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사기(1145)는 선덕왕이 아들 없이 죽자 신하들이 회의를 해서 조카를 옹립하려 했으나 閼川이 범람하는 바람에 京北에 사는 그가 건너오지 못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閼川이 월성의 북쪽을 동서로 흐르는 北川처럼 들리게 한다.
그런 착각은 삼국유사(1281)에서 나타나서 동국여지승람(1481)을 거쳐 알천제방수개기(1707)로 이어졌다.
그러나 兄山江처럼 북동으로 흐르면 그 동편에 있는 월성에서 북쪽으로 20리 되는 곳이 강의 서편이 될 수 있다.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
0785 三國遺事(1281)
나라 사람들이 김주원을 왕으로 받들어 장차 궁중으로 맞아들이려 했다.
家在川北忽川漲不得渡
그의 집은 내의 북쪽에 있었는데 홀연히 냇물이 불어나 건널 수가 없었다. 이에 왕이 먼저 궁궐로 들어가 왕위에 올랐다.
▐ 北川神에 제사지내고 나서 川漲이 있었기 때문에 川漲의 川은 北川이 된다. 삼국사기는 이 사건을 이야기하며 閼川水漲이라 했으므로 결과적으로 北川은 閼川의 이칭이 된다.
29313#29314
SIBLINGS
CHILDREN
29314
•
1530 新增東國輿地勝覽
東川 一云北川 一云閼川 在府東五里 出楸嶺入堀淵
동천은 북천이라고도 하고, 알천이라고도 한다. 부의 동쪽 5리에 있다. 추령에서 발원하여 굴연으로 흘러들어간다.
西川 在府西四里 有三源 一出咽薄山 一出墨匠山 一出只火谷山 合流入兄山浦
서천은 부의 서쪽 4리에 있다. 발원지가 셋이 있는데, 하나는 인박산에서 발원하고, 하나는 묵장산에서 발원하며, 하나는 지화곡산에서 발원한다. 합류되어 형산포로 흘러들어간다.
29313#28632
SIBLINGS
CHILDREN
28632
•
1707 閼川堤防修改記
閼川西注 邑基東圮
서쪽으로 흐르는 알천 물살에 고을 동편 제방이 무너졌네.
高擁木石 奧自麗氏
나무와 돌로 높은 둑을 쌓았으니 고려 때부터라네.
今又脩改 歲維丁亥
올해 정해년에 다시 수리하여 고치었네.
因勢利導 水由古道
지형 따라 잡은 갈래 예전에 흐르던 대로 물길 터주었네.
磨峨記蹟 垂之千億
이 바위 면에 사실을 적어 영원토록 전하고자 하네.
29313#29310
SIBLINGS
CHILDREN
29310

-