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script
위의 지도는 현재 일본과 한국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임나경영설 지도입니다.
이 지도는 4읍을 차현 남쪽으로 4현을 영산강 유역으로 비정해 놓았는데, 이는 뒤바뀐 것입니다.
일본서기에는 웅진이 하치리의 별읍이라고 되어 있으므로 하치리를 포함하는 4현은 차현 남쪽이 어울리고, 남쪽 오랑캐인 침미다례를 정벌하자 4읍이 항복해 왔다고 되어 있으므로 4읍은 호남이 어울립니다.
또 임나의 영역을 낙동강 상류까지 잡았는데, 이는 고령가야와 성산가야 때문인 듯 ...
33721#33728
SIBLINGS
CHILDREN
33728
•
2 script
일본 학자들이 만든 임나의 변천 과정을 요약하면, 왜가 369년에 북쪽으로 車峴과 鷄立嶺까지, 서쪽으로 父岳과 黄山河까지 차지하였는데, 이후 신라가 炭峴까지 잠식하고, 475년에는 백제에게 蘆嶺 이북을 주었으며, 512년에서 532년 사이에는 백제와 신라가 각각 섬진강 유역과 낙동강 동편까지 차지하였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일본서기에는 369년에 왜가 比利·辟中·布彌支·半古를 백제에게 주었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 지역은 車峴과 鷄立嶺 이북에 ...
33721#33750
SIBLINGS
CHILDREN
33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