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羅民族論
漢나라는 위만朝鮮 병합과 漢사군 설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箕子동래설을 부풀렸다. 이어서 반도의 중남부 지역마저 차지하려고 韓王 이야기를 날조해 내서 옛 眞番 지역을 韓國이라 부르고 辰國도 이 韓國에 넣어 辰韓이라 불렀다. 辰韓에서 나온 新羅는 옛 眞番 지역과 濊를 통합하였는데, 이때 우리 민족이 형성되었다. 新羅 왕조를 교체한 王氏는 자신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高麗를 韓國史에 끼워넣고 三國史記를 편찬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666
  · − + ε δ − + ·
start x┆start - 0.1 seconds┆start + 0.1 seconds┆ε↔x┆δ↔ε┆end - 0.1 seconds┆end + 0.1 seconds┆end x ▐ 좌우의 ·은 각각 start와 end 설정을 취소하는 것이고 -와 +는 start와 end를 각각 0.1초씩 앞당기거나 뒤로 물리는 버튼이다. δ는 단어의 뜻일 경우에 설정하고 ε은 단어의 예문일 경우에 설정한다.
http://qindex.info/i.php?x=22318
  50 60 70 80 90 100
volume in percentage
http://qindex.info/i.php?x=22320
  ᐥ김대중협정은 해방 이후 최대 친일ᐥ
http://qindex.info/i.php?x=17281
  ❶ 생산에 기여한 만큼 물질을 분배해야 한다.
공산주의 공동분배는 게으른 자가 부지런한 자의 생산물을 훔쳐간다. 시장을 통해 분배가 이루어지면 이런 도둑질은 사라진다. 시장경제의 정의는 생산에 기여한 만큼 물질을 분배하는 것이다. 그러나 토지의 매매 차익은 생산에 대한 기여 없이 물질을 분배받는 것으로 시장경제의 정의를 훼손한다. 토지공개념은 이런 도둑질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므로 당연히 공산주의에서 벌어지는 도둑질도 반대하고 그래서 반공(反共)이다. 또 공기업 민영화와도 통한다.
http://qindex.info/i.php?x=17040
  ❷ 토지 불산소득을 얻는 사람은 토적이다.
불산소득(不産所得)은 생산에 기여하지 않고 물질을 분배받는 것으로 일종의 도둑질이다. 생산에 대한 기여는 노동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자본의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땅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땅이 생산에 기여하는 정도는 임대료 정도이며 부동산 매매 차익은 생산에 대한 기여 없이 물질을 분배받는 불산소득이다. 토지를 통해 불산소득을 얻는 사람을 토적(土賊)이라 한다.
http://qindex.info/i.php?x=17082
  ❸ 불로소득이 아니라 불산소득이 나쁘다.
불로소득(不勞所得)이란 표현은 노동을 하지 않고 물질을 분배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표현은 정당하지 않은 소득을 가리킬 때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노동을 하지 않고 물질을 분배받는 것이 정당하지 않다는 뜻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노동만이 유일한 가치를 지닌다는 공산주의적 발상이다. 시장경제에서는 노동 외에도 자본과 땅 등을 생산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정한다. 그렇다면 정당하지 않은 소득에서 그러한 것들은 빼야 한다. 그것이 바로 불산소득(不産所得)이다.
http://qindex.info/i.php?x=17174
  ❹ 땅은 나라가 가지고 집은 사람이 가진다.
이것이 토지 불산소득을 없애는 근본적인 방법이다. 기존의 사유 재산권을 존중하면서 이러한 상태에 이르려면 오랜 기간에 걸쳐 사유지를 사들여 국유지의 비율을 높여나가는 방법을 써야 한다. 지금 토지공개념이라 불리는 법률은 사유지가 남아 있는 동안만 적용되는 과도기적인 것이다. 국유지에서는 개인이 국가에 임대료를 내고 주택, 공장, 농장 등을 구축하여 이용하거나 거래하게 된다. 우리는 이제 하나로 묶여 있는 부동산에서 땅과 집을 분리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http://qindex.info/i.php?x=17147
  ❺ 토지공개념 때문에 위헌 판결을 받은 법률은 없다.
토지공개념이 적용된 법률의 일부가 중복과세, 형평성, 과도한 제한 등의 문제로 위헌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택지 소유에 상한을 둔다거나 개발 이익을 환수한다거나 토지 초과 이득에 세금을 물린다거나 하는 법률의 기본 취지는 위헌 판결을 받은 적이 없다. 그래서 위헌 판결을 받은 부분을 삭제하거나 수정한 법률은 계속 살아 있거나 이후의 위헌 소송에서 합헌 판결을 받았다. 그도 그럴 것이 토지공개념은 비슷한 개념이 이미 헌법에 들어가 있다.
http://qindex.info/i.php?x=15330
  ❻ 토지 사유재산권은 이전부터 침해받고 있었다.
토지용도지역은 사유지의 용도를 제한하는 것이고 개발제한구역은 사유지의 개발을 제한하는 것이며 토지거래허가제는 사유지의 거래를 제한하는 것이다. 모두 공공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이익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토지공개념과 맥락이 같다. 다만 토지공개념의 토지초과이득세와 개발이익환수는 토지의 사용이나 거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 이익의 일부를 환수하는 것이다. 토지의 거래 이익이 불산소득(不産所得)이다.
http://qindex.info/i.php?x=17102
  ❼ Henry George의 주장은 한국에 맞지 않는다.
토지의 사유를 허용하되 임대 수익만 몰수하면 된다는데, 이것은 토지가 생산에 기여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잘못된 생각이다. 토지는 임대료만큼 생산에 기여한다. 그리고 임대 수익이 없다면 안쓰는 땅도 남에게 빌려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생산에 활용되지 못하고 놀고 있는 아까운 땅이 많아질 것이다. 또 한국에서는 임대 수익이 아니라 매매 차익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19세기 미국 학자 Henry George의 주장과는 근본적으로 맞지 않는다
http://qindex.info/i.php?x=17294
  ❾ 토지 불산소득에 대한 기대감과 소외감
은행에서 많은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것은 이자보다 매매 차익이 훨씬 클 것이라는 계산 때문이고 또 집값이 오르면 집이 없는 사람은 손해를 보기 때문에 애써 집을 사려고 한다. 모두 토지 불산소득에 대한 기대감이 근본적인 원인이다. 토지 불산소득은 정당하지 못한 분배다. 이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그에 바탕하여 국유지의 비율을 높여나가는 장기적인 국가 목표를 제시할 때, 토지 불산소득에 대한 기대감도 사라지고 시장경제의 정의도 회복할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17311
  荒唐古記 序 1
荒唐古記(황당고기)는 신라말 도인 肝疸夫(간달부)가 저술한 한민족 비밀역사책이다. 황당고기가 씌어질 당시는 신라에서 왕씨고려로 왕조가 교체되는 시기였는데, 신라를 멸하고 새 왕조를 세운 왕고는 자신들의 정통성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10만년 한민족 웅비의 역사를 말살하기로 하고 신라에 전해 내려오던 역사책들을 모두 불살라 없애버렸다.
http://qindex.info/i.php?x=17306
  荒唐古記 序 2
그러나 다행히 태워지기 직전에 있던 舊約秘話(구약비화), 半指遺錄(반지유록), 武俠通鑑(무협통감) 세 권의 책을 간달부가 필사해 두었다가 나중에 황당고기 한 권으로 엮어내면서 한민족사는 가까스로 사라질 위기를 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황당고기를 가진 자는 모두 죽임을 당하게 되므로 간달부는 젊은이들 중에 나은 놈들만 뽑아서 만들었다는 신라의 비밀지하조직 이놈이낫지(Illuminati) 요원들에게 책의 내용을 모두 외우게 한 후 스스로 불태워 없애 버렸다.
http://qindex.info/i.php?x=1276
  荒唐古記 序 3
그후 간달부는 금강산 깊은 계곡으로 들어가 폭포 아래에 있는 구룡 동굴에 숨어 살고 있었는데, 끝내 왕고가 보낸 자객 척준의 습격을 받고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 간달부는 죽기 직전 이놈이낫지 요원 관술에게 유언을 남겨 황당고기를 절대 문자로 기록하지 말고 구전으로만 전할 것이며 1000년이 지난 후 麟討耐鬪(인토내투)에 올리라고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1282
  + ↑ ×
bookmark┆5 seconds ago┆close ▐ +는 일반인들에게 보여지는 창을 띄우는 것이고 ↑는 5초 전부터 재생하는 것이며 ×는 창을 닫는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22319
  summary
편찬 시기는 기원전 109년에서 기원전 91년 사이로 추정된다. 사마천은 사기를 완성한 후 딸에게 맡겼는데 선제(-73 ~ -48) 시대에 이르러 외손자 양운에 의해 널리 퍼지게 되었다. 본래는 太史公書였으나 후한 말기에 이르러 太史公記로도 불리게 되었으며 줄여서 史記라 하게 되었다. 本紀 12권, 表 10권, 書 8권, 世家 30권, 列傳 70권으로 구성된 紀傳體 형식이다.
http://qindex.info/i.php?x=23955
  summary
漢의 高祖 元年(-206)부터 新의 地皇 四年(23)까지 229년의 역사를 기록하였다. 紀12편, 表8편, 志10편, 傳70편 그리고 共10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http://qindex.info/i.php?x=7787
  summary
1145년경에 김부식 등이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삼국시대의 역사서로 본기 28권(고구려 10권, 백제 6권, 신라 12권), 志 9권, 표 3권, 열전 1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는 三國史였으나 후대에 三國史記로 불리게 되었다. 같은 紀傳體 사서인 사마천의 太史公書가 太史公記를 거쳐 史記라 불리게 된 것과 비슷하다.
http://qindex.info/i.php?x=23954
  ᐥ전두환 회고록은 귀중한 역사자료ᐥ
최근 출간된 <전두환의 마지막 33년>(사이드웨이) 작가 정아은은 이 논픽션을 쓰면서 <전두환 회고록>과 <전두환 육성 증언>을 파고들었다. 책에 가장 많이 인용한 문헌이 이 두 책이다. 이렇게 요긴하게 인용되는 회고록을 출판금지시킨 것은 국민들의 눈과 귀를 막겠다는 것이 아닌가?
http://qindex.info/i.php?x=17066
  ᐥ중국분할공정은 중국의 패권주의에 대한 견제ᐥ
서양과 일본의 제국주의로부터 피해를 입었던 중국이 지금은 스스로 제국주의적 야심을 드러내고 가해자가 되려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명분이 상당히 유치해서 주변국들은 두려움을 느끼기보다 짜증을 내고 있다.
http://qindex.info/i.php?x=17241
  ← ↓ →
previous┆stop┆play·return ▐ ←를 누르면 마지막 stop 바로 전의 stop시각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을 누르면 재생이 중단되고 0.4초 전의 시각이 address에 찍힌다. 0.4초는 반응 속도를 감안한 것이다. →를 누르면 중단 상태일 때는 중단된 재생이 다시 계속되고 재생중일 때는 start 시각 또는 동영상의 처음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http://qindex.info/i.php?x=22317
  卷一 荒國本紀 降臨 2
그리고 나서 桔鰻瓷霰(길만자로)산에 내려와 보리수나무 아래에 신시를 베풀었으니 이 때가 지금으로부터 10만년 전의 일이었다. 여와가 다스린지 9만년이 되자 顧離喇(고리나)와 蘿邇蘊(나이온)이 찾아와 사람이 되기를 원하므로 진화경으로 도모했으나 고리나만 성공하여 閼褒女(알포녀)가 되었으나 나이온은 실패하여 그만 顧囊離(고낭이)가 되고 말았다.
http://qindex.info/i.php?x=1362
  卷二 荒國本紀 濁酒大戰 1
황국을 세운 10 탱구리는 2333년간 나라를 다스리다 아들 紇率靂(흘률력)에게 물려주었고 흘률력은 1501년간 나라를 다스리다 아들 隷乙猫(례을묘)에게 물려주었다. 례을묘가 황기 4999년(서기전 5001년)에 죽자 그의 아들 催藕(최우)가 4대 천황의 자리에 올랐다. 화하를 비롯한 6국은 원래 황국에 조공을 하고 책봉을 받았다. 그러나 皇帝櫶燼(황제헌신)에 이르러 역심을 품었다.
http://qindex.info/i.php?x=1375
  卷二 荒國本紀 濁酒大戰 2
이에 최우천황이 친히 100만 대군을 이끌고 정벌에 나서 탁주에 이르러 화하의 군대와 맞섰다. 臍桔骨桶(제길골통)이 묘책을 내어 광우병 공포를 퍼뜨리니 화하의 군사들은 두려움에 떨며 모두 도망가 버렸다. 이후에도 최우천황은 황제헌신과 70번을 싸워 모두 이겼다.
http://qindex.info/i.php?x=1397
  일본서기 신공황후조 이야기의 출처
①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사건 및 인명과 일치한다. 그래서 신라 기록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③는 삼국지 기록이다. ④와 ⑤는 백제 기록이다. ⑤는 삼국사기와 일치하나 ④는 대응하는 기록이 다른 사료에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왜가 백제와 신라를 압도하며 한국을 장악한 정황은 광개토왕릉비(414) 및 송서(488)의 기록과 일치한다.
http://qindex.info/i.php?x=9797
 (4) 南扶余是韩国。남부여는 한국이다.
百济王朝与高丽王朝一起来自扶余,国名和王姓也被称为扶余,但百济的居民是韩国人,百济是韩国。 백제 왕조는 고려 왕조와 함께 부여에서 나왔고 국호와 왕성도 부여라고 했으나 백제의 주민들은 한국인이고 백제는 한국이다.
http://qindex.info/i.php?x=14482
 0065 三國史記(1145)
▐ 閼智→勢漢→阿道→首留→郁甫→仇道→末仇→奈勿→巴胡→習寶→智證→立宗→眞興→眞智→龍樹→武烈→文武
http://qindex.info/i.php?x=15522
 01. 設位
參祀者가 손을 씻은 다음 진설 순서에 의해 祭需를 陳設하고 참사자가 배열해 선다.
http://qindex.info/i.php?x=28383
 02. 就神位
지방이나 사진을 교의에 모신다.
http://qindex.info/i.php?x=28385
 0262 三國史記(1145)
▐ 閼智→勢漢→阿道→首留→郁甫→仇道→味鄒 알지부터 미추까지 7대인데, 7대는 3천궁녀나 100만대군처럼 한 집안의 유래가 오래된 것을 표현하는 상투적인 어구이기도 하다.
http://qindex.info/i.php?x=15410
 0265± 魏略 -0109-
▐ 準이 衛滿에게 쫓겨나 韓으로 갔다면, 右渠와 틀어진 歷谿卿도 韓으로 갔을 법한데 辰國으로 간 것을 보면, 韓이 樂浪 시기에 만들어졌다는 가설에 힘이 실린다.
http://qindex.info/i.php?x=14887
 0265± ❸ 한나라는 -108년에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한사군을 설치하였다.
韓王 이야기에 의하면 한나라가 위만 왕조를 정벌한 것은 기자의 후손으로부터 왕위를 탈취한 것을 응징하는 일이 되고 한사군을 설치한 것은 옛 주나라의 봉지를 회복하는 것이 된다. 이 이야기가 만들어진 것이라면, 한나라의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18309
 0289 三國志 辰國 4
❽ 삼국지(289)는 弁辰韓合 24개 나라를 소개하며 이 중 12개 나라가 월지국을 통치하는 辰王에게 소속되었다고 한다. 24개 나라 가운데 弁辰이 붙은 나라가 12개고 그렇지 않은 나라가 12개다. 弁辰이 붙지 않은 12개 나라를 辰韓으로 보면 辰王에게 소속된 나라는 이 辰韓 12개 나라가 되어 자연스럽다. 그런데 辰王은 辰韓에 있지 않고 마한인 월지국에 있다. 이는 월지국의 통치자를 辰王으로 삼아 통합된 辰國을 辰韓으로 관할하게 했다고 볼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6762
 0289 三國志 요약 2
朝鮮을 멸하고 樂浪郡, 真藩郡 그리고 臨屯郡을 설치하였다. 이듬해에는 沃沮에 玄菟郡을 설치하였다. 얼마 후 真藩과 臨屯을 폐하여 樂浪과 玄菟에 합쳤다. 玄菟는 高句麗의 서북쪽으로 옮기고 沃沮는 樂浪에 소속시켰다. 다시 樂浪의 단단대령 동쪽을 갈라 동부도위를 설치하였다가 濊人의 자치를 허용하였다. 樂浪郡의 남쪽은 분할하여 帶方郡을 설치하였다. 韓은 帶方의 남쪽에 있는데 馬韓, 辰韓 그리고 弁韓으로 이루어져 있다. 馬韓은 서쪽이고 辰韓은 馬韓의 동쪽이다.
http://qindex.info/i.php?x=19282
 0289 三國志(289) 요약 2
朝鮮을 멸하고 樂浪郡, 真藩郡 그리고 臨屯郡을 설치하였다. 이듬해에는 沃沮에 玄菟郡을 설치하였다. 얼마 후 真藩과 臨屯을 폐하여 樂浪과 玄菟에 합쳤다. 玄菟는 高句麗의 서북쪽으로 옮기고 沃沮는 樂浪에 소속시켰다. 다시 樂浪의 단단대령 동쪽을 갈라 동부도위를 설치하였다가 濊人의 자치를 허용하였다. 樂浪郡의 남쪽은 분할하여 帶方郡을 설치하였다. 韓은 帶方의 남쪽에 있는데 馬韓, 辰韓 그리고 弁韓으로 이루어져 있다. 馬韓은 서쪽이고 辰韓은 馬韓의 동쪽이다.
http://qindex.info/i.php?x=5813
 03. 焚香 降神
신위께서 降臨하시어 음식을 드시도록 청하는 뜻으로 祭主를 위시하여 모든 참사자가 신위 앞에 선 다음 제주는 꿇어앉아 분향하고 잔이 차지않게 따른 술잔을 右執事(대개 제주의 子姪이 함)로부터 받아서 茅沙에 세 번으로 나누어 부은 후에 빈 잔은 우집사에게 건네주고 일어나서 재배한다.┆姪 조카 질┆茅 띠 모┆沙 모래 사
http://qindex.info/i.php?x=28386
 03. 降神 ❶ ↆ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退酒 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0
 0337~0534 선비 왕조
● 서진이 망하면서 남가라에 선진 문물을 제공하는 역할은 연나라가 맡게 된 것이 아닐까? 남가라에 갑작스레 나타나는 유목 민족의 문화는 이때 연나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연나라는 선비족이 세운 나라이기 때문이다.
http://qindex.info/i.php?x=10751
 04. 參神
참신은 강신을 마친 후에 제주 이하 일동이 일제히 신위를 향하여 재배한다. 神主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紙榜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榜 붙일 방┆參 참여할 참
http://qindex.info/i.php?x=28387
 04. 參神 ❷ ↆↆ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1
 0414 廣開土王陵碑
▐ 이 설화는 고려 왕조의 공식적인 이야기다. 고려의 高씨가 顓頊高陽의 후예라는 이야기는 이 설화와 모순되고 또 고려 왕조에 의해 언급된 적도 없으므로, 북연의 고운이 황제의 자리에 오르며 자신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로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백제 餘씨가 夫餘에서 따온 것처럼 고려 高씨도 高麗라는 나라 이름에서 따왔다고 보아야 한다.
http://qindex.info/i.php?x=15235
 05. 初獻
제주는 강신 때와 같이 꿇어앉아 분향한 후 좌집사로 부터 받은 잔에 우집사가 술을 가득히 부어주면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세번에 기울여 부은 뒤에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이를 받들어 먼저 考位 앞에 올린다. 다음으로 비위앞에 올리는 잔은 모사에 기울이지 아니하고 그대로 받아서 올리고 저를 고른 후에 재배한다.
http://qindex.info/i.php?x=28388
 05. 初獻 ❸ ↆ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2
 0552.05 ◾
백제 성왕이 왜왕에게 한 『高麗與新羅 通和幷勢 謀滅臣國與任那 고려와 신라가 화친하고 세를 합쳐 신의 나라와 임나를 멸하려고 합니다.』는 말은 일본서기에 『百濟棄漢城與平壤 新羅因此入居 백제가 한성과 평양을 버리자 신라가 한성에 들어가 살았다.』고 기록된 이유를 잘 설명해 준다. 삼국사기에는 『新羅取東北鄙置新州 신라가 동북 변경을 가져 신주를 설치했다.』라고 되어 있다.
http://qindex.info/i.php?x=5532
 0565 北齊書(636)
▐ 백제의 餘씨 왕성은 근초고왕이 고려의 평양성을 침공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킨 이듬해의 기록에 처음 나타나고, 고려의 高씨 왕성은 광개토왕이 백제를 침공하여 항복을 받아내고 신라에 침입한 왜를 내쫓은 지 7년 후의 기록에 처음 나타나며, 신라의 金씨 왕성도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임나를 병합한 지 3년 후의 기록에 처음 나타났다. 패권을 장악했을 때 왕성이 나타나는 공통점이 있다.
http://qindex.info/i.php?x=7386
 0565 北齊書(636)
▐ 백제 餘씨는 夫餘에서 따왔고 고려 高씨는 高麗에서 따왔는데 신라 金씨는 新羅와 상관없는 이름이라 특이하다. 진짜 金日磾의 후손이라 그럴 수도 있고 국명 대신 도읍 金城에서 따왔을 가능성도 있다. 가라 金씨도 백제나 고려처럼 金官國에서 따왔을 가능성이 있으나, 신라에 병합된 이후 신라가 金씨 왕성을 도입할 때 같이 편입되었을 수도 있다.
http://qindex.info/i.php?x=14901
 0568 황초령 진흥왕순수비
▐ 建号는 551년에 開國 연호를 만든 것을 가리키는 듯하다. 朕이라는 호칭과 함께 제국을 자처한 것이다. 金씨 왕성도 이즈음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왕족의 혈통을 신성시하는 작업도 동시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太祖도 이때 추존된 듯하다.
http://qindex.info/i.php?x=15520
 06. 讀祝
축문 읽는 것을 독축이라 하며 초헌 후에 일동이 꿇어앉으면 제주옆에 앉은 축관이 천천히 크게 축문을 읽는다. 다 읽고나면 일동은 기립하여 재배한다. 독축은 초헌에 한한다.
http://qindex.info/i.php?x=28389
 06. 讀祝 ❹ ↆↆ
모두 잠시 꿇어 않았다가 다같이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3
 0663.09.24 日本書紀(720)
▐ 삼한시대에는 왕족과 귀족들만 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당나라는 660년에 백제왕조를 무너뜨리고 도성에 있던 왕족과 귀족들을 당나라로 데려갔다. 지방에 있던 왕족과 귀족들은 주류성에 모여 왕조의 재건을 시도하였으나 663년에 패하여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이것이 한국에 백제계 성씨가 없는 근본적인 이유다.
http://qindex.info/i.php?x=4418
 0684 장회태자묘(章怀太子墓) 백라관과 새깃쓰개
새깃쓰개를 한 사신의 국적에 대해서는 신라라는 견해와 고려라는 견해가 병존한다. 차남이었던 이현이 태자로 책봉된 해는 형이 죽은 675년인데 이때는 이미 고려가 망한 후이기 때문에 고려의 사신일 수는 없다는 것이 전자의 논거다. 신라는 649년에 관복을 당나라 식으로 바꾸었기 때문에 사신이 조우관을 썼을 수 없고 고려가 망한 후에도 고려왕은 요동도독조선군왕에 봉해졌기 때문에 고려의 옷차림을 한 사신을 보낼 수 있었다는 것이 후자의 논거다. 
http://qindex.info/i.php?x=2282
 0695 金仁問墓碑
▐ 少昊,昊又作皞、皓、顥,又稱青陽氏、金天氏、窮桑氏、雲陽氏,或稱朱宣。신라와 가라 金씨가 少昊金天의 후예를 자처한 것은 북연의 고운이 顓頊高陽의 후예를 자처한 것처럼 성씨가 만들어지고 난 후에 가미된 이야기다. ▐ 황초령비(568)와 마운령비(568)에 나오는 太祖와 문무왕릉비(681)에 나오는 星漢王은 이 비문에 나오는 太祖漢王과 동일인인 듯하다.
http://qindex.info/i.php?x=15412
 07. 亞獻
둘째번 잔을 올리는 것을 아헌이라 하며 주부[주부는 재배가 아닌 四拜]가 올리는 것이 관례이나 제주 다음의 근친자가 초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올릴 수도 있다.
http://qindex.info/i.php?x=28390
 0706 黑齒俊墓誌銘
▐ 흑치준은 흑치상지의 아들이다. 金日磾 이야기에 나오는 七葉은 '7대'가 아니라 '대대로'라는 뜻이다. 백만대군이나 삼천궁녀같은 상투적 표현이다. 문무왕릉비(681), 흑치상지묘지명(699)이 그리고 흑치준묘지명(706)에서 보는 것처럼 秺侯와 그 후손이 七葉에 걸쳐 西漢에 참여한 것은 흔히 회자되던 이야기였다. 문무왕릉비의 다른 점은 秺侯를 자신들의 조상이라 주장했다는 점이다.
http://qindex.info/i.php?x=15233
 08. 終獻
아헌자 다음가는 근치자가 끝잔으로 올리는 것을 종헌이라고 하는데, 종헌자는 잔을 받아서 초헌 때와 같이 모사에 세번 기울였다가 올린다.
http://qindex.info/i.php?x=28391
 0864 大唐故金氏夫人墓銘
▐ 封秺亭侯自秺亭已降七葉은 문무왕릉비(681)에 나오는 (秺)侯祭天之胤傳七葉과 내용이 일치하므로 신라 金씨 왕조가 金日磾의 후손을 자처한 것은 더욱 확실해졌다.
http://qindex.info/i.php?x=4406
 09. 啓飯揷匙
메 그릇 뚜껑을 열어 놓고 수저를 꽂는 것으로서 이때 수저 바닥이 동쪽(신위를 향해 선 제주의 오른편)으로 가게하여 꽂는다. ┆啓 열 계┆飯 밥 반┆揷 꽂을 삽┆匙 숟가락 시
http://qindex.info/i.php?x=28392
 10. 侑食 ❺ ↆ
집사가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은 뒤 젓가락을 내려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5
 10. 添酌
초헌자가 신위 앞에 꿇어앉아 우집사가 새로운 술잔에 술을 조금 따라주면 받아서 좌집사에게 준다. 좌집사는 이것을 받아, 종헌자가 종헌때 모사에 기울였기 때문에 차지 않은 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첨작하고 재배한다. 첨작을 侑食이라고도 한다.┆添 더할 첨┆酌 술 부을 작┆侑 권할 유
http://qindex.info/i.php?x=28393
 11. 闔門
합문이란 참사자 일동이 강림하신 신위께서 진설한 제주 음식을 흠향 하시도록 한다는 뜻으로 방에서 나온 후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대청에서 제사를 지내는 경우에는 뜰 아래로 내려와 조용히 기다린다.┆闔 문짝 합
http://qindex.info/i.php?x=28394
 11. 闔門 ❻
일동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http://qindex.info/i.php?x=28406
 1109.05.16◾公嶮鎭 ②
그러나 追及于曷懶水高麗人爭走冰上(갈라수까지 추격하니 왕고인들이 다투어 얼음 위로 달아났다)는 5월에 벌어졌던 공험진 전투와 어울리지 않고 하루에 수만명이 참여하는 전투를 세 번이나 벌였다는 점도 비현실적이다.
http://qindex.info/i.php?x=23370
 12. 開門
개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하는데 제주는 문을 열기전에 우선 기침을 세 번하고 난 후에 문을 열고 들어간다.
http://qindex.info/i.php?x=28395
 13. 獻茶
숭늉을 갱과 바꾸어 올린 다음 수저로 메를 조금씩 세 번 떠서 말아놓고 著를 고르고 난 후에 참사자 일동은 잠시 揖한 자세로 있다가 제주의 기침 소리에 따라서 고개를 든다. ┆著 나타날 저┆揖 읍┆獻 바칠 헌
http://qindex.info/i.php?x=28396
 13. 獻茶 ❼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린다.
http://qindex.info/i.php?x=28407
 14. 撤匙復飯
철시복반이란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둔 다음 메 그릇에 뚜껑을 닫는 것을 말한다.┆메 제사 때 神位 앞에 놓는 밥
http://qindex.info/i.php?x=28397
 15. 辭神
참사자 일동은 재배한 다음 신주는 본래의 사당으로 모시고 지방과 축문은 불사른다. 즉 신위와 작별을 뜻하는 것이다.┆辭 말씀 사
http://qindex.info/i.php?x=28398
 15. 辭神 ❽ ↆↆ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는다. 일동 두 번 절한다. 지방을 불사른다.
http://qindex.info/i.php?x=28408
 16. 撤床
모든 제수를 물리는 것을 철상이라 하며 제수는 뒤쪽에서부터 물린다.
http://qindex.info/i.php?x=28399
 17. 飮福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제사가 끝나는 대로 참사자와 가족이 모여서 함께 먹을 뿐만 아니라 이웃에 나누어주기도 하고 또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한다.
http://qindex.info/i.php?x=28384
 1980.05.26 Korea Situation Report Number 8
미국무부가 제네바 주재 미국 대표부에 보낸 한국 상황 보고 제8호 - 반란 세력이 인민재판소를 설치하고 처형까지 했다는 이전의 보고는 충분히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신중하게 취급해야 한다.
http://qindex.info/i.php?x=9374
 1980.05.26 Korea Situation Report Number 8
미국무부가 제네바 주재 미국 대표부에 보낸 한국 상황 보고 제8호 - 반란 세력이 인민재판소를 설치하고 처형까지 했다는 이전의 보고는 충분히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신중하게 취급해야 한다.
http://qindex.info/i.php?x=9377
 1980.05.26 Korean Situation Report, May 26
주한 미대사관에서 미국무부에 보낸 5월 26일자 한국 상황 보고 - 자치조직들이 만들어졌고, 강경 세력이 이전에 반납했던 무기를 되찾아 다시 무장했으며, 심지어 인민재판과 처형까지 이루어지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 인민재판과 처형 부분은 전날의 전문 내용을 반복하면서 '이러한 보고들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참고할 때 신중해야 한다'는 주의가 덧붙여져 있다.
http://qindex.info/i.php?x=9329
 1980.05.26 Korean Situation Report, May 26
주한 미대사관에서 미국무부에 보낸 5월 26일자 한국 상황 보고 - 자치조직들이 만들어졌고, 강경 세력이 이전에 반납했던 무기를 되찾아 다시 무장했으며, 심지어 인민재판과 처형까지 이루어지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인민재판과 처형 부분은 전날의 전문 내용을 반복하면서 '이러한 보고들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참고할 때 신중해야 한다'는 주의가 덧붙여져 있다.
http://qindex.info/i.php?x=9376
 1982.05 제5공화국 전사
▐ 1980년 5월 21일에 주한 미국대사관이 본국에 보낸 보고서와 그 2년 뒤에 제5공화국에서 펴낸 전사의 내용은 놀랍도록 유사하다. 광주□□는 전라도의 피해의식과 전라도 정치인 김대중의 구속 그리고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유언비어의 유포에 의해 일어났다는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26506
 1998▐ 독도 밀약 핑계
독도 밀약에는 '새로운 시설의 건축이나 증축은 하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는데, 전두환은 헬기장을 만들었고 김영삼은 접안 시설을 만들어 이를 지키지 않았다. 김대중만 지켰다면 그의 다른 친일 행위들과 연결하여 설명하는 게 낫다.
http://qindex.info/i.php?x=28986
 2020.04.15 원래 평균값에 가까운 분포가 많다
한국 남자들 중에서 두 명씩 뽑아 키 차이를 구해보면 키 차이가 작을수록 분포는 많아진다. 예를 들면, 키 차이가 1cm 이내인 경우는 키 차이가 1cm에서 2cm사이인 경우보다 많다. ● 2020년 총선은 문재인 민주당이 잘했다기보다 종미기독(從米基督) 세력이 미운 짓을 한 결과다. 당연히 그들이 책임을 져야 하는데, 개표조작 논란으로 분위기가 흘러가며 이것이 흐려졌다. 그 결과 종미기독 세력은 그대로 살아남았다.
http://qindex.info/i.php?x=9146
 2020.08¦ 둑만의 문제인가?
원칙적으로 물이 넘쳐도 둑은 터지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섬진강과 낙동강 모두 둑에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섬진강의 경우 둑이 터지지 않았더라면 물이 넘칠 정도로 수위가 높고 낙동강은 수위가 둑 높이에 비해 많이 낮아 둑이 터지지 않았으면 아무 문제가 없었다. 둑의 붕괴라는 공통점을 빼면 한 쪽은 범람 위기가 있었고 한 쪽은 없었다는 차이점이 드러난다.
http://qindex.info/i.php?x=10279
 2020.08¦ 보의 문제인가?
○ 낙동강 둑이 터진 것은 합천보의 물이 빨리 빠지지 못해 수위가 올라가 일어났으므로 보의 문제라는 주장이다. ● 둑을 만들 때에는 그 높이까지 물이 차도 터지지 않으라고 만든 것이다. 운전하다 타이어가 터져 사고가 나면 타이어 때문이지 자동차를 운전한 때문은 아니지 않는가?
http://qindex.info/i.php?x=10278
 <
메모를 위한 text 입력창이 뜬다.
http://qindex.info/i.php?x=22321
 legislation
In this _____ a provision known as the "Wolf Amendment" was passed to forbid NASA and U.S. companies from sharing technological advancements with the Chinese government.
http://qindex.info/i.php?x=15456
 palimpsest
Later populations emerged and spread and covered up the evidence of some of the earlier mixture. Human populations in their genetic history are we archeologists would call a palimpsest.
http://qindex.info/i.php?x=15743
 ② 加羅는 고령과 김해에만 있었다.
삼국사기가 이 두 나라를 보고 加耶를 낙동강 서쪽의 소국을 가리키는 보통명사로 오인하면서 安耶에도 加耶를 붙여 阿那加耶라 했고 古寧에도 加耶를 붙여 古寧加耶라 했다. 삼국유사(1281)에 와서는 小伽耶와 星山(碧珎)伽耶가 추가되었다. 古寧과 星山 그리고 碧珎이란 지명이 신라시대에 만들어졌으니 그 지명이 붙은 加耶도 그 이후에 만들어졌을 것이다. 小伽耶는 가락국기에 나오는 6가야에 맞추기 위해 大加耶에 대응하는 이름을 붙여 끼운 듯하다.
http://qindex.info/i.php?x=14816
 ❶ 김일성의 항일 운동은 부정할 수 없다.
김일성은 한국전쟁을 일으켜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내몬 책임이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항일 운동이나 토지 개혁과 같이 그의 긍정적인 면에 대해서는 말하는 것이 금기시되어 왔다. 전두환에 대해서도 동일한 현상이 존재한다. 그가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여 잘 활용한 것은 아무도 반박을 하지 못하는 사실이다. 그러나 윤석열처럼 그것을 이야기하는 것은 많은 반발을 불러온다. 지금 한국 사회는 ᐥ아비를 아비라 부르지 못하게ᐥ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17348
 ❷ 騶를 鄒牟로 보는 이유
한서(82)는 騶를 高句驪侯라 명시하였고 광개토왕릉비(414)도 鄒牟를 王이라 명시하였다. 여기서 侯는 王을 낮춰부르는 말이다. 한서에 나오는 이야기를 살펴보아도 騶가 고구려의 우두머리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고구려 병력이 이탈한 것에 대해 신나라 내에서 騶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가장 먼저 나왔다거나 騶에게 죄를 물으면 부여와 예맥이 반란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거나 하는 부분이다. 騶가 일개 장수였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http://qindex.info/i.php?x=12913
 ❷ 아비를 아비라 부르지 못한다.
홍길동은 재상과 계집종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조시대에는 부모의 어느 한 쪽이 종이면 그 자식도 종이 되었다. 그래서 홍길동은 친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했다. 홍길동이 이를 하소연하자 친부는 속으로 가엽게 여기면서도 사회가 다 그러니 거스르지 말라고 도리어 꾸짖는다. 지금 한국 사회도 그렇다. 전두환의 용인술이 좋았다고 다들 속으로 인정하지만 그렇게 말해서는 안된다. LA riot은 LA폭동이지만 riot in Kwangju는 광주폭동이라 부르지 못한다.
http://qindex.info/i.php?x=17356
 ❸ 騶를 鄒牟로 보는 이유
광개토왕릉비(414)에는 鄒牟王이 홀본 동쪽 언덕에서 용의 머리를 디디고 서서 하늘로 올라갔다고 되어 있고 제왕운기(1287)에는 東明이 승천하여 구름수레를 타고 돌아오지 않아 유리가 와서 왕위를 잇고 추모왕이 남긴 옥채찍을 묻어 무덤을 만들었다고 되어 있다. 모두 시신없이 鄒牟王을 장사지낸 듯한 이야기다. 한서(82)에 나오는 騶도 엄우가 유인하여 죽인 뒤 머리를 베어 장안으로 보냈으므로 고구려에서는 시신 없이 장사를 지냈을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12917
 ❸ 용기있는 자에게만 사람이 따른다.
근대 이전에는 병력의 대부분이 농민이었다. 그들은 전투의 경험도 없었고 싸울 의지도 없었다. 그래서 그들을 이끄는 장수의 역할이 중요했다. 장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농민들 앞에 서서 가장 먼저 적과 부딪히는 일이었다. 가장 위험한 이 일을 두려워하여 장수가 농민들 뒤로 숨으면 그 군대는 바로 무너진다. 정치 지도자와 지지자의 관계도 이와 비슷하다. 윤석열처럼 돌 맞을 각오를 하고 옳은 말을 하는 자에게만 따르는 사람이 생긴다.
http://qindex.info/i.php?x=17347
 ❹ 騶를 鄒牟로 보는 이유
삼국사기(1145)가 한서(82), 삼국지(289) 그리고 후한서(445)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를 그대로 가져오면서 왕망에 의해 살해된 인물만 고구려후 騶에서 고구려 장수 延丕로 바꾸어놓았다. 延丕 이야기는 다른 기록으로 교차검증되지 않는다. 당연히 삼국사기의 기록을 왜곡된 것으로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http://qindex.info/i.php?x=12921
 卷三 沙伐世家 晩得女王傳
晩得女王 曰,今用等國力 而必對以刀 爲其時 備驪蝸秘訣。 以使沕璃 建據彿壇 開發壘窟離禦也。 晩得女王(만득여왕)이 가로되, "지금은 等國(등나라)의 힘을 이용하지만 언젠가 등나라와 칼을 맞댈 날이 올 것이다. 그 때를 대비하여 驪蝸(여와)로부터 전해 내려온 비결을 준비하도록 하라." 이에 沕璃(물리)로 하여금 據彿壇(거불단)을 짓고 壘窟離娥(누굴리아, nuclear)를 개발하게 하였다.
http://qindex.info/i.php?x=1399
 卷三 沙伐世家 儼親王傳
以等國之人海溢戰 國危,乃儼親王命 用討飜彈。 討飜彈之威力至大 方數百里 無生者也。 乃惻隱無腦退軍也。 等國(등나라)의 인해일전으로 나라가 위태해지자 마침내 儼親王(엄친왕)은 討飜彈(토번탄)을 사용하라고 명하였다. 토번탄의 힘은 매우 대단하여 사방 수 백 리에 살아남은 자가 없었다. 마침내 惻隱無腦(측은무뇌)는 군대를 물리었다.
http://qindex.info/i.php?x=1386
 太守
472 帶方太守(張茂) ➔ 490² 廣陽太守→帶方太守(高達)┆朝鮮太守→廣陵太守(楊茂)┆清河太守(會邁) ➔ 495² 樂浪太守(慕遺)┆城陽太守(王茂)┆朝鮮太守(張塞) ▐ 중국의 지방관이다. 백제가 실질적으로 점유하고 있지 않거나 당시에는 사라져 없어진 지역이다. 받은 사람의 이름에서 백제의 왕성이나 토착 성씨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중국계 관료에게 주어진 듯하다.
http://qindex.info/i.php?x=22664
 姓·名
餘禮┆張茂┆姐瑾┆餘古┆餘歷┆餘固┆高達┆楊茂┆會邁┆沙法名┆贊首流┆解禮昆┆木干那┆慕遺┆王茂┆張塞┆陳明 ▐ 餘씨는 백제의 왕성이고 沙씨는 부여의 호족이며 解禮는 웅진도독부 지심주의 현으로 편제되었던 지역이다.
http://qindex.info/i.php?x=25095
 姓·名 - 茂
465~471년에 茂는 유송에 사신으로 갔었고┆472년에 龍驤將軍 帶方太守 司馬 張茂는 북위에 개로왕의 사신으로 갔으며┆490²년에 建威將軍 朝鮮太守 兼 司馬 臣 楊茂 → 廣陵太守는 남제에 동성왕의 사신으로 갔고┆495²년에 城陽太守 兼 司馬 臣 王茂는 남제에 동성왕의 사신으로 갔다. ▐ 모두 동일인으로 보이는데 司馬와 茂만 같을 뿐, 장군과 태수 그리고 성씨가 모두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사신으로 파견될 때마다 만들어 붙인 것으로 보인다.
http://qindex.info/i.php?x=30431
 洛東江 ②
삼국사기(1145)에는 525년에 상주에 上州를 설치하고 555년에 창녕에 下州를 설치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고려사(1451)에서는 그 뒤 上州가 上洛郡이 되었다고 되어 있다. 서라벌에서 양산단층을 따라가 만나게 되는 낙동강을 黄山河라 불렀는데, 금호강을 따라가 만나게 되는 낙동강은 뭐라 불렀는지 기록에 없다. 駕洛이 장악하고 있었을 이 강을 洛水라 가정하면 앞뒤 기록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駕洛 → 洛水 → 上洛 → 洛東 → 洛東江
http://qindex.info/i.php?x=30309
 王·侯
472 弗斯侯(餘禮) ➔ 490¹ 面中王→都漢王(姐瑾)┆八中侯→阿錯王(餘古)┆邁盧王(餘歷)┆弗斯侯(餘固) ➔ 495¹ 邁羅王(沙法名)┆辟中王(贊首流)┆弗中侯(解禮昆)┆面中侯(木干那) ▐ 성씨로 보아 백제의 왕족이나 토착 세력에게 주어진 듯하다. 邁盧 또는 邁羅는 지금의 부여고 辟中은 지금의 김제다. 동성왕은 토착 세력인 王·侯와 중국계 관료인 太守를 번갈아 사신으로 보냈다.
http://qindex.info/i.php?x=22661
 王·侯 - 弗
472 弗斯侯(餘禮)┆490¹ 弗斯侯(餘固)┆495¹ 弗中侯(解禮昆)
http://qindex.info/i.php?x=30432
 遼河
at a confluence locally referred as the "Trident River" (三岔河), where it then adopted the new name Daliao River (大辽河, "Great Liao River") and drained into the Liaodong Bay just west of Yingkou.
http://qindex.info/i.php?x=15128
 韓의 변천
1897년 이조가 선포한 大韓帝國의 어원은 三韓이다. 1919년 임시정부는 이것을 이어 大韓民國이라 했고 1948년 반도 남부에 수립된 국가도 이 국호를 계승하였다. 대한민국은 간단히 韓國이라 부른다. 이후 한국과 반도 북부에 수립된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이 정통성 경쟁을 하는 과정에서 韓은 한국에서 우리를 지칭하는 유일한 고유명사가 되었다. 이전에는 스스로를 朝鮮人이라 불렀는데 민족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남북은 각각 韓民族과 朝鮮民族이라 한다.
http://qindex.info/i.php?x=6768
 김대중협정을 변명하는 다람쥐 쳇바퀴 논리
국제법상 부득이한 협정이었다. ➔ 구지 한일공동수역의 모양을 괴상하게 만들어 독도를 넣어야 했냐? ➔ 김영삼 정부가 협상했으므로 김대중에게는 책임이 없다. ➔ 협정을 체결한 대통령에게 최종 책임이 있지 않느냐? ➔ 국제법상 부득이한 협정이었다.
http://qindex.info/i.php?x=26198
 문제 6. 사형미집행은 민주주의에 어긋난다.
사형제도는 법률로 규정되어 있고 헌법재판소는 그 법률이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결하였다. 국민들도 대다수 사형 집행을 원한다. 그렇다면 정부가 사형 집행을 하는 것이 국민들의 뜻을 따르는 것이고 그것이 민주주의 아닌가?
http://qindex.info/i.php?x=27793
 왜, 高句麗 그리고 한복(韓服) - 足結
はにわ에서 나타나는 족결은 이조의 풍속화에도 나타난다. 천년이 넘는 시차가 있으나 이조 이전에는 족결이 없었다는 정황이 없으므로 이조의 족결은 삼한 시대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바지 저고리 문화가 왜로 건너갈 때 족결도 따라갔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11538
 왜, 高句麗 그리고 한복(韓服) - 고름
고구려의 벽화에는 허리띠로 윗도리를 묶을 뿐, 별도의 고름이 없다. 그러나 왜의 はにわ에는 고름처럼 묶는 부분이 있어 이조의 고름과 통하는 면이 있다. 바지 저고리 문화가 왜로 건너갈 때의 한국 저고리도 はにわ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방식이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이조 한복의 고름으로 변했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 양직공도에 나오는 신라 사신이 입은 옷에 고름이 없는 것은 일반인의 옷이 아니라 예복이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11537
 전임 정부 탓이 어려운 이유
김대중이 독도영유권을 훼손하는 어업협정을 맺으러 갈 때, 기존에 일왕이라 칭하던 호칭을 천황으로 바꾸고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보상을 한국 정부가 하고 일본에는 문제삼지 않기로 하는 등 다른 친일적인 행위를 동반하였기 때문에, 전임 정부의 탓으로 돌리기 어렵다.
http://qindex.info/i.php?x=26200
 주요 못
○ 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는 단밀의 북쪽에 大堤池가 있었다고 하는데, 방향으로 보아 삼분에서 시작된 물길 막은 것으로 보인다. 효제리에는 大堤마을이란 지명이 지금도 남아 있다. ○ 노연 서쪽의 墨溪(미끼)마을 앞에는 미끼못의 둑이 있었다는 전승이 있는데, 이는 商山誌(1617)에 나오는 墨池 또는 未溪堤와 연결될 수 있다. ○ 용기의 동쪽에도 1957년까지 돌못이 있었는데, 지금도 제방의 흔적이 남아 있다.
http://qindex.info/i.php?x=26665
 한국인들이 밥을 많이 먹은 이유...
기생충 감염이 사라진 것은 인분 사용이 사라졌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과 일본은 중국과 달리 농경지가 적다. 그래서 좁은 땅에서 많은 생산을 얻기 위해 인분을 거름으로 사용하였다. 인분을 사용하면 기생충에 감염되기 쉽다. 그리고 기생충에 감염되면 양분을 많이 뺏겨 밥을 많이 먹게 된다. 그렇다면 인분 사용 > 기생충 감염 > 식사량 증가라는 인과 관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인들은 청결해서 덜했을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26418
 ¦어느 강변에 살고 싶습니까?
한 쪽은 건기에 강이 바닥을 드러내며 재래식 보 주변에만 물이 조금 괴어 있다가 우기가 되면 물이 금새 차올라 둑을 언제 넘을지 몰라 마음이 조마조마합니다. 한 쪽은 사시사철 물이 찰랑차랑 차 있고 우기에도 물 높이가 둑보다 여유있게 낮아 범람의 걱정이 없습니다.
http://qindex.info/i.php?x=102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