 함께 왕을 세워 辰王으로 삼아 目支國에 도읍하여 전체 삼한 지역의 왕으로 군림하는데, 여러 나라 왕의 선대는 모두 마한 종족의 사람이다.
31038#32312 SIBLINGS CHILDREN 32312
 
0445 02 後漢書
馬韓人知田蠶 作綿布 出大栗如梨 有長尾雞 尾長五尺┆邑落雜居 亦無城郭 作土室 形如冢 開戶在上 不知跪拜 無長幼男女之別┆不貴金寶錦罽 不知騎乘牛馬 唯重瓔珠 以綴衣為飾 及縣頸垂耳 大率皆魁頭露紒 布袍草履┆其人壯勇 少年有築室作力者 輒以繩貫脊皮 縋以大木 嚾呼為健┆常以五月田竟祭鬼神 晝夜酒會 群聚歌舞 舞輒數十人相隨蹋地為節 十月農功畢 亦復如之┆諸國邑各以一人主祭天神 號為 天君 又立蘇塗 建大木以縣鈴鼓 事鬼神┆其南界近倭 亦有文身者
31038#32310 SIBLINGS CHILDREN 32310
 
0445 02 後漢書
마한 사람들은 농사와 양잠을 할 줄을 알며, 길쌈하여 베를 짠다.
31038#31044 SIBLINGS CHILDREN 31044
 
0445 02 後漢書
큰 밤이 산출되는데 그 크기가 배만큼 크며, 꼬리가 긴 닭이 있는데 꼬리의 길이는 5척이나 된다.
31038#32318 SIBLINGS CHILDREN 32318
 
0445 02 後漢書
邑落에 雜居하며 역시 城郭이 없다. 땅을 파서 움집을 만드니 그 모양이 마치 무덤같으며, 출입하는 문은 윗 부분에 있다. 跪拜할 줄을 알지 못하며, 長幼의 차례와 男女의 분별 따위의 예가 없다.
31038#32285 SIBLINGS CHILDREN 32285
 
0445 02 後漢書
金·보화·비단·모직물 등을 귀하게 여기지 않으며 牛·馬를 탈 줄을 모르고, 오직 구슬을 귀중히 여겨서 옷에 꿰메어 장식하기도 하고 목이나 귀에 달기도 한다. 그들은 대체로 머리를 틀어 묶고 상투를 드러내 놓으며, 베로 만든 도포를 입고 짚신을 신는다.
31038#32309 SIBLINGS CHILDREN 32309
 
0445 02 後漢書
그 나라 사람들은 씩씩하고 勇敢하여 젊은이들 중 築室하는 데서 일하는 사람은 매번 밧줄로 등의 가죽을 꿰어 큰 나무를 매어 달고 소리를 지르는데 건장하다고 한다.
31038#32314 SIBLINGS CHILDREN 32314
 
0445 02 後漢書
해마다 5월에는 농사일을 마치고 귀신에게 제사를 지내는데, 낮이나 밤이나 술자리를 베풀고 떼지어 노래부르며 춤춘다. 춤출 때에는 수십명이 서로 줄을 서서 땅을 밟으며 장단을 맞춘다. 10월에 농사의 추수를 끝내고는 또 다시 이와 같이 한다.
31038#32315 SIBLINGS CHILDREN 32315
 
0445 02 後漢書
여러 國邑에는 각각 한 사람이 天神의 제사를 주재하는데 天君이라 부른다. 또 蘇塗를 만들어 거기다가 큰 나무를 세우고서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긴다.
31038#32316 SIBLINGS CHILDREN 32316
 
0445 02 後漢書
남쪽 경계는 倭에 가까우므로 文身한 사람도 있다.
31038#32317 SIBLINGS CHILDREN 32317
 
0445 03 後漢書
辰韓 耆老自言秦之亡人 避苦役 適韓國 馬韓割東界地與之┆其名國為邦 弓為弧 賊為寇 行酒為行觴 相呼為徒 有似秦語 故或名之為秦韓┆有城柵屋室┆諸小別邑 各有渠帥 大者名臣智 次有儉側 次有樊秖 次有殺奚 次有邑借┆土地肥美 宜五穀 知蠶桑 作縑布 乘駕牛馬 嫁娶以禮 行者讓路┆國出鐵 濊倭馬韓並從巿之 凡諸貨易 皆以鐵為貨┆俗憙歌舞飲酒鼓瑟 兒生欲令其頭扁 皆押之以石
31038#32320 SIBLINGS CHILDREN 32320
 
0445 03 後漢書
辰韓은 그 노인들이 스스로 말하되, 秦나라에서 亡命한 사람들로서 苦役을 피하여 韓國에 오자, 마한이 그들의 동쪽 지역을 분할하여 주었다 한다.
31038#32321 SIBLINGS CHILDREN 32321
 
0445 03 後漢書
그들은 나라(國)를 邦이라 부르며, 弓은 弧라 하고, 賊은 寇라 하며, 行酒를 行觴이라 하고, 서로 부르는 것을 徒라 하여, 秦나라 말과 흡사하기 때문에 혹 秦韓이라고도 부른다.
31038#32322 SIBLINGS CHILDREN 32322
 
0445 03 後漢書
城栅과 家屋이 있다.
31038#32324 SIBLINGS CHILDREN 32324
 
0445 03 後漢書
모든 작은 邑에는 각각 渠帥가 있으니, 강대한 자를 臣智라 하고, 그 다음은 儉側, 그 다음은 樊秖, 그 다음은 殺奚, 그 다음은 邑借가 있다.
31038#32326 SIBLINGS CHILDREN 32326
 
0445 03 後漢書
토질이 비옥하여 5곡이 잘 자라며 누에치기와 뽕나무 가꿀 줄을 알고 비단과 베를 짠다. 소나 말을 타고 다니며 혼인은 예의에 맞게 하며 길에 다니는 사람들은 길을 양보한다.
31038#32325 SIBLINGS CHILDREN 32325
 
0445 03 後漢書
그 나라에는 鐵이 생산되는데 濊·倭·馬韓이 모두 와서 사 간다. 모든 무역에 있어서 鐵을 화폐로 사용한다.
31038#32327 SIBLINGS CHILDREN 32327
 
0445 03 後漢書
그들의 풍속은 노래하고 춤추며 술마시고 비파뜯기를 좋아한다. 아이를 낳으면 머리가 납작하게 되도록 하려고 모두 돌로 눌러 놓는다.
31038#32328 SIBLINGS CHILDREN 32328
 
0445 04 後漢書
弁辰與辰韓雜居 城郭衣服皆同 言語風俗有異 其人形皆長大 美髮 衣服絜清 而刑法嚴峻 其國近倭 故頗有文身者
31038#32330 SIBLINGS CHILDREN 32330
 
0445 04 솔까역사 後漢書
(弁辰→)弁韓與辰韓雜居 城郭衣服皆同 言語風俗有異 其人形皆長大 美髮 衣服 絜淸 而刑法嚴峻 변한 사람들은 진한 사람들과 뒤섞여 사는데, 성곽과 의복은 모두 같으나 언어와 풍속은 다른 점이 있다. 그 사람들의 모습은 모두 신체가 장대하고 머리칼이 아름다우며, 의복은 깨끗하고 형법은 엄격하다.
31038#32332 SIBLINGS CHILDREN 32332
 
0445 04 後漢書
其國近倭 故頗有文身者 변진은 왜국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문신한 사람이 상당히 있다.
31038#32333 SIBLINGS CHILDREN 32333
 
0445 05 後漢書
初 朝鮮王準為衛滿所破 乃將其餘眾數千人走入海 攻馬韓 破之 自立為韓王 準後滅絕 馬韓人復自立為辰王┆建武二十年 韓人廉斯人蘇馬諟等詣樂浪貢獻 光武封蘇馬諟為漢廉斯邑君 使屬樂浪郡 四時朝謁┆靈帝末 韓濊並盛 郡縣不能制 百姓苦亂 多流亡入韓者
31038#32334 SIBLINGS CHILDREN 32334
 
0445 05 後漢書
初 朝鮮王 準爲衛滿所破 乃將其餘衆數千人走入海 攻馬韓 破之 自立爲韓王 (集解 惠棟曰 魏志云 其子及親 留在國者 因冒姓韓氏 準王海中 不與朝鮮相往來 準後滅絶 馬韓人復自立爲辰王) 과거에 조선왕 준이 위만에게 패하여, 자신의 남은 무리 수천명을 거느리고 바다로 도망, 마한을 공격하여 쳐부수고 스스로 한왕이 되었다. 준의 후손이 절멸되자, 마한 사람이 다시 자립하여 진왕이 되었다.
31038#32335 SIBLINGS CHILDREN 32335
 
0445 05 後漢書
44년에 韓의 廉斯 사람인 蘇馬諟 등이 樂浪에 와서 공물을 바쳤다. 光武帝는 蘇馬諟를 封하여 漢의 廉斯邑君으로 삼아 樂浪郡에 소속시키고 철마다 朝謁하도록 하였다.
31038#32336 SIBLINGS CHILDREN 32336
 
0445 05 後漢書
靈帝 말년에 韓과 濊가 모두 강성해져 郡縣이 제대로 제압하지 못하자, 난리에 고통스러운 백성들이 韓으로 도망하여 流入하는 경우가 많았다.
31038#32337 SIBLINGS CHILDREN 32337
 
0445 06 後漢書
馬韓之西 海島上有州胡國 其人短小 髡頭 衣韋衣 有上無下 好養牛豕 乘船往來 貨市韓中
31038#32338 SIBLINGS CHILDREN 32338
 
0445 06 後漢書
馬韓之西 海㠀上有州胡國 其人短小 (集解 沈欽韓曰 魏志 人下有差字) 髡頭 衣韋衣 有上無下 好養牛豕 乘船往來貨市韓中 마한의 서쪽 바다의 섬 위에 주호국이 있다. 그 나라 사람은 키가 작고 머리를 깎으며, 가죽 옷을 입는데 상의만 입고 하의는 입지 않는다. 소나 돼지 기르기를 좋아하며, 배를 타고 왕래하면서 한의 국중에서 물건을 사고 판다.
31038#32339 SIBLINGS CHILDREN 323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