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289 三國志(晉 陳壽) > > 0245 19 三國志(289)

辰韓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 自言古之亡人避秦役來適韓國 馬韓割其東界地與之 有城柵 진한은 마한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노인들은 대대로 전하여 말하기를, “옛날의 망명인으로 진나라의 고역를 피하여 한국으로 왔는데, 마한이 그들의 동쪽 땅을 분할하여 우리에게 주었다.” 고 하였다. 그곳에는 성책이 있다.
 
-0209⁺ 0265± 魏略
陳項起 天下亂 燕齊趙民愁苦 稍稍亡往準 準乃置之於西方 진승과 항우가 기병하여 천하가 어지러워지자 燕·齊·趙의 백성들이 괴로움을 견디다 못해 차츰 차츰 準에게 망명하므로 準은 이들을 서부 지역에 거주하게 하였다. ▐ 準은 후대에 만들어진 인물일 수 있다. 그러나 滿 이전에 이미 조선에 秦의 유민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사기(-91)의 기록과도 어울린다.
5803#5768 SIBLINGS CHILDREN 5768
 
-0195 -0091 史記
燕王盧綰反入匈奴滿亡命聚黨千餘人魋結蠻夷服而東走出塞渡浿水居秦故空地上下鄣稍役屬眞番朝鮮蠻夷及故燕齊亡命者王之都王險 연왕 노관이 배반하고 흉노로 들어가자 만도 망명하였다. 무리 천여 인을 모아 몽치 머리에 오랑캐의 복장으로 동쪽으로 도망하여 요새를 나와 패수를 건너 秦의 옛 빈 땅인 상하장에 살았다. 점차 진번과 조선의 오랑캐 및 옛 燕과 齊의 망명자를 복속시켜 거느리고 왕이 되었으며 왕험에 도읍을 정하였다. ▐ 故燕齊亡命者는 秦이 혼란할 때 들어온 유민일 것이다
5803#32295 SIBLINGS CHILDREN 32295
 
-0195 -0091 史記
燕丹散亂遼間 蒲收其亡民 厥聚海東 以集真藩 葆塞為外臣 연과 단의 무리가 요를 어지럽힐 때 만은 유민을 거두어 해동에 모아 眞番에 집결시키고 변방의 외신이 되었다.
5803#32296 SIBLINGS CHILDREN 32296
 
-0109⁻ 0265± 魏略
初 右渠未破時 朝鮮相歷谿卿以諫右渠不用 東之辰國 時民隨出居者二千餘戶 亦與朝鮮貢蕃不相往來 일찍이 우거가 격파되기 전에, 조선 상 역계경이 우거에게 조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동쪽의 진국으로 갔다. 그 때 백성으로서 그를 따라가 그 곳에 산 사람이 2천여 호나 되었는데, 그들도 역시 조선에 조공하는 번국과는 서로 왕래하지 않았다. ▐ 辰國은 사기(-91)에서 眞番旁衆國이라 한 것을 판본에 따라 眞番旁辰國으로 잘못 표기하는 바람에 생겨났을 수 있다.
5803#32297 SIBLINGS CHILDREN 32297
 
0082 漢書
樂浪海中有倭人 分為百餘國 以歲時來獻見云 낙랑의 바다 가운데에 왜인이 산다. 백여국으로 갈라져 있다. 해마다 조공을 한다. ▐ 樂浪과 倭 사이에 있었을 韓은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韓은 후대에 생겨났을 수 있다.
5803#32298 SIBLINGS CHILDREN 32298
 
0163⁻ 潛夫論
其後韓西亦姓韓爲衛滿所伐遷居海中 그후 한서도 역시 한씨 성을 사용하였는데, 위만의 침공을 받아 바다 가운데로 옮겨갔다. ▐ 위만에게 쫓겨난 조선의 왕에 대해 韓씨고 바다로 도망갔다는 이야기는 -195년의 이야기인데 사기(-91)와 한서(82)에는 나오지 않고 350여년이나 지난 잠부론(163⁻)에 처음 나타난다. 사서에서 韓이 나타난 이후 眞番이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에 眞番이 韓이 되었을 가능성이 생긴다.
5803#32299 SIBLINGS CHILDREN 32299
 
0289 三國志
辰韓者 古之辰國也 진한은 옛 진국이다. ▐ 辰國은 사기(-91)에서 眞番旁衆國이 판본에 따라 眞番旁辰國으로 잘못 표기되는 바람에 생겨났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조선상 역계경이 훗날 辰韓으로 불려지는 지역으로 이주했다는 이야기는 부정되지 않는다.
5803#32304 SIBLINGS CHILDREN 32304
 
0289 「솔까역사」 三國志
辰韓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 自言古之亡人避秦役來適(韓國→)真番 (馬韓→)真番割其東界地與之 진한은 마한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노인들이 대대로 전하여 말하기를, “옛날의 망명인으로 진나라의 고역를 피해 진번으로 왔는데, 진번이 그들의 동쪽 땅을 분할하여 우리에게 주었다.” 고 하였다.
5803#18259 SIBLINGS CHILDREN 18259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0289 ◾
眞番은 사기(-91)와 한서(82)에 나타나다 위략(265±)과 삼국지(289)부터는 나타나지 않는다. 韓國은 반대로 사기와 한서에 나타나지 않다가 위략과 삼국지에서부터 나타난다. 있던 땅이 없어지거나 없던 땅이 새로 생겨나지는 않을 것이므로 眞番이 韓國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다.
5803#32306 SIBLINGS CHILDREN 32306
 
0289 三國志
其言語不與馬韓同 名國為邦 弓為弧 賊為寇 行酒為行觴 相呼皆為徒 有似秦人 非但燕齊之名物也 그들의 말은 마한과 달라 나라를 邦이라 하고 활을 弧라 하고 도적을 寇라 하고 술잔을 돌리는 것을 行觴이라 하고 서로 부르는 것을 모두 徒라 하여 秦나라 사람들과 흡사하니 단지 燕과 齊의 명칭만은 아니었다.
5803#32300 SIBLINGS CHILDREN 32300
 
0289 三國志
名樂浪人為阿殘 東方人名我為阿 謂樂浪人本其殘餘人 今有名之為秦韓者 낙랑 사람을 阿殘이라 하였는데, 동방 사람들은 나라는 말을 阿라 하였으니 낙랑인들은 본디 그 중에 남아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지금도 秦韓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다. ▐ 避秦役來라고 하였으므로 滿 이전에 조선으로 흘러온 秦의 유민을 말한다. 그렇다면 阿殘은 사기(-91)에서 滿朝鮮의 건국에 참여했다고 언급한 故燕齊亡命者일 것이다.
5803#32301 SIBLINGS CHILDREN 32301
 
0289 三國志
其十二國屬辰王 辰王常用馬韓人作之 世世相繼 辰王不得自立為王 그 중에서 12국은 진왕에게 소속되어 있다. 진왕은 항상 마한 사람으로 왕을 삼아 대대로 세습하였으며, 진왕이 자립하여 왕이 되지는 못하였다.
5803#32302 SIBLINGS CHILDREN 32302
 
0289 三國志·魏略
明其為流移之人 故為馬韓所制 그들은 옮겨온 사람들이 분명하기 때문에 마한의 제재를 받는 것이다.
5803#32303 SIBLINGS CHILDREN 32303
 
0445 後漢書
辰韓은 그 노인들이 스스로 말하되, 秦나라에서 亡命한 사람들로서 苦役을 피하여 韓國에 오자, 마한이 그들의 동쪽 지역을 분할하여 주었다 한다.
5803#21973 SIBLINGS CHILDREN 21973
 
0636 梁書
전하는 말에 의하면 秦 때 유망인들이 역을 피하여 마한으로 가니, 마한에서는 동쪽 땅을 분할하여 그들을 살게 하였고 그들이 秦 사람인 까닭에 그 나라 이름을 秦韓이라 하였다고 한다.
5803#5769 SIBLINGS CHILDREN COMMENT 5769
 
0648 晉書
辰韓 사람들이 스스로에 대해 말하기를, 秦에서 망명한 사람들로서 고역을 피하여 韓에 들어왔는데, 韓이 동쪽 지역을 분할하여 그들을 살게 하였다고 한다.
5803#5770 SIBLINGS CHILDREN COMMENT 5770
 
0659 北史
대대로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秦 때 유망인들이 역을 피하여 가자, 마한에서는 그 동쪽 지경을 분할하여 그들을 살게 하고, 그들이 秦 사람인 까닭에 그 나라 이름을 秦韓이라 하였다고 한다.
5803#5771 SIBLINGS CHILDREN COMMENT 5771
 
1145 三國史記
예전에 중국인들이 秦의 난리를 괴로워하여 동쪽으로 온 자들이 많았다. 마한 동쪽에 자리잡고 진한과 뒤섞여 산 경우가 많았다. 이때에 이르러 점점 번성하자 마한이 이를 싫어하여 책망하였다.
5803#5772 SIBLINGS CHILDREN COMMENT 5772
 
1145 三國史記
옛 사서에는 秦·漢의 난리 때, 중국 사람이 海東으로 많이 도망왔다고도 한다.
5803#6894 SIBLINGS CHILDREN COMMENT 6894
 
1145 三國史記
朝鮮 유민들이 산곡 사이에 나뉘어 살아 6촌을 이루었다. 이것이 辰韓 6부가 되었다.
5803#32307 SIBLINGS CHILDREN 32307
 
1281 三國遺事
최치원이 말하기를 “진한은 본래 연나라 사람으로서 도피해 온 자들이므로 涿水의 이름을 따서 그들이 사는 고을과 동리 이름을 沙涿·漸涿 등으로 불렀다.” 신라 사람들의 방언에 涿 자를 읽을 때 발음을 도(道)라고 한다. 그러므로 지금도 혹 沙梁이라 쓰고, 梁을 또한 도(道)라고도 읽는다.
5803#2115 SIBLINGS CHILDREN COMMENT 2115
 
1281 ◾拒馬河
涿水
5803#15641 SIBLINGS CHILDREN 15641
 
1281 ◾涿鹿县
5803#15642 SIBLINGS CHILDREN 15642
 
1778 東史綱目
按 今我人稱梁爲道乙 若露梁津稱露道乙是也 辰韓雖燕人 而後秦統一 故通稱 古人秦辰通用 據左傳辰嬴 亦可傍證 상고하건대 지금 우리 나라 사람이 梁을 일컬어 道乙이라 하니 마치 露梁津을 露道乙로 일컫는 것과 같은 것이 바로 이것이다. 辰韓이 비록 燕人이나 후에 秦이 통일하였기 때문에 통칭하였고, 옛사람들이 秦과 辰을 통용하였다. 左傳의 辰嬴을 상고하여도 방증이 될 수 있다.
5803#32782 SIBLINGS CHILDREN 32782
 
秦(燕·齊) → 朝鮮 → 眞番
秦 말기에 燕과 齊의 유민이 반도로 흘러왔는데, 일부는 朝鮮에 정착하고 일부는 眞番으로 갔다. 朝鮮에 정착한 유민은 眞番으로 이주한 유민들이 阿殘이라 불렀는데, 滿朝鮮의 건국에 참여하였다. 眞番으로 이주한 유민은 眞番이 동쪽 땅을 떼어주어 살게 하였다. 滿朝鮮이 망할 무렵 역계경은 2천여호를 데리고 이곳으로 갔다. 훗날 眞番이 韓國으로 바뀌자 이곳은 辰韓 또는 秦韓으로 불리게 되었다.
5803#32683 SIBLINGS CHILDREN 326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